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DC현대산업개발·SK건설 ‘광주 계림 아이파크 SK뷰’ 내일 모델하우스 개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총 1715가구 중 1101가구 일반분양
광주지하철 2호선 두암지구역(가칭), 교대역(가칭) 예정
주변 1만3000가구 정비사업 진행
광주지하철 2호선 두암지구역(가칭), 교대역(가칭) 예정
주변 1만3000가구 정비사업 진행
!['광주 계림 아이파크 SK뷰' 투시도](https://img.hankyung.com/photo/201912/01.21195252.1.jpg)
광주 계림 아이파크 SK뷰는 지하 2층, 지상 20~26층, 15개동, 총 1715가구로 이뤄진다. 이 중 일반분양은 전용면적 39~123㎡의 1101가구다. 전용면적별로 △39㎡ 25가구 △62㎡ 131가구 △72㎡ 298가구 △76㎡ 300가구 △84㎡ 310가구 △123㎡ 37가구 등 6개의 주택형이다.
아파트는 비조정대상지역인 광주에서 공급된다. 주택 보유수에 관계없이 6개월 이상 청약통장 보유 시 1순위 청약조건이 충족된다. 분양권 전매제한 기간도 6개월로 짧으며, 중도금 대출도 세대 당 2건까지 가능하다.
광주 계림 아이파크 SK뷰는 직선 거리로 약 1.5㎞ 거리에 광주역 및 광주지하철 1호선 금남로5가역·금남로4가역·문화전당역이 있다. 광주2순환고속도로를 통해 광주 전역으로 빠르게 이동할 수 있으며 동광주IC를 통해서는 호남고속도로 등 광역교통망 이용이 수월하다. 계림초와 광주교대부설초를 도보로 통학할 수 있다. 충장중, 광주고 등 중·고교는 물론 광주교육대, 조선대, 전남대, 동강대 등 다수의 대학교도 인접했다. 광주교대도서관, 광주시립산수도서관, 동명동 학원가 등 교육시설 이용도 편리하다.
생활 편의시설도 풍부하다. 단지에서 직선으로 500m 거리에 위치한 이마트(동광주점)가 있다. 홈플러스(계림점), NC백화점(광주역점), 롯데백화점(광주점), 롯데시네마(광주점) 등 쇼핑 및 문화시설이 가깝다. 무등로우체국, 광주고등검찰청, 광주고등법원, 동구청 등 관공서도 반경 1.5km 내에 자리하고 있다. 광주역에서 효천역(남구 진월동)까지 폐선된 철로를 녹지공간으로 조성한 푸른길공원이 가깝다. 무등산을 등반할 수 있는 등산로 입구가 인접했다.
!['광주 계림 아이파크 SK뷰' 조감도.](https://img.hankyung.com/photo/201912/01.21195292.1.jpg)
여기에 단지 인근 광주역에는 경제기반형 도시재생뉴딜사업이 추진 중에 있다. 광주역 주변 약 50만㎡ 부지에 2025년까지 창업지원시설, 시민문화광장 및 공원 조성 등의 도시재생이 이뤄질 예정이다. 철도차량기지 이전(예정) 부지에는 주거·업무·문화·상업 등의 종합 기능을 갖춘 복합개발사업이 추진된다. 국비와 시비, 민간자본 등 약 1조원이 투입되는 해당 사업은 올해 연말까지 기본계획 용역을 마친 뒤 구체적인 로드맵을 수립할 계획이다.
동구는 광주 내에서도 주택재개발·재건축 정비사업이 가장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광주광역시청 자료를 보면(2019년 9월 기준) 동구 내 지정된 주택재개발구역은 총 14곳에 달한다. 전체 정비사업구역(49곳)의 30%가량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계림5-2구역(648가구), 산수1구역(1074가구), 지원2-1구역(690가구), 학동3구역(1410가구) 등 4곳은 이미 입주를 마쳤다. 광주 계림 아이파크 SK뷰(1715가구)를 비롯해 계림1구역, 계림3구역(1338가구), 계림4구역(930가구), 계림7구역(908가구), 계림8구역(2336가구), 지원1구역(772가구), 지산1구역(557가구), 산수3구역(796가구) 등 10곳은 분양을 앞두고 있거나 착공을 진행 중이다. 향후 모든 사업장이 입주를 마치고 나면 약 1만3000여 가구 규모의 신주거지가 될 전망이다.
광주 계림 아이파크 SK뷰는 16%대의 낮은 건폐율을 적용해 자연환기와 일조량을 높였다. 단지 내 조경시설은 대지면적의 36%로 조성했다. 전 세대를 남향 위주로 배치돼 채광 및 통풍을 극대화했다. 다양한 커뮤니티 시설도 조성된다. 피트니스센터, GX룸, 골프연습장 등 다양한 스포츠시설을 비롯해 프리미엄독서실, 게스트하우스, 어린이집, 시니어라운지 등 편의시설도 들어설 계획이다.
홈네트워크 시스템이 적용된 월패드를 통해 가스밸브, 조명, 난방, 환기, 도어록 등을 한번에 제어할 수 있는 것다. 세대 에너지 사용량 조회, 엘리베이터 호출, 무인택배 도착알림 등도 확인할 수 있다. 월패드와 CCTV 연동을 통해 어린이 놀이터 실시간 모니터링도 가능하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위해 세대 내 공기질 측정 센서(무선 AP 일체형)가 천장에 설치된다. 세대내 미세먼지, 이산화탄소 농도 등이 표시된다. 어린이 놀이터 인근으로는 미세먼지 표시등이 내장된 보안등이 설치돼 옥외 미세먼지 정보도 확인할 수 있다.
에너지 절감을 위한 노력도 단지 곳곳에서 찾아볼 수 있다. 세대 내 실시간 에너지 모니터링 시스템이 도입돼 에너지 사용량 확인이 가능하고 단위세대 전체에 LED 조명이 적용되고 지하주차장 통로에도 LED 조명을 배치할 계획이다. 공용부 전기비 및 관리비 절감이 가능한 태양광 발전 설비도 설치된다.
모델하우스는 광주 서구 농성동 156-19번지에 마련된다. 입주는 2022년 7월 예정이다.
김하나 한경닷컴 기자 han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