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 광주교도소 미확인 유골 40여구 발견…5·18연관성 주목(종합3보)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김오수 장관대행 현장 확인 방문 "어떤 이유로 미확인 유골 묻혔는지 조사할 것"
1차 육안 검사에서 구멍 뚫린 두개골 2개 발견…어린이 추정 두개골도
국과수로 보내 DNA 분석 등 정확한 신원 확인 계획 옛 광주교도소 무연고자 묘지에서 40여구의 신원미상 유골이 발굴됐다.
법무부는 광주 북구 문흥동 옛 광주교도소 부지 내 무연고자 공동묘지 개장 작업을 하던 중 신원미상의 유골 40여구를 발견했다고 20일 밝혔다.
무연고자 공동묘지는 가족 등 연고가 없는 사람이 교도소 안에서 사망했을 때 매장하는 장소다.
이곳은 법무부의 솔로몬 로파크 조성 사업 부지에 포함되면서 최근 묘지 이전 작업이 이뤄지고 있었다.
법무부는 여기에 있던 개인묘 50기와 합장묘 2기에 누가 묻혀있는지 신원을 기록·관리하고 있었다.
이 가운데 합장묘 1기에는 41구의 유골이 안치돼 있다고 기록돼 있었지만 무덤을 여는 개장 작업 과정에서 40여구의 유골이 추가로 발견됐다.
해당 합장묘 봉분 아래에는 1.5m 깊이로 사각형의 콘크리트 구조물이 묻혀 있었는데 그 안에 41구의 유골이 안치돼 있었고, 그 위에 또 다른 40여구의 유골이 발견된 것이다.
다른 개인묘 50기와 합장묘 1기에서는 기록과 동일한 유골이 나왔다.
5·18구속부상자회 문흥식 회장은 "작업자들이 합장묘 봉분을 20~30㎝ 정도 걷어냈을 때 유골 40여구가 나와 기록상에 나타난 유골인 줄 알고 수습을 했다고 한다"며 "이후 그 아래에 있던 콘크리트 구조물을 확인해 봤더니 그 안에 41구의 유골이 또 있어 법무부에 보고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유골이 들어있던 콘크리트 구조물은 1971년 교도소를 이곳으로 이전할 때 만들어진 것으로 보인다"며 "작업자들이 처음에 발견했던 40여구의 유골이 5·18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고 말했다.
김오수 법무부 장관 대행은 이러한 보고를 접한 직후 곧바로 현장을 찾아와 상황을 확인하고 관계자로부터 관련 보고를 들었다.
또 검경과 군 유해발굴단, 의문사조사위 관계자 등으로 이뤄진 합동조사반이 꾸려져 육안 검시를 했다.
검시 결과 구멍이 뚫린 두개골 2개가 발견됐고, 어린아이의 것으로 추정되는 작은 크기의 두개골도 발견된 것으로 알려졌다.
합동조사반은 미확인 유골을 국립과학수사연구원으로 보내 정밀 검사와 유전자 검사 등으로 신원을 확인할 예정이다.
주목할 점은 추가로 드러난 미확인 유골 40여구가 5·18당시 암매장된 행불자일 가능성이 있다는 점이다.
매장된 유골 위에 또 다른 유골이 묻혀 있는 것은 매우 이례적이고 봉분과 얕은 곳에서 유골이 발견돼 마치 급하게 매장한 것처럼 보인다고 5·18단체 관계자는 지적했다.
이를 두고 김 대행은 "우리가 관리하지 않은 유골이 발견됐기 때문에 모든 가능성을 열어놓고 확인·점검할 필요가 있다"며 "어떤 연유로 (법무부가) 관리하지 않은 유골이 교도소 내에 묻히게 됐는지 확인하는 것이 조사의 핵심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현재로서는 5·18과 관련이 있는지 속단하기 어렵다"며 "하지만 가능성은 확인해봐야 한다"고 덧붙였다.
김후식 5·18부상자회장은 "유류품이 전혀 나오지 않아 5·18행방불명자일지 아니면 다른 사람의 유골일지는 아직 알 수 없다"며 "만약 5·18행방불명자가 아니더라도 매장 경위와 신원을 명확히 밝혀야 한다"고 말했다.
옛 광주교도소서 시신 40여구 나와…법무부 확인 중 / 연합뉴스 (Yonhapnews)
5·18 사적지 22호로 지정된 옛 광주교도소는 당시 계엄군에 붙잡힌 시민들이 대거 수감된 곳으로 시위 과정에서 숨진 사람이 암매장됐을 거라는 말이 나돌던 곳이다.
특히 당시 계엄군의 총격으로 담양과 순천 쪽으로 향하던 시민 수십 명이 희생된 곳으로 알려져 있다.
이곳에 있던 광주교도소는 북구 삼각동으로 신축·이전했다.
/연합뉴스
1차 육안 검사에서 구멍 뚫린 두개골 2개 발견…어린이 추정 두개골도
국과수로 보내 DNA 분석 등 정확한 신원 확인 계획 옛 광주교도소 무연고자 묘지에서 40여구의 신원미상 유골이 발굴됐다.
법무부는 광주 북구 문흥동 옛 광주교도소 부지 내 무연고자 공동묘지 개장 작업을 하던 중 신원미상의 유골 40여구를 발견했다고 20일 밝혔다.
무연고자 공동묘지는 가족 등 연고가 없는 사람이 교도소 안에서 사망했을 때 매장하는 장소다.
이곳은 법무부의 솔로몬 로파크 조성 사업 부지에 포함되면서 최근 묘지 이전 작업이 이뤄지고 있었다.
법무부는 여기에 있던 개인묘 50기와 합장묘 2기에 누가 묻혀있는지 신원을 기록·관리하고 있었다.
이 가운데 합장묘 1기에는 41구의 유골이 안치돼 있다고 기록돼 있었지만 무덤을 여는 개장 작업 과정에서 40여구의 유골이 추가로 발견됐다.
해당 합장묘 봉분 아래에는 1.5m 깊이로 사각형의 콘크리트 구조물이 묻혀 있었는데 그 안에 41구의 유골이 안치돼 있었고, 그 위에 또 다른 40여구의 유골이 발견된 것이다.
다른 개인묘 50기와 합장묘 1기에서는 기록과 동일한 유골이 나왔다.
5·18구속부상자회 문흥식 회장은 "작업자들이 합장묘 봉분을 20~30㎝ 정도 걷어냈을 때 유골 40여구가 나와 기록상에 나타난 유골인 줄 알고 수습을 했다고 한다"며 "이후 그 아래에 있던 콘크리트 구조물을 확인해 봤더니 그 안에 41구의 유골이 또 있어 법무부에 보고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유골이 들어있던 콘크리트 구조물은 1971년 교도소를 이곳으로 이전할 때 만들어진 것으로 보인다"며 "작업자들이 처음에 발견했던 40여구의 유골이 5·18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고 말했다.
김오수 법무부 장관 대행은 이러한 보고를 접한 직후 곧바로 현장을 찾아와 상황을 확인하고 관계자로부터 관련 보고를 들었다.
또 검경과 군 유해발굴단, 의문사조사위 관계자 등으로 이뤄진 합동조사반이 꾸려져 육안 검시를 했다.
검시 결과 구멍이 뚫린 두개골 2개가 발견됐고, 어린아이의 것으로 추정되는 작은 크기의 두개골도 발견된 것으로 알려졌다.
합동조사반은 미확인 유골을 국립과학수사연구원으로 보내 정밀 검사와 유전자 검사 등으로 신원을 확인할 예정이다.
주목할 점은 추가로 드러난 미확인 유골 40여구가 5·18당시 암매장된 행불자일 가능성이 있다는 점이다.
매장된 유골 위에 또 다른 유골이 묻혀 있는 것은 매우 이례적이고 봉분과 얕은 곳에서 유골이 발견돼 마치 급하게 매장한 것처럼 보인다고 5·18단체 관계자는 지적했다.
이를 두고 김 대행은 "우리가 관리하지 않은 유골이 발견됐기 때문에 모든 가능성을 열어놓고 확인·점검할 필요가 있다"며 "어떤 연유로 (법무부가) 관리하지 않은 유골이 교도소 내에 묻히게 됐는지 확인하는 것이 조사의 핵심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현재로서는 5·18과 관련이 있는지 속단하기 어렵다"며 "하지만 가능성은 확인해봐야 한다"고 덧붙였다.
김후식 5·18부상자회장은 "유류품이 전혀 나오지 않아 5·18행방불명자일지 아니면 다른 사람의 유골일지는 아직 알 수 없다"며 "만약 5·18행방불명자가 아니더라도 매장 경위와 신원을 명확히 밝혀야 한다"고 말했다.
5·18 사적지 22호로 지정된 옛 광주교도소는 당시 계엄군에 붙잡힌 시민들이 대거 수감된 곳으로 시위 과정에서 숨진 사람이 암매장됐을 거라는 말이 나돌던 곳이다.
특히 당시 계엄군의 총격으로 담양과 순천 쪽으로 향하던 시민 수십 명이 희생된 곳으로 알려져 있다.
이곳에 있던 광주교도소는 북구 삼각동으로 신축·이전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