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덕준 GST 대표 "반도체 스크러버 첫 국산화…해외 고객 다변화로 시장 1위 하겠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무역협회·한경 선정
'한국을 빛낸 올해의 무역인상'
올해 해외매출 비중 50% 넘을 듯
'플라즈마 스크러버' 신성장 동력
"세계표준이 될 기술력 기업 목표"
'한국을 빛낸 올해의 무역인상'
올해 해외매출 비중 50% 넘을 듯
'플라즈마 스크러버' 신성장 동력
"세계표준이 될 기술력 기업 목표"
글로벌스탠다드테크놀로지(GST)는 반도체 유해가스 정화장치인 스크러버(scrubber)를 생산하는 강소기업이다. 반도체를 생산할 때는 필요한 부분만 남기고 회로를 만드는 식각과 회로 위에 얇은 막을 입히는 증착 과정이 필수다. 이 과정에서 나오는 부식성 가스 등 유해물질을 정화하는 장치가 바로 스크러버다. GST는 일본 기업이 독점하다시피 해 온 이 시장에서 스크러버 국산화에 성공했다. 2001년 창업한 뒤 2004년부터 수출을 시작해 이제는 연간 3000만달러(약 350억원)에 이르는 수출 실적을 기록하고 있다. 내년에는 수출 5000만달러에 도전할 계획이다. GST는 지난 6월 한국무역협회가 선정한 ‘제120회 한국을 빛낸 이달의 무역인상’을 받은 데 이어 지난 13일 ‘한국을 빛낸 올해의 무역인상’에도 선정됐다.
엔지니어로 사회 첫발
김덕준 GST 대표는 진공펌프 제조업체인 성원에드워드(현 에드워드코리아)에서 진공펌프 유지와 보수를 담당하는 엔지니어로 사회생활을 시작했다. 삼성전자가 반도체 사업에 막 뛰어들었고 국내 반도체 장비·소재 기술력은 부족하던 시절이었다. 국내 기업들은 반도체 장비 생산은 물론 유지·보수도 일본에서 배웠다.
엔지니어로 일하던 김 대표가 회사를 그만두고 일본으로 날아간 건 1980년대 후반이었다. 일본에 직접 가서 기술을 배워야겠다는 생각 때문이었다. 일본아주전문학교에 입학해 일본어를 배웠다. 한국 기업에서 일본 진공펌프 기업으로 기술을 배우러 오면 통역을 해주기도 하면서 생활을 꾸렸다. 김 대표는 “이때 사귄 일본 기업 관계자들이 창업 초기 큰 도움이 됐다”며 “돌이켜 보면 창업의 기반을 닦았던 시기”라고 말했다.
1990년 한국에 돌아와 반도체 장비 제조업체인 케이씨텍에서 일했다. 케이씨텍이 1995년 일본 업체와 합작 설립한 한국파이오닉스(현 케이피씨)로 전보 발령을 낼 무렵 창업의 꿈을 키우기 시작했다. 당시 한국파이오닉스는 스크러버 등 반도체 공정에 쓰이는 장치를 일본 파이오닉스로부터 물려받아 생산했다. 김 대표는 “독자 기술로 가스장치를 생산해보자”는 생각으로 2001년 GST를 창업했다. 사명인 글로벌스탠다드테크놀로지에는 ‘세계 표준이 될 만큼 높은 기술력으로 승부하겠다’는 회사의 목표를 담았다.
‘번 웨트 스크러버’ 국산화
스크러버 생산에 본격적으로 뛰어든 건 2003년. 당시 스크러버의 한 종류인 ‘번(burn) 웨트(wet) 스크러버’ 생산 기술을 갖추고 있던 한 독일 업체가 GST를 찾아왔다. 번 웨트 스크러버는 당시 일본 기업들이 보유한 기술보다도 앞선 방식이었다. GST가 한국에서 판매 대행을 해주기를 바랐던 독일 업체를 “국내 반도체 기업들은 국산 장비를 적극적으로 사들일 것”이라고 설득해 기술을 이전받았다.
번 웨트 스크러버를 국내에서 처음 생산한 후 납품하는 과정에서 난관도 많았다. 액화천연가스(LNG)를 활용해 위험할 것이란 편견 때문이었다. 번 웨트 스크러버는 1차로 LNG가 유해가스를 1200도 고온에서 태운 뒤 물을 촉매로 한 차례 더 정화하는 방식이다. 유해가스 정화 방식 1세대인 ‘번’과 2세대 ‘웨트’를 합쳤다.
유럽 선진국에서도 사용하는 장비라는 점을 들어 납품사를 설득했다. 김 대표는 “유해가스별로 태우거나 물을 이용하거나 특수 촉매를 쓰는 등 정화할 수 있는 방법이 다르다”며 “열을 직접 가하고 물을 이용하는 방식을 합친 공법이 GST의 강점”이라고 말했다. GST는 국내 번 웨트 스크러버 시장의 30%를 점유하고 있다.
올해 해외 매출 비중 50% 넘길 듯
GST는 중국 등으로 해외 고객을 다변화해 매출에서 차지하는 수출 비중을 꾸준히 늘려가고 있다. 지난해 기준 매출의 30% 이상이 해외에서 나왔다. 미국 글로벌파운드리, 중국 YMTC, 일본 도시바 등 해외 20개사가 고객이다. 2017년에는 삼성그룹에서 나온 매출이 74%에 달했지만 지난해에는 55%, 올 상반기에는 48%로 각각 낮아졌다. 김 대표는 “올해 해외 매출 비중이 50%를 넘길 것”이라며 “앞으로도 국내외에서 고객사를 확대하기 위해 영업 역량을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새로운 방식인 ‘플라즈마 스크러버’는 앞으로 GST의 미래 먹거리가 될 제품으로 꼽힌다. 플라즈마 스크러버는 유해가스가 빠져나갈 공간이 없이 반도체 생산장비와 밀착되는 형태다. 그만큼 유해가스 처리 효율이 높아 연내 시장에 진입하면 빠르게 판매량이 늘어날 것이라는 게 회사 측의 예상이다. 현재 전체 스크러버 시장에서 20% 수준인 시장점유율을 끌어올려 1위 사업자로 발돋움하겠다는 계획도 세웠다.
나수지 기자 suji@hankyung.com
김덕준 GST 대표는 진공펌프 제조업체인 성원에드워드(현 에드워드코리아)에서 진공펌프 유지와 보수를 담당하는 엔지니어로 사회생활을 시작했다. 삼성전자가 반도체 사업에 막 뛰어들었고 국내 반도체 장비·소재 기술력은 부족하던 시절이었다. 국내 기업들은 반도체 장비 생산은 물론 유지·보수도 일본에서 배웠다.
엔지니어로 일하던 김 대표가 회사를 그만두고 일본으로 날아간 건 1980년대 후반이었다. 일본에 직접 가서 기술을 배워야겠다는 생각 때문이었다. 일본아주전문학교에 입학해 일본어를 배웠다. 한국 기업에서 일본 진공펌프 기업으로 기술을 배우러 오면 통역을 해주기도 하면서 생활을 꾸렸다. 김 대표는 “이때 사귄 일본 기업 관계자들이 창업 초기 큰 도움이 됐다”며 “돌이켜 보면 창업의 기반을 닦았던 시기”라고 말했다.
1990년 한국에 돌아와 반도체 장비 제조업체인 케이씨텍에서 일했다. 케이씨텍이 1995년 일본 업체와 합작 설립한 한국파이오닉스(현 케이피씨)로 전보 발령을 낼 무렵 창업의 꿈을 키우기 시작했다. 당시 한국파이오닉스는 스크러버 등 반도체 공정에 쓰이는 장치를 일본 파이오닉스로부터 물려받아 생산했다. 김 대표는 “독자 기술로 가스장치를 생산해보자”는 생각으로 2001년 GST를 창업했다. 사명인 글로벌스탠다드테크놀로지에는 ‘세계 표준이 될 만큼 높은 기술력으로 승부하겠다’는 회사의 목표를 담았다.
‘번 웨트 스크러버’ 국산화
스크러버 생산에 본격적으로 뛰어든 건 2003년. 당시 스크러버의 한 종류인 ‘번(burn) 웨트(wet) 스크러버’ 생산 기술을 갖추고 있던 한 독일 업체가 GST를 찾아왔다. 번 웨트 스크러버는 당시 일본 기업들이 보유한 기술보다도 앞선 방식이었다. GST가 한국에서 판매 대행을 해주기를 바랐던 독일 업체를 “국내 반도체 기업들은 국산 장비를 적극적으로 사들일 것”이라고 설득해 기술을 이전받았다.
번 웨트 스크러버를 국내에서 처음 생산한 후 납품하는 과정에서 난관도 많았다. 액화천연가스(LNG)를 활용해 위험할 것이란 편견 때문이었다. 번 웨트 스크러버는 1차로 LNG가 유해가스를 1200도 고온에서 태운 뒤 물을 촉매로 한 차례 더 정화하는 방식이다. 유해가스 정화 방식 1세대인 ‘번’과 2세대 ‘웨트’를 합쳤다.
유럽 선진국에서도 사용하는 장비라는 점을 들어 납품사를 설득했다. 김 대표는 “유해가스별로 태우거나 물을 이용하거나 특수 촉매를 쓰는 등 정화할 수 있는 방법이 다르다”며 “열을 직접 가하고 물을 이용하는 방식을 합친 공법이 GST의 강점”이라고 말했다. GST는 국내 번 웨트 스크러버 시장의 30%를 점유하고 있다.
올해 해외 매출 비중 50% 넘길 듯
GST는 중국 등으로 해외 고객을 다변화해 매출에서 차지하는 수출 비중을 꾸준히 늘려가고 있다. 지난해 기준 매출의 30% 이상이 해외에서 나왔다. 미국 글로벌파운드리, 중국 YMTC, 일본 도시바 등 해외 20개사가 고객이다. 2017년에는 삼성그룹에서 나온 매출이 74%에 달했지만 지난해에는 55%, 올 상반기에는 48%로 각각 낮아졌다. 김 대표는 “올해 해외 매출 비중이 50%를 넘길 것”이라며 “앞으로도 국내외에서 고객사를 확대하기 위해 영업 역량을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새로운 방식인 ‘플라즈마 스크러버’는 앞으로 GST의 미래 먹거리가 될 제품으로 꼽힌다. 플라즈마 스크러버는 유해가스가 빠져나갈 공간이 없이 반도체 생산장비와 밀착되는 형태다. 그만큼 유해가스 처리 효율이 높아 연내 시장에 진입하면 빠르게 판매량이 늘어날 것이라는 게 회사 측의 예상이다. 현재 전체 스크러버 시장에서 20% 수준인 시장점유율을 끌어올려 1위 사업자로 발돋움하겠다는 계획도 세웠다.
나수지 기자 suji@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