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범 기획재정부 제1차관이 24일 오전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열린 '확대 거시경제 금융 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김용범 기획재정부 제1차관이 24일 오전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열린 '확대 거시경제 금융 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부가 내년 초분터 실물경제 여건이 개선될 것이란 전망을 내놨다. 경기 반등을 위해 역량을 집중시키겠다는 계획도 밝혔다.

김용범 기획재정부 1차관은 24일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확대거시경제금융회의'를 열고 "실물경제는 수출과 건설투자가 성장을 제약하는 모습이지만 내년 초부터 전반적인 실물경제 여건이 나아질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그는 "내년 세계 경제의 성장률과 교역이 개선돼 수출이 증가세로 전환하고 성장률도 높아질 것으로 전망된다"면서 "심기일전해 금융시장 안정은 물론 경기 반등과 성장잠재력 제고 모멘텀을 만드는 데 모든 역량을 집중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미국과 중국의 무역 협상과 브렉시트(영국의 유럽연합 탈퇴), 홍콩 사태 등과 관련한 불확실성은 여전하다고 지적했다. 주요국 통화정책 기조 변화와 미국의 장단기금리 역전, 모건스탠리 캐피털 인터내셔널(MSCI) 지수 조정 등은 올 한 해 금융시장 변동성을 확대한 리스크 요인으로 꼽혔다. 최근에도 미국 단기 자금시장을 중심으로 불안한 모습이 감지되는 모습이다.

미국 자금시장은 지난 9월 초단기금리가 10%까지 치솟는 기현상이 발생했다. 뉴욕 연방준비은행은 시중에 유동성을 공급하기 위해 레포(Repo·환매조건부채권) 거래 한도를 대폭 늘린 바 있다. 김 차관은 "9월 중 불안 현상을 보인 레포 시장에 대해서도 지속적인 관심과 원인 분석이 필요해 오늘 관련 리스크 요인을 면밀히 논의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정부는 내년도 국내 금융시장 안정을 위한 대응 방안도 제시했다. 김 차관은 "외국인 채권자금의 안정적인 유입을 위해 글로벌 채권지수 편입 필요성을 검토할 방침"이라면서 "장기물 국고채 공급을 확대하는 등 국고채 시장 발전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