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금강산에 '김정은母' 고영희 신격화 비석 세워져"[산케이]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북한 금강산에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생모인 고영희를 뜻하는 것으로 보이는 '선군조선의 어머님'이라는 표현이 새겨진 비석이 건립된 사실이 확인됐다.
일본 산케이신문이 30일 한일관계 소식통을 통해 입수해 공개한 사진에 따르면 금강산 관광지역 안의 만경교 가까운 곳에 설치됐다는 석비(石碑)에는 붉은 글씨로 '위대한 지도자 김정일 동지께서 1997년 10월 12일 '선군조선의 어머님' , 경애하는 최고영도자 김정은 동지와 함께 금강산을 돌아보셨다'는 문구가 적혀 있다.
산케이는 건립 날짜가 적시되지 않은 이 석비에 등장하는 '선군조선의 어머님'이라는 표현을 근거로 김정은 위원장이 이 비석을 통해 자신이 지도자 지위를 승계한 것을 강조하는 동시에 체제 안정에 대한 자신감을 키워 모친의 신격화에 본격적으로 나섰음을 시사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 신문은 '선군'은 김 위원장의 부친인 고(故) 김정일 국방위원장을 상징하는 말이라고 소개하면서 금강산 관광지 내의 만경교 부근 광장이랑 받침대가 함께 정비된 이 비석의 존재에 대해 일본 정부도 파악하고 있었다고 전했다. 산케이는 일본 정부 관계자를 인용해 "(북한에서) 최고지도자의 '역사'를 전하는 비석 건립은 조선노동당의 중요 사업"이라며 김일성, 김정일, 김정은 등 김씨 일족의 3대에 걸친 최고지도자 말고는 김일성 주석의 처인 김정숙에 대한 언급이 있었지만, 김정은 위원장의 생모를 거론한 적은 없다고 지적했다.
김정은 위원장과 형인 정철, 여동생인 김여정 노동당 제1부부장의 생모인 고영희는 일본 오사카(大阪) 출신의 재일조선인으로, 북한에서 무용수로 활동하던 1970년대 초 김정일 위원장을 처음 만나 3번째 처가 됐다.
1990년대 후반에 유방암에 걸려 2004년 사망했는데, 당시 나이가 51~52세로 알려져 있다.
고영희는 1994년 김일성 주석이 사망한 뒤 사실상의 '국모' 역할을 했고, 2002년 북한 내부 자료에서 '존경하는 어머님'으로 표기된 바 있다.
산케이는 '위대한 선군조선의 어머님'이라는 제목의 기록영화도 제작됐지만 가장 격식이 높은 비석으로 고영희의 신격화가 확인된 적이 없었다며 이번에 확인된 비석 문구에 의미를 부여했다.
이 신문은 그동안 고영희의 신격화가 진전되지 않은 배경으로 재일조선인 귀환자 출신이라는 점이 지적돼 왔다고 했다.
산케이는 또 지난 10월 김정은 위원장이 금강산 관광지 내의 한국 시설에 대해 "너절한 남측 시설"이라고 혹평한 점을 거론하면서 당시 한국 매체 등이 이 발언을 놓고 부친이 열심히 추진한 사업을 김 위원장이 비판하는 이례적인 모습을 보였다고 지적한 바 있다고 전했다.
그러나 산케이는 '금강산을 명승지로 더 잘 가꾸어 대내외에 널리 선전하라'는 내용이 비문에 있는 점을 들어 김 위원장이 금강산 개발에서 한국을 배제하고 독자개발하는 쪽에 중점을 두면서 부친의 교시를 실행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한편 일본 정부는 비문 내용 중에 고영희가 김정일·김정은 부자와 함께 금강산을 방문한 날짜(1997년 10월 12일)를 주목하고 있다고 산케이는 전했다.
그해 7월 고(故) 김일성 주석의 복상기(服喪期·상복 입는 기간)가 끝난 북한에서는 고영희의 금강산 방문 나흘 전인 10월 8일 노동당 중앙위원회와 중앙군사위원회에서 김정일이 총서기로 추대됐다는 보도가 나왔다.
일본 정부 관계자는 "이 비를 세운 것은 금강산 독자개발의 의의와 고영희의 권위를 동시에 끌어올리는 효과를 낸다"며 "김정은 정권이 생각하는 방향성이 관광자원의 독자개발에 의한 외화수입 증대와 모친의 신격화를 통한 정통성의 '전설'을 서둘러 완성하려는 것으로 읽힌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일본 산케이신문이 30일 한일관계 소식통을 통해 입수해 공개한 사진에 따르면 금강산 관광지역 안의 만경교 가까운 곳에 설치됐다는 석비(石碑)에는 붉은 글씨로 '위대한 지도자 김정일 동지께서 1997년 10월 12일 '선군조선의 어머님' , 경애하는 최고영도자 김정은 동지와 함께 금강산을 돌아보셨다'는 문구가 적혀 있다.
산케이는 건립 날짜가 적시되지 않은 이 석비에 등장하는 '선군조선의 어머님'이라는 표현을 근거로 김정은 위원장이 이 비석을 통해 자신이 지도자 지위를 승계한 것을 강조하는 동시에 체제 안정에 대한 자신감을 키워 모친의 신격화에 본격적으로 나섰음을 시사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 신문은 '선군'은 김 위원장의 부친인 고(故) 김정일 국방위원장을 상징하는 말이라고 소개하면서 금강산 관광지 내의 만경교 부근 광장이랑 받침대가 함께 정비된 이 비석의 존재에 대해 일본 정부도 파악하고 있었다고 전했다. 산케이는 일본 정부 관계자를 인용해 "(북한에서) 최고지도자의 '역사'를 전하는 비석 건립은 조선노동당의 중요 사업"이라며 김일성, 김정일, 김정은 등 김씨 일족의 3대에 걸친 최고지도자 말고는 김일성 주석의 처인 김정숙에 대한 언급이 있었지만, 김정은 위원장의 생모를 거론한 적은 없다고 지적했다.
김정은 위원장과 형인 정철, 여동생인 김여정 노동당 제1부부장의 생모인 고영희는 일본 오사카(大阪) 출신의 재일조선인으로, 북한에서 무용수로 활동하던 1970년대 초 김정일 위원장을 처음 만나 3번째 처가 됐다.
1990년대 후반에 유방암에 걸려 2004년 사망했는데, 당시 나이가 51~52세로 알려져 있다.
고영희는 1994년 김일성 주석이 사망한 뒤 사실상의 '국모' 역할을 했고, 2002년 북한 내부 자료에서 '존경하는 어머님'으로 표기된 바 있다.
산케이는 '위대한 선군조선의 어머님'이라는 제목의 기록영화도 제작됐지만 가장 격식이 높은 비석으로 고영희의 신격화가 확인된 적이 없었다며 이번에 확인된 비석 문구에 의미를 부여했다.
이 신문은 그동안 고영희의 신격화가 진전되지 않은 배경으로 재일조선인 귀환자 출신이라는 점이 지적돼 왔다고 했다.
산케이는 또 지난 10월 김정은 위원장이 금강산 관광지 내의 한국 시설에 대해 "너절한 남측 시설"이라고 혹평한 점을 거론하면서 당시 한국 매체 등이 이 발언을 놓고 부친이 열심히 추진한 사업을 김 위원장이 비판하는 이례적인 모습을 보였다고 지적한 바 있다고 전했다.
그러나 산케이는 '금강산을 명승지로 더 잘 가꾸어 대내외에 널리 선전하라'는 내용이 비문에 있는 점을 들어 김 위원장이 금강산 개발에서 한국을 배제하고 독자개발하는 쪽에 중점을 두면서 부친의 교시를 실행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한편 일본 정부는 비문 내용 중에 고영희가 김정일·김정은 부자와 함께 금강산을 방문한 날짜(1997년 10월 12일)를 주목하고 있다고 산케이는 전했다.
그해 7월 고(故) 김일성 주석의 복상기(服喪期·상복 입는 기간)가 끝난 북한에서는 고영희의 금강산 방문 나흘 전인 10월 8일 노동당 중앙위원회와 중앙군사위원회에서 김정일이 총서기로 추대됐다는 보도가 나왔다.
일본 정부 관계자는 "이 비를 세운 것은 금강산 독자개발의 의의와 고영희의 권위를 동시에 끌어올리는 효과를 낸다"며 "김정은 정권이 생각하는 방향성이 관광자원의 독자개발에 의한 외화수입 증대와 모친의 신격화를 통한 정통성의 '전설'을 서둘러 완성하려는 것으로 읽힌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