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천문'의 허진호 감독은 27일 대전 한 카페에서 열린 천문학자들과의 간담회에서 작품 의도에 대해 이렇게 설명했다.
이날 행사는 세종과 장영실을 다룬 영화 천문을 통해 조선의 과학기술을 재조명하고 지금 시대에 갖는 의미를 되새기기 위해 마련했다.
허 감독은 물시계 '자격루'와 천문시계 '혼천의' 등 장영실의 발명품을 통해 세종이 '한글' 만큼이나 조선의 시간을 백성들에게 알려주고 싶어했다고 설명했다.
박홍수 조감독도 "조선에도 우리의 땅이 있고, 우리의 시간이 있고, 독립된 주체성이 있다는 것을 영화를 통해 보여주고 싶었다"고 덧붙였다.
간담회에 이어 감독 등 스태프와 천문학자들, 일반 관객이 참여한 가운데 인근 영화관에서 상영회가 열렸다.
천문학자들은 상영회에 앞서 열린 영화 해설에서 우주과학에 대한 세종의 열정에는 백성들을 사랑하는 마음이 담겨 있었다고 설명했다.
최고은 천문연 박사는 이날 상영에 앞서 열린 '영화 속 과학이야기' 설명에서 "당시 중국에서 역서 즉, 달력을 받아 동지 때마다 백성들에게 나눠줬는데 이미 조선에서는 동지가 훨씬 지난 시기였다"며 "세종은 농사를 짓는 백성들에게 그에 맞는 시간을 알려주기 위해 독자적으로 역서 '칠정산내편'을 펴냈다"고 전했다.
칠정산내편은 조선 세종의 명으로 이순지와 김담이 1442년 완성한 우리나라 최초의 역법서이다.
해와 달, 목성, 화성, 토성, 금성, 수성 등 칠정(七政)의 움직임을 우리나라 환경에 맞춰 추산하는 방법이 기술돼 있다.
최 박사는 "지금 계산해도 최대 1분의 오차밖에 나지 않을 정도로 칠정산내편은 정확한 수준"이라며 "세종은 천문을 통해 관상수시(觀象授時), 즉 하늘을 관측해 백성에게 시각을 내려주려 노력했다"고 강조했다.
정병선 과학기술정보통신부 1차관은 "세종이 천문을 연구했던 것은 왕의 권위를 위해서만이 아니라 고유의 역법으로 천문 관측과 농산물 수확에 기여하기 위해서였다"며 "이 같은 정신을 이어받아 과학자들이 자기가 하고 싶은 연구를 마음껏 할 수 있도록 과기부도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천문학자들은 장영실의 발명품이 첨단 과학기술이 발전한 지금에 와서 봐도 놀라운 수준이라고 입을 모았다.
박수종 경희대 교수는 "혼천의를 볼 때마다 지금의 천구(지구 자전에 의해 별이 움직이는 것처럼 보이는 구) 모형과 너무 똑같아 놀랄 때가 많다"며 "혼천의를 변형해 만든 천체 관측 기구인 '간의' 역시 렌즈만 없을 뿐 현대의 천체망원경과 비슷하다"고 말했다.
김성수 과학기술혁신본부장은 "일본인들이 역사 속에서 50년을 단위로 세계적인 발명품 개수를 꼽았는데, 1400년대에서 1450년대 사이 44개의 발명품 가운데 절반(21건)을 한국의 발명품이 차지했다"고 전했다.
이밖에 중국은 4건, 일본 0건, 기타 19건이었다.
김 본부장은 "세종의 재위 기간인 1418년부터 1450년대까지 우리나라의 과학기술이 그렇게 발전했고 거기에는 세종과 장영실이 있었다"며 "영화를 통해 우리의 자랑스러운 역사를 다시 재현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