수석 ·보좌관 회의 참석한 수석들과 비서관들 (사진=연합뉴스)
수석 ·보좌관 회의 참석한 수석들과 비서관들 (사진=연합뉴스)
"전국적으로는 부동산 가격이 하락했을 정도로 안정화되고 있습니다."

문재인 정부, 청와대 전·현직 참모진들이 보유한 아파트와 오피스텔 가격이 최근 3년 새 평균 3억 원이 올랐다는 분석이 나왔다.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이 재산 신고 내용을 바탕으로 전·현직 청와대 참모진 65명의 아파트와 오피스텔 가격 변동을 조사한 결과, 평균 3억 원 이상 재산이 불어났다며 정부가 과연 집값을 잡을 의지가 있다면 강력한 대책을 내놓아야 한다고 주문했다.

정부의 부동산 정책을 총괄했던 김수현 전 청와대 정책실장의 경기도 과천 주공아파트는 2017년 1월 9억 원이었던 실거래가가 지난 11월에는 19억4천만 원까지 올라갔다.

최근 언론 인터뷰에서 주택 가격이 안정화되고 있다고 강조했지만, 정작 자신의 아파트는 3년도 안 돼 두 배 넘게 가격이 오른 것이다.

"모든 국민이 강남에 가서 살 필요는 없다"는 발언으로 논란이 됐던 장하성 전 정책실장의 잠실 아파트도 10억7천만 원이나 올랐다.

특히, 상위 10명은 평균 10억 원씩 가격이 올랐다.

경실련은 또 공직자 재산 신고가 공시지가를 기준으로 이뤄져 시세의 평균 39%만 반영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하지만 청와대는 경실련 발표에 "참모 중에는 재산이 늘어난 사람도 있고 줄어든 사람도 있고 그대로인 사람도 있을 것"이라며 "소수의 사례를 일반화하지 않았으면 좋겠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경실련은 "이번 발표는 대통령을 제외한 전현직 고위공직자 모두를 대상으로 한 것이다. 대체 무엇이 일반화인지 청와대 발언을 납득하기 어렵다"면서 "청와대가 소수의 사례라고 주장하려면 4급 이상 참모 전체의 부동산 보유 현황을 공개하라"고 요구했다.

문 대통령은 지난달 19일 '국민과의 대화'에서 부동산 가격이 안정됐다고 자화자찬했지만 국민들이 느끼는 현실 인식과는 차이가 많다는 지적이다.

이미나 한경닷컴 기자 helper@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