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공대·순천향대 교수팀 "호중구 천식 치료 가능성 제시"
난치성 천식 감별하는 바이오마커 찾았다
난치성 천식을 감별할 수 있는 바이오마커가 발굴됐다.

바이오마커는 질병의 진행 정도를 진단하는 생물학적 지표이다.

한국연구재단은 포항공대 이승우 교수·순천향대 부천병원 박춘식 교수 연구팀이 기도 내에 존재하는 '과립구자극인자'(G-CSF)가 호중구 천식을 분류할 수 있는 바이오마커가 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고 22일 밝혔다.

천식은 기관지가 특정 물질에 과민하게 반응하는 염증 질환이다.

대부분 천식을 일으키는 염증세포인 '호산구'가 기도에 쌓이면서 발병한다.

일부 백혈구 내 '호중구' 세포가 분비하는 염증 물질로 인해 기도가 손상되는 천식 환자군이 확인됐는데, 호산구 천식 환자와 달리 스테로이드 제제에 저항성을 보인다.

호중구 세포가 스테로이드에 의해 사멸하지 않아 호중구 천식에는 현재까지 특별한 치료제가 없는 실정이다.

연구팀은 동물 실험을 통해 골수에서 백혈구를 만드는 데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진 과립구자극인자가 호중구 천식 환자에서 호산구 천식 환자와 비교해 12배 이상 높게 발현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실제 호중구 천식 환자의 가래에서도 과립구자극인자가 호산구 천식 환자보다 3배 이상 높게 발현됐다.

과립구자극인자가 호중구 천식 환자에서 높게 나타나는 원인도 밝혀냈다.

호중구 천식의 원인이 되는 염증 물질이 기도 상피세포를 자극하면 과립구자극인자가 분비되고, 과립구자극인자는 혈류를 통해 골수로 이동, 호중구 생성을 촉진함으로써 천식을 악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항체를 이용해 과립구자극인자를 만드는 염증 물질을 억제하자 과립구자극인자가 눈에 띄게 줄면서 천식 반응이 감소했다고 연구팀은 전했다.

이승우 교수는 "과립구자극인자의 농도를 바탕으로 호중구 천식 환자를 분류하고, 이미 상용화된 항체를 이용해 난치성 천식을 치료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했다"고 연구 의의를 밝혔다.

이번 연구 성과는 국제학술지 '유럽호흡기학회저널'(European Respiratory Journal) 지난달 19일 자에 실렸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