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AI 인재 경쟁력, 美의 절반 수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한국경제硏 "日·中에도 뒤처져"
한국의 인공지능(AI) 전문 인력이 양적·질적으로 부족해 규제 완화와 AI 생태계 조성이 시급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15일 한국경제연구원에 따르면 미국의 AI 인재 경쟁력을 10으로 볼 때 한·중·일 3국의 수준은 각각 5.2(한국) 6.0(일본) 8.1(중국)로 평가됐다. 한경연이 국내 산업계, 학계 등에서 AI 관련 전문가 3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다.
한국은 정부가 대규모 투자를 추진하는 중국과도 상당한 격차가 있다고 한경연은 지적했다. 국내에도 관련 인력이 배출되고 있지만 미국과 유럽, 중국행을 택하는 실정이라고 설명했다. 이로 인해 AI 인력 부족률이 평균 60.6%에 달한다고 분석했다. 필요 인력 열 명 중 네 명밖에 충당되지 않고 있다는 얘기다. AI 전문 인력 양성 및 확보 방안으로는 ‘국내외 AI 석·박사 채용’(89.3%·복수 응답)이 가장 많았다. ‘재직자 AI 교육’(75.0%), ‘대학 연계 프로그램 개발’(46.4%) 등이 뒤를 이었다.
장창민 기자 cmjang@hankyung.com
15일 한국경제연구원에 따르면 미국의 AI 인재 경쟁력을 10으로 볼 때 한·중·일 3국의 수준은 각각 5.2(한국) 6.0(일본) 8.1(중국)로 평가됐다. 한경연이 국내 산업계, 학계 등에서 AI 관련 전문가 3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다.
한국은 정부가 대규모 투자를 추진하는 중국과도 상당한 격차가 있다고 한경연은 지적했다. 국내에도 관련 인력이 배출되고 있지만 미국과 유럽, 중국행을 택하는 실정이라고 설명했다. 이로 인해 AI 인력 부족률이 평균 60.6%에 달한다고 분석했다. 필요 인력 열 명 중 네 명밖에 충당되지 않고 있다는 얘기다. AI 전문 인력 양성 및 확보 방안으로는 ‘국내외 AI 석·박사 채용’(89.3%·복수 응답)이 가장 많았다. ‘재직자 AI 교육’(75.0%), ‘대학 연계 프로그램 개발’(46.4%) 등이 뒤를 이었다.
장창민 기자 cmj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