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영민 "靑 참모들 1채만 남기고 처분"…장하성 10억 상승 눈길 "차익 실현하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사진=연합뉴스](https://img.hankyung.com/photo/201912/ZA.21225654.1.jpg)
윤도한 국민소통수석은 이날 서면브리핑에서 "노 실장은 청와대 고위공직자들의 솔선수범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노 실장은 특히 수도권 내에 2가구 이상 집을 보유한 다주택자 청와대 고위공직자들의 경우, 불가피한 사유가 없다면 이른 시일 안에 1가구를 제외한 나머지 주택을 처분할 것을 권고했다고 윤 수석은 전했다.
이같은 노 실장의 권고에 국민들은 "차익 실현하라는건가", "오를대로 올랐는데 보여주기 쇼인가", "공산주의도 아닌데 사유재산은 인정해야 하는 것 아닌가" 등의 반응을 보였다.
최근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이 재산 신고 내용을 바탕으로 전·현직 청와대 참모진 65명의 아파트와 오피스텔 가격 변동을 조사한 결과, 평균 3억 원 이상 재산이 불어났다며 정부가 과연 집값을 잡을 의지가 있다면 강력한 대책을 내놓아야 한다고 주문한 바 있다.
정부의 부동산 정책을 총괄했던 김수현 전 청와대 정책실장의 경기도 과천 주공아파트는 2017년 1월 9억 원이었던 실거래가가 지난 11월에는 19억4천만 원까지 올라갔다.
![사진=연합뉴스](https://img.hankyung.com/photo/201912/ZA.20714786.1.jpg)
"모든 국민이 강남에 가서 살 필요는 없다"는 발언으로 논란이 됐던 장하성 전 정책실장의 잠실 아파트도 10억7천만 원이나 올랐다.
특히, 상위 10명은 평균 10억 원씩 가격이 올랐다.
문 대통령은 지난달 19일 '국민과의 대화'에서 부동산 가격이 안정됐다고 자화자찬했지만 국민들이 느끼는 현실 인식과는 차이가 많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이미나 한경닷컴 기자 helper@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