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출산, 고령화의 영향으로 인구구조가 크게 변하면서 15∼64세 경제활동인구가 2022년부터 감소로 전환되고 이후 감소 폭이 해마다 확대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고용노동부는 17일 이 같은 전망을 담은 2018∼2028 중장기 인력수급 전망 보고서를 발표했다.
중장기(10년) 인력수급 전망은 미래 노동시장의 수요·공급을 예측해 국가 인적자원의 효율적 배분에 활용하려는 목적으로 2007년부터 격년으로 내놓고 있다.
고용노동부는 이번 중장기 인력수급 전망에서 저출산, 고령화 영향으로 인력 공급 제약 효과가 본격적으로 나타날 것이라고 예측했다.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 15세 이상 인구는 증가하고 있으나 증가 폭이 크게 둔화하고 있고, 15∼64세 인구는 감소하고 있으며 감소 폭이 지속해서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 중장기 인력수급 전망 기간인 2018∼2028년에는 15세 이상 인구가 190만9천명 증가하고 15∼64세 (생산가능인구)는 259만6천명 감소한다.
이 가운데 15∼64세 경제활동인구는 2022년부터 감소로 전환하고, 15세 이상 경제활동인구도 증가 추세를 보이다 2026년부터 감소할 것으로 분석됐다.
2018년 2천551만4천명이었던 15∼64세 경제활동인구는 2028년에는 2천481만6천명으로 69만9천명 줄어든다.
이 기간 15세 이상 경제활동 인구가 2천789만5천명에서 2천913만4천명으로 123만8천명 증가하는 것을 계산하면 2028년에는 2008년보다 65세 이상 노령층 경제활동인구가 193만7천명 늘어나게 되는 셈이다. 고용노동부는 2028년까지 인구 증가가 둔화하지만, 경제성장으로 인력 수요가 증가하면서 15∼64세의 경제활동참가율은 높아질 것으로 예상했다.
지난해 15∼64세 경제활동참가율은 69.3%였으나 2028년에는 72.6%까지 높아질 것으로 예측됐다.
고학력화, 고용환경 개선 등으로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은 지난해 52.9%에서 2028년에는 53.7%로 높아질 것으로 나타났으나 남성은 73.7%에서 73.0%로 낮아질 것으로 전망됐다.
고령화 영향으로 70세 이상 경제활동참가율이 중장기 인력수급 전망 기간에 4.1%포인트 높아지면서 15∼29세(3.8% 포인트)를 제치고 전 연령대에서 가장 높은 증가율을 기록할 것으로 예측됐다.
업종별 취업자는 2028년까지 전문과학기술 서비스업(+15만명), 숙박·음식점업(+13만명), 공공행정·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13만명), 정보통신업(+12만명) 등의 분야가 증가세를 주도할 것으로 전망됐다.
세부 직업별 취업자는 돌봄·보건(+14만7천 명), 컴퓨터 시스템·소프트웨어(+5만8천 명) 등이 큰 폭으로 증가하고, 섬유·가죽 기능 종사자(-2만1천 명), 교수 및 강사, 학교 교사(-2만8천 명) 등은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신규 인력은 고졸자(-60만 명), 대졸자(-45만 명)가 초과 수요인 반면, 전문대(+64만 명)는 기술 발전 등으로 중간 숙련 수요가 감소하면서 초과 공급될 것으로 예상됐다.
한편, 고용노동부는 4차 산업혁명에 적극적으로 대응하면서 기술발전 속도가 빠르게 진행될 경우에는 2020년대 후반기부터 성장 효과가 가시화해 전체 취업자가 2035년에 기준 전망(2천774만9천명)보다 48만명 더 증가할 것이라는 예측도 덧붙였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