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산공원 60만㎡ 확대…한복판 드래곤힐호텔은 편입 안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제1회 용산공원조성추진위 개최…외인아파트 체험 공간으로 개방
주한미군이 이전하는 서울 용산기지를 중심으로 조성되는 용산국가공원 구역이 60만㎡ 더 늘어난다.
내년 하반기에는 기지 내 외인아파트를 보수해 시민에게 체험 공간으로 개방한다.
용산공원 조성을 본격 추진할 제1기 용산공원조성추진위원회 민간공동위원장으로 유홍준 명지대 석좌교수가 임명됐다.
정부는 23일 이낙연 국무총리와 유홍준 위원장 공동 주재로 제1회 용산공원조성추진위원회 회의를 열어 용산공원 경계를 확장하기 위한 추진계획을 심의·의결했다. 우선 정부는 용산공원 구역을 현 243만㎡에서 303만㎡으로 약 60만㎡(24.7%) 확장하기로 했다.
용산공원 북단의 옛 방위사업청 부지 약 7만3천㎡와 군인아파트 부지(4만4천㎡)가 용산공원 경계 내로 편입된다.
용산기지 인근 국립중앙박물관(29만5천㎡), 전쟁기념관(11만6천㎡), 용산가족공원(7만6천㎡)도 공원 구역으로 들어온다.
국토교통부는 내년 중 이를 반영한 용산공원정비구역을 고시할 예정이다.
국토부는 "이를 통해 단절된 남산∼한강 녹지축을 연결하고, 용산공원 남측과 북측의 접근성을 높일 수 있게 됐다"고 밝혔다.
그러나 사실상 용산공원 권역에 있고 다른 시설로 개발이 곤란한 부지를 행정적으로 용산공원 구역에 넣는다는 차원으로, 공원이 확장된다는 것을 국민이 체감하기는 어려운 수준이다.
특히 용산공원 부지 한복판에 있는 미군의 드래곤힐호텔(8만4천㎡)과 헬기장(5만7천㎡) 등은 여전히 공원구역에 포함되지 못했다. 한미는 이미 2004년 드래곤힐호텔과 헬기장을 비롯해 미 대사관과 대사관 직원 숙소(7만9천㎡), 출입·방호시설 등을 잔류하기로 합의한 바 있다.
서울시와 용산구청 등은 드래곤힐호텔의 이전을 강력히 주장해 왔으나 정부는 이미 이와 관련한 내용은 한미간 협의가 끝났다는 입장이다.
용산공원이 조성되고 나서도 공원 한복판에 미군만 입장할 수 있는 드래곤힐호텔 등이 버티고 있다면 역사·민족 공원을 표방하는 용산공원의 취지가 무색해질 것이라는 지적이 일찌감치 제기된 바 있다.
이와 함께 정부는 이날 제1기 용산공원조성추진위를 구성하고, 국무총리와 함께 이를 이끌어 갈 민간공동위원장으로 유홍준 교수를 임명했다. 향후 2년간 활동하게 될 1기 위원회는 분기마다 정례 회의를 개최하되, 현안이 발생하면 수시 회의를 열게 된다.
위원회는 내년 상반기 조경·환경·건축·역사 등 분야별 전문가 토론회를 열어 공원 조성 실행계획안을 보완하고, 하반기에는 대국민 토론회 등을 통해 국민 의견을 수렴한다.
네덜란드 조경기업 웨스트에이트와 건축사무소 이로재가 '생태와 역사가 살아있는 공간'을 기본 콘셉트로 용산공원 설계용역 안을 마련한 바 있는데, 정부는 의견수렴 등을 거쳐 2021년에는 기본설계안을 확정할 예정이다.
정부는 1986년 미군으로부터 이미 돌려받았으나 그간 미군이 임차해 사용해 온 외인아파트를 유지보수를 거쳐 내년 하반기부터 국민 체험 공간으로 순차적으로 개방할 예정이다. 정부는 외인아파트를 단기 체류형 숙박시설과 작은 도서관, 용산 아카이브 전시관 등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기지 내부를 둘러볼 수 있는 버스투어를 확대해 미래세대, 소외지역 주민 등을 초청하는 테마형 그룹투어를 추진한다.
미군의 평택 이전이 진행됨에 따라 정부는 내년 상반기에 용산기지 시설물 전체에 대한 기본조사를 벌이고, 내년 7∼9월에는 보존가치가 높은 시설물에 대해 정밀안전진단과 3D 촬영을 병행한다.
정부는 내년 연말까지 조사결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하고서 존치가 필요한 주요 시설물을 대상으로 향후 관리방안을 마련해 나갈 계획이다.
이낙연 총리는 "용산기지는 대도시 한복판의 생태자연공원, 민족의 비극적 역사를 기억하되 그것을 딛고 미래를 꿈꾸는 공간으로 변모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주한미군이 이전하는 서울 용산기지를 중심으로 조성되는 용산국가공원 구역이 60만㎡ 더 늘어난다.
내년 하반기에는 기지 내 외인아파트를 보수해 시민에게 체험 공간으로 개방한다.
용산공원 조성을 본격 추진할 제1기 용산공원조성추진위원회 민간공동위원장으로 유홍준 명지대 석좌교수가 임명됐다.
정부는 23일 이낙연 국무총리와 유홍준 위원장 공동 주재로 제1회 용산공원조성추진위원회 회의를 열어 용산공원 경계를 확장하기 위한 추진계획을 심의·의결했다. 우선 정부는 용산공원 구역을 현 243만㎡에서 303만㎡으로 약 60만㎡(24.7%) 확장하기로 했다.
용산공원 북단의 옛 방위사업청 부지 약 7만3천㎡와 군인아파트 부지(4만4천㎡)가 용산공원 경계 내로 편입된다.
용산기지 인근 국립중앙박물관(29만5천㎡), 전쟁기념관(11만6천㎡), 용산가족공원(7만6천㎡)도 공원 구역으로 들어온다.
국토교통부는 내년 중 이를 반영한 용산공원정비구역을 고시할 예정이다.
국토부는 "이를 통해 단절된 남산∼한강 녹지축을 연결하고, 용산공원 남측과 북측의 접근성을 높일 수 있게 됐다"고 밝혔다.
그러나 사실상 용산공원 권역에 있고 다른 시설로 개발이 곤란한 부지를 행정적으로 용산공원 구역에 넣는다는 차원으로, 공원이 확장된다는 것을 국민이 체감하기는 어려운 수준이다.
특히 용산공원 부지 한복판에 있는 미군의 드래곤힐호텔(8만4천㎡)과 헬기장(5만7천㎡) 등은 여전히 공원구역에 포함되지 못했다. 한미는 이미 2004년 드래곤힐호텔과 헬기장을 비롯해 미 대사관과 대사관 직원 숙소(7만9천㎡), 출입·방호시설 등을 잔류하기로 합의한 바 있다.
서울시와 용산구청 등은 드래곤힐호텔의 이전을 강력히 주장해 왔으나 정부는 이미 이와 관련한 내용은 한미간 협의가 끝났다는 입장이다.
용산공원이 조성되고 나서도 공원 한복판에 미군만 입장할 수 있는 드래곤힐호텔 등이 버티고 있다면 역사·민족 공원을 표방하는 용산공원의 취지가 무색해질 것이라는 지적이 일찌감치 제기된 바 있다.
이와 함께 정부는 이날 제1기 용산공원조성추진위를 구성하고, 국무총리와 함께 이를 이끌어 갈 민간공동위원장으로 유홍준 교수를 임명했다. 향후 2년간 활동하게 될 1기 위원회는 분기마다 정례 회의를 개최하되, 현안이 발생하면 수시 회의를 열게 된다.
위원회는 내년 상반기 조경·환경·건축·역사 등 분야별 전문가 토론회를 열어 공원 조성 실행계획안을 보완하고, 하반기에는 대국민 토론회 등을 통해 국민 의견을 수렴한다.
네덜란드 조경기업 웨스트에이트와 건축사무소 이로재가 '생태와 역사가 살아있는 공간'을 기본 콘셉트로 용산공원 설계용역 안을 마련한 바 있는데, 정부는 의견수렴 등을 거쳐 2021년에는 기본설계안을 확정할 예정이다.
정부는 1986년 미군으로부터 이미 돌려받았으나 그간 미군이 임차해 사용해 온 외인아파트를 유지보수를 거쳐 내년 하반기부터 국민 체험 공간으로 순차적으로 개방할 예정이다. 정부는 외인아파트를 단기 체류형 숙박시설과 작은 도서관, 용산 아카이브 전시관 등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기지 내부를 둘러볼 수 있는 버스투어를 확대해 미래세대, 소외지역 주민 등을 초청하는 테마형 그룹투어를 추진한다.
미군의 평택 이전이 진행됨에 따라 정부는 내년 상반기에 용산기지 시설물 전체에 대한 기본조사를 벌이고, 내년 7∼9월에는 보존가치가 높은 시설물에 대해 정밀안전진단과 3D 촬영을 병행한다.
정부는 내년 연말까지 조사결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하고서 존치가 필요한 주요 시설물을 대상으로 향후 관리방안을 마련해 나갈 계획이다.
이낙연 총리는 "용산기지는 대도시 한복판의 생태자연공원, 민족의 비극적 역사를 기억하되 그것을 딛고 미래를 꿈꾸는 공간으로 변모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