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 마이너스인데…韓기업 빚 증가속도 세계 3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투자 부진 속에서도 한국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기업부채 증가 속도가 전 세계 주요 43개국 가운데 세 번째로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29일 국제결제은행(BIS) 통계를 보면 올해 2분기 말 한국의 GDP 대비 기업부채 비율은 99.3%로 전분기 대비 2.1%포인트 상승했다. 상승폭은 43개 조사 대상국 가운데 3위에 달했다.
1위는 싱가포르로 116.6%에서 119.5%로 2.9%포인트 뛰었고, 칠레(99.1%→101.3%)가 2.2%포인트 오르며 2위였다. 2분기 말 일본의 GDP 대비 기업부채 비율은 101.6%로 전분기 대비 0.2%포인트 올랐고 미국은 75.0%로 비율이 0.1%포인트 상승하는 데 그쳤다.
기업부채로 몸살을 앓고 있는 중국은 155.5%에서 154.5%로 1.0% 하락했다.
다만 GDP 대비 기업부채의 절대 수준을 놓고 보면 한국이 프랑스, 스위스, 일본 등 선진국보다 낮고 중국과 칠레를 비롯한 일부 개도국도 밑돈다. 수준 자체는 높지 않으나 증가 속도가 가파르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올해 설비투자가 마이너스(-)인 만큼 빠르게 늘어난 기업 빚은 투자보다는 인건비와 재료비 등 기업 운전자금 위주로 쓰인 것으로 분석된다.
한은 산업별 대출금 통계를 보면 운전자금 대출 증가율(전년동기대비)은 작년 2분기 4.0%에서 올해 2분기 7.4%로 올랐다.
반대로 설비투자와 관련이 깊은 시설자금 대출 증가율은 10.3%에서 7.5%로 낮아졌다. 3분기 들어서는 운전자금 대출 증가율이 7.3%로 횡보했지만 시설자금은 6.5%까지 낮아지며, 운전자금 대출 증가세가 시설자금을 앞서게 됐다. 금융위기나 2012년 유럽 재정위기 때도 시설자금 대출 증가율이 운전자금 증가세보다 높았던 점을 고려하면 이례적이다.
조영무 LG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업황이 나빠지며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줄어들자 기업들이 운전자금 대출을 늘린 것으로 보인다"며 "대출을 받아 생산설비에 투자하거나 인수·합병(M&A)에 쓰는 상황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한국의 GDP 대비 기업부채 수준 자체는 상대적으로 높지 않지만, 가계부채가 1500조 이상 쌓인 가운데 업황 악화 속 기업 대출마저 빠르게 늘고 있다는 점이 문제로 지목된다. 한계기업들의 차입금이 늘어나면 경기침체 시 기업 대출이 금융기관 부실로 이어지고, 신용경색이 나타날 수 있어서다.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
29일 국제결제은행(BIS) 통계를 보면 올해 2분기 말 한국의 GDP 대비 기업부채 비율은 99.3%로 전분기 대비 2.1%포인트 상승했다. 상승폭은 43개 조사 대상국 가운데 3위에 달했다.
1위는 싱가포르로 116.6%에서 119.5%로 2.9%포인트 뛰었고, 칠레(99.1%→101.3%)가 2.2%포인트 오르며 2위였다. 2분기 말 일본의 GDP 대비 기업부채 비율은 101.6%로 전분기 대비 0.2%포인트 올랐고 미국은 75.0%로 비율이 0.1%포인트 상승하는 데 그쳤다.
기업부채로 몸살을 앓고 있는 중국은 155.5%에서 154.5%로 1.0% 하락했다.
다만 GDP 대비 기업부채의 절대 수준을 놓고 보면 한국이 프랑스, 스위스, 일본 등 선진국보다 낮고 중국과 칠레를 비롯한 일부 개도국도 밑돈다. 수준 자체는 높지 않으나 증가 속도가 가파르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올해 설비투자가 마이너스(-)인 만큼 빠르게 늘어난 기업 빚은 투자보다는 인건비와 재료비 등 기업 운전자금 위주로 쓰인 것으로 분석된다.
한은 산업별 대출금 통계를 보면 운전자금 대출 증가율(전년동기대비)은 작년 2분기 4.0%에서 올해 2분기 7.4%로 올랐다.
반대로 설비투자와 관련이 깊은 시설자금 대출 증가율은 10.3%에서 7.5%로 낮아졌다. 3분기 들어서는 운전자금 대출 증가율이 7.3%로 횡보했지만 시설자금은 6.5%까지 낮아지며, 운전자금 대출 증가세가 시설자금을 앞서게 됐다. 금융위기나 2012년 유럽 재정위기 때도 시설자금 대출 증가율이 운전자금 증가세보다 높았던 점을 고려하면 이례적이다.
조영무 LG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업황이 나빠지며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줄어들자 기업들이 운전자금 대출을 늘린 것으로 보인다"며 "대출을 받아 생산설비에 투자하거나 인수·합병(M&A)에 쓰는 상황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한국의 GDP 대비 기업부채 수준 자체는 상대적으로 높지 않지만, 가계부채가 1500조 이상 쌓인 가운데 업황 악화 속 기업 대출마저 빠르게 늘고 있다는 점이 문제로 지목된다. 한계기업들의 차입금이 늘어나면 경기침체 시 기업 대출이 금융기관 부실로 이어지고, 신용경색이 나타날 수 있어서다.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