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년짜리 '전력수급계획' 해 넘긴다…특례할인은 폐지 가닥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전기차·전통시장 할인 연내 종료
"사실상 전기요금 인상안" 반발
30일 한전 이사회서 확정하기로
"사실상 전기요금 인상안" 반발
30일 한전 이사회서 확정하기로
정부가 연말까지 내놓기로 했던 제9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을 수립하지 못하고 결국 해를 넘기게 됐다. 2년 단위로 짜야 할 법정계획 일정을 정부 스스로 어겼다는 지적이 나온다. 정부와 한국전력은 연내 만료되는 전기자동차 충전할인 등 특례할인을 일괄 종료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았다.
“올해 계획을 내년에 짤 판”
9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은 2019년부터 2033년까지 15년간 전력계획으로, 원자력 석탄 재생에너지 등의 발전 비중을 정하는 게 골자다. 전기사업법 시행령에 따라 2년 단위로 짜는 게 원칙이다. 이 장기계획 확정이 해를 넘기는 건 이례적이다. 전년도 전력수급 계획을 이듬해 내놓는 상황이 빚어지게 돼서다.
9차 계획 수립이 늦어진 건 올해 도입된 전략환경영향평가 제도 때문이란 게 산업통상자원부의 설명이다. 전략환경영향평가는 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상위 계획을 수립할 때 환경보전 계획과 부합하는지 확인하는 절차다. 산업부 관계자는 “전력계획 수립에 앞서 공청회와 국회 보고 등을 해야 하기 때문에 연내 내놓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정부가 원전 및 재생에너지 비중을 조정하는 데 애를 먹고 있는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온다. 원전을 더 줄이고 재생에너지를 늘리면 전기요금의 급격한 인상이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탈원전 정책을 처음 공식화한 2017년 제8차 전력계획에서 현재 24기인 원전을 2030년 18기로 감축하고 재생에너지 비중은 6%에서 20%로 확대하기로 했다.
산업부는 9차 계획에 석탄발전의 세율 인상, 전력수요 감축, 전기요금 인상 등을 포함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전력계획 수립이 늦어지면서 발전회사들의 경영 불확실성이 커지게 됐다. 한 발전사 관계자는 “발전원별 설비 비중 등이 확정돼야 우리도 세부 계획을 짤 수 있기 때문에 정부 발표를 기다리고 있다”고 말했다.
특례할인은 일괄 종료 ‘가닥’
정부는 종료 시한이 다가오는 전기요금 특례할인을 연장하지 않는 쪽에 무게중심을 두고 있다. 한국전력 한국동서발전 등 전력·발전회사의 재무구조가 급속히 악화하고 있어서다. 2016년 12조원 넘는 이익을 냈던 한전은 지난해 6년 만의 적자(-2080억원)로 돌아선 데 이어 올해도 큰 폭의 손실이 불가피하다. 한전은 이번주 ‘특례할인 일괄 종료’를 골자로 한 전기요금 조정안을 마련해 정부와 협의한 뒤 오는 30일 이사회에서 최종 확정할 계획이다.
이달 종료되는 특례할인은 전기차 충전(전력량 요금의 50% 할인)과 전통시장(월 5.9% 할인), 주택용 절전(월 10~15% 할인) 등 세 가지다. 할인액은 올 1~6월 기준 전기차 152억원, 전통시장 12억원, 주택용 절전 163억원 등이다. 별도 종료 시한이 없는 초·중·고 냉난방 할인(6~50%)도 할인 폭을 줄이거나 없애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다만 내년 4월 총선을 앞둔 상황에서 여당 반대가 변수다.
일각에선 탈원전 정책으로 에너지 공기업들의 적자가 누적되자 엉뚱하게 전략산업 분야나 취약계층에 대한 지원을 없애려는 것 아니냐는 비판을 내놓고 있다. 이덕환 서강대 화학과 명예교수는 “특례할인 종료는 탈원전 정책에 따른 공기업 부실을 힘없는 서민에게 떠넘기는 잘못된 정책”이라고 지적했다.
조재길 기자 road@hankyung.com
9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은 2019년부터 2033년까지 15년간 전력계획으로, 원자력 석탄 재생에너지 등의 발전 비중을 정하는 게 골자다. 전기사업법 시행령에 따라 2년 단위로 짜는 게 원칙이다. 이 장기계획 확정이 해를 넘기는 건 이례적이다. 전년도 전력수급 계획을 이듬해 내놓는 상황이 빚어지게 돼서다.
9차 계획 수립이 늦어진 건 올해 도입된 전략환경영향평가 제도 때문이란 게 산업통상자원부의 설명이다. 전략환경영향평가는 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상위 계획을 수립할 때 환경보전 계획과 부합하는지 확인하는 절차다. 산업부 관계자는 “전력계획 수립에 앞서 공청회와 국회 보고 등을 해야 하기 때문에 연내 내놓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정부가 원전 및 재생에너지 비중을 조정하는 데 애를 먹고 있는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온다. 원전을 더 줄이고 재생에너지를 늘리면 전기요금의 급격한 인상이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탈원전 정책을 처음 공식화한 2017년 제8차 전력계획에서 현재 24기인 원전을 2030년 18기로 감축하고 재생에너지 비중은 6%에서 20%로 확대하기로 했다.
산업부는 9차 계획에 석탄발전의 세율 인상, 전력수요 감축, 전기요금 인상 등을 포함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전력계획 수립이 늦어지면서 발전회사들의 경영 불확실성이 커지게 됐다. 한 발전사 관계자는 “발전원별 설비 비중 등이 확정돼야 우리도 세부 계획을 짤 수 있기 때문에 정부 발표를 기다리고 있다”고 말했다.
특례할인은 일괄 종료 ‘가닥’
정부는 종료 시한이 다가오는 전기요금 특례할인을 연장하지 않는 쪽에 무게중심을 두고 있다. 한국전력 한국동서발전 등 전력·발전회사의 재무구조가 급속히 악화하고 있어서다. 2016년 12조원 넘는 이익을 냈던 한전은 지난해 6년 만의 적자(-2080억원)로 돌아선 데 이어 올해도 큰 폭의 손실이 불가피하다. 한전은 이번주 ‘특례할인 일괄 종료’를 골자로 한 전기요금 조정안을 마련해 정부와 협의한 뒤 오는 30일 이사회에서 최종 확정할 계획이다.
이달 종료되는 특례할인은 전기차 충전(전력량 요금의 50% 할인)과 전통시장(월 5.9% 할인), 주택용 절전(월 10~15% 할인) 등 세 가지다. 할인액은 올 1~6월 기준 전기차 152억원, 전통시장 12억원, 주택용 절전 163억원 등이다. 별도 종료 시한이 없는 초·중·고 냉난방 할인(6~50%)도 할인 폭을 줄이거나 없애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다만 내년 4월 총선을 앞둔 상황에서 여당 반대가 변수다.
일각에선 탈원전 정책으로 에너지 공기업들의 적자가 누적되자 엉뚱하게 전략산업 분야나 취약계층에 대한 지원을 없애려는 것 아니냐는 비판을 내놓고 있다. 이덕환 서강대 화학과 명예교수는 “특례할인 종료는 탈원전 정책에 따른 공기업 부실을 힘없는 서민에게 떠넘기는 잘못된 정책”이라고 지적했다.
조재길 기자 road@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