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 방위사업청·군인아파트 편입…더 넓어지는 용산공원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243만㎡에서 303만㎡로
미군 쓰던 외인아파트 내년 개방
단절된 남산~한강 녹지축 연결
미군 쓰던 외인아파트 내년 개방
단절된 남산~한강 녹지축 연결
정부가 서울 용산 주한미군 기지 터에 조성할 공원 규모를 기존 243만㎡에서 303만㎡로 넓히기로 했다. 내년 하반기에는 미군이 사용하던 외인아파트 등을 민간에 개방한다. 공원 조성사업을 총괄할 민간위원장에는 유홍준 전 문화재청장을 임명했다.
국토교통부와 서울시는 23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이낙연 국무총리와 유홍준 위원장 주재로 제1회 용산공원조성추진위원회를 열고 이런 내용을 포함한 추진 계획을 심의·의결했다. 정부·민간위원 30명으로 구성된 이 위원회는 2021년 12월까지 용산공원 조성에 대한 기본 정책과 제도 등을 심의한다.
이날 위원회는 용산공원 구역을 243만㎡에서 303만㎡로 60만㎡ 넓히기로 했다. 용산공원 북쪽에 있는 옛 방위사업청과 군인아파트 부지를 경계 안으로 편입한다. 국립중앙박물관(29만5000㎡), 전쟁기념관(11만6000㎡), 용산가족공원(7만6000㎡)도 구역에 포함한다. 이를 통해 용산공원 남북 간 접근성을 높일 계획이다. 서울시는 경계 확장을 반영해 내년 이후 용산공원정비구역 지정을 고시할 예정이다. 구체적인 내용을 담은 용산공원 실행계획은 전문가와 국민 의견을 수렴한 뒤 2021년 6월께 확정하기로 했다.
주한미군이 쓰던 시설은 내년부터 국민에게 공개한다. 1986년부터 미군이 임차해 쓰던 외인아파트는 보수를 거쳐 시민 체험 공간으로 바꾼다.
공원 시설물 관리방안도 새로 마련한다. 미군기지 평택 이전이 마무리되면서 시설물 정밀조사를 할 수 있게 됐다는 게 국토부 설명이다. 그동안은 보안상 이유로 외부 육안조사만 허용됐다. 정부는 1단계로 내년 상반기에 시설물 전체에 대한 기본 조사를 한 뒤 2단계로 내년 7~9월 보존가치가 높은 시설물에 대해 정밀안전진단 및 3차원 촬영을 병행하기로 했다. 마지막 3단계로 내년 10~12월 조사 결과를 고려해 존치가 필요한 시설물을 대상으로 향후 관리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용산공원 조성사업은 주한미군이 쓰던 용산기지 일대를 국가공원으로 바꾸는 사업이다. 공원 조성이 끝나면 약 15만 그루 나무가 심어져 연 6t의 미세먼지 흡수 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정부는 추산했다.
양길성 기자 vertigo@hankyung.com
국토교통부와 서울시는 23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이낙연 국무총리와 유홍준 위원장 주재로 제1회 용산공원조성추진위원회를 열고 이런 내용을 포함한 추진 계획을 심의·의결했다. 정부·민간위원 30명으로 구성된 이 위원회는 2021년 12월까지 용산공원 조성에 대한 기본 정책과 제도 등을 심의한다.
이날 위원회는 용산공원 구역을 243만㎡에서 303만㎡로 60만㎡ 넓히기로 했다. 용산공원 북쪽에 있는 옛 방위사업청과 군인아파트 부지를 경계 안으로 편입한다. 국립중앙박물관(29만5000㎡), 전쟁기념관(11만6000㎡), 용산가족공원(7만6000㎡)도 구역에 포함한다. 이를 통해 용산공원 남북 간 접근성을 높일 계획이다. 서울시는 경계 확장을 반영해 내년 이후 용산공원정비구역 지정을 고시할 예정이다. 구체적인 내용을 담은 용산공원 실행계획은 전문가와 국민 의견을 수렴한 뒤 2021년 6월께 확정하기로 했다.
주한미군이 쓰던 시설은 내년부터 국민에게 공개한다. 1986년부터 미군이 임차해 쓰던 외인아파트는 보수를 거쳐 시민 체험 공간으로 바꾼다.
공원 시설물 관리방안도 새로 마련한다. 미군기지 평택 이전이 마무리되면서 시설물 정밀조사를 할 수 있게 됐다는 게 국토부 설명이다. 그동안은 보안상 이유로 외부 육안조사만 허용됐다. 정부는 1단계로 내년 상반기에 시설물 전체에 대한 기본 조사를 한 뒤 2단계로 내년 7~9월 보존가치가 높은 시설물에 대해 정밀안전진단 및 3차원 촬영을 병행하기로 했다. 마지막 3단계로 내년 10~12월 조사 결과를 고려해 존치가 필요한 시설물을 대상으로 향후 관리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용산공원 조성사업은 주한미군이 쓰던 용산기지 일대를 국가공원으로 바꾸는 사업이다. 공원 조성이 끝나면 약 15만 그루 나무가 심어져 연 6t의 미세먼지 흡수 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정부는 추산했다.
양길성 기자 vertig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