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이 지난 7월 한국에 대한 수출규제 조치를 단행한 이후 한국보다 더 큰 경제적 피해를 본 것으로 나타났다. 한·일 양국이 16일 일본 도쿄에서 열리는 한·일 국장급 수출관리 정책대화를 계기로 갈등을 봉합할 방안을 찾을지 주목된다.
< 한·중·일 보건장관회의 감염병 공동대응 나선다 > 한국과 중국, 일본의 보건복지부 장관이 15일 서울 워커힐호텔에서 ‘제12차 한·중·일 보건장관회의’를 열고 감염병 대비 관련 공동실천계획안에 서명한 뒤 악수하고 있다. 왼쪽부터 샤오웨이 중국 국가위생건강위원회 주임,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 가토 가쓰노부 일본 후생노동성 대신.  /연합뉴스
< 한·중·일 보건장관회의 감염병 공동대응 나선다 > 한국과 중국, 일본의 보건복지부 장관이 15일 서울 워커힐호텔에서 ‘제12차 한·중·일 보건장관회의’를 열고 감염병 대비 관련 공동실천계획안에 서명한 뒤 악수하고 있다. 왼쪽부터 샤오웨이 중국 국가위생건강위원회 주임,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 가토 가쓰노부 일본 후생노동성 대신. /연합뉴스
15일 정부와 업계에 따르면 올 7~10월 일본의 대(對)한국 수출은 1조6433억엔(약 17조5600억원)으로 작년 같은 기간과 비교해 14.0% 줄었다. 같은 기간 한국의 대일본 수출은 94억8000만달러(약 11조1100억원)로 7.0% 줄었다. 양국 상호 수출이 모두 줄었지만 일본의 수출 감소율이 더 컸다. 일본의 수출규제가 오히려 자국에 피해를 준 자충수가 된 셈이다. 한국은 일본의 3위 수출국이다.

일본은 올 7월 4일 고순도 불화수소, 플루오린 폴리이미드, 포토레지스트 등 반도체 핵심소재 3개 품목의 한국 수출을 제한한다고 발표했다. 이어 한국을 ‘화이트리스트(수출절차 간소화 국가)’에서 제외하기도 했다. 일본의 수출규제가 본격화했지만 한국 반도체 기업의 생산 차질로 이어지지는 않았다. 대체 수입처를 발굴하는 동시에 규제 목록에 오른 반도체 소재 국산화 작업이 성과를 냈기 때문이다. 한국에서는 일본산 제품과 여행 불매운동이 확산됐다.

한·일 양국은 16일 도쿄 경제산업성에서 제7차 한·일 국장급 수출관리 정책대화를 한다. 2016년 6월에 열린 제6차 한·일 수출통제협의회 후 양국 수출담당 국장이 전략물자 수출입 문제를 공식 논의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실무 협상에서 타협점을 도출할 경우 이달 24일 한·중·일 정상회의에서 양국이 진전된 협상 성과를 발표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구은서 기자 ko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