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 입학시스템 '처음학교로' 전면 도입했지만…정보 '반쪽 공개'로 올해도 유치원 입학대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경쟁률·결원 유치원 비공개
집근처 유치원 3곳 지원 불구
명문 쏠림 현상으로 대거 탈락
집근처 유치원 3곳 지원 불구
명문 쏠림 현상으로 대거 탈락
서울 마포구에 사는 김모씨(37)는 연초부터 걱정거리가 생겼다. 아이가 올해 유치원에 들어갈 나이가 됐지만 아직까지 등록할 유치원을 찾지 못했기 때문이다.
김씨는 지난해 11월 유치원 입학관리시스템 ‘처음학교로’를 통해 집 근처 유치원 세 곳에 지원했지만 모두 당첨되지 못하고 대기번호만 받았다. 설상가상으로 받았던 대기번호마저 1일부터 무효가 됐다. 2일부터는 자리가 남는 유치원을 찾기 위해 일일이 전화를 돌리거나 방문해야 한다. 김씨는 “유치원 보내는 일조차 이렇게 어려운데 누가 애를 낳으려 하겠느냐”고 토로했다.
1일부터 대기번호 무효화
1일 교육부에 따르면 처음학교로의 일반모집 추가합격자 등록이 전날 마감됐다. 처음학교로는 교육부가 운영하는 온라인 유치원 입학관리시스템이다. 유치원에 자녀를 보내고자 하는 학부모는 이 시스템을 이용해 최대 세 곳까지 입학 희망 유치원을 지원할 수 있다. 추첨을 통해 합격자를 선정하고, 탈락한 이들에게는 대기번호를 부여해 미등록 결원 발생 시 순서대로 추가합격자를 정하는 방식이다.
하지만 일반모집 추가선발 종료 이후 이뤄지는 유치원별 추가모집에선 선발과 접수 방식이 별도로 진행된다. 먼저 일반모집에서 부여한 대기번호는 모두 무효다. 선착순과 추첨 등 선발 방식은 유치원이 자율적으로 선택한다. 접수 방식도 유치원에 맡겨진다. 결원이 발생한 유치원은 처음학교로를 이용해 추가모집을 할 수도 있고, 오프라인 또는 전화로 접수할 수도 있다. 일반모집에서 탈락한 학부모는 사실상 처음학교로가 도입되기 전처럼 일일이 공고를 확인하고, 전화를 돌리거나 유치원을 방문해야 한다는 얘기다.
서울 송파구에서 5세 남아를 키우는 박모씨(36)는 “공립유치원 한 곳과 사립유치원 두 곳을 전략적으로 지원했지만 모두 탈락했다”며 “내일부터 집 근처 모든 유치원에 전화를 돌려 선발 방식을 확인하고 대기를 걸어놔야 한다”고 말했다.
대기번호 유지하고, 경쟁률 공개해야
처음학교로는 2016년 도입됐지만 그간 사립유치원이 사용을 꺼려 유명무실한 상황이었다. 2017년 사립유치원의 처음학교로 사용률은 2.8%에 머물렀다. 당시에는 학부모들이 유치원 신청을 위해 밤새 줄을 서거나 입학추천서를 사고파는 일이 벌어지기도 했다. 상황은 지난해부터 바뀌었다.
17개 시·도교육청이 유아모집·선발에 관한 조례를 제정해 모든 사립유치원이 처음학교로를 의무적으로 사용하게 되면서다. 지난해 사립유치원의 처음학교로 사용률은 99.1%까지 올라갔다.
하지만 일반모집이 끝난 뒤 유치원별 추가모집 단계에선 여전히 학부모가 발품을 팔거나 공고를 뒤져야 한다. 학부모들은 “유치원별 추가모집이 이뤄지는 1월 말까지 대기번호를 그대로 유지하거나 유치원별 추가모집도 처음학교로를 통해 일괄적으로 다시 시행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유치원별 입학 경쟁률을 공개해 지원자를 분산시켜 일반모집 합격률을 높여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하지만 유치원들의 반대가 만만치 않다. 정원을 제때 채우지 못한 사실을 밝히길 꺼리기 때문이다. 교육당국도 유치원 서열화를 우려해 유치원별 입학 경쟁률을 공개하지 않는다.
박종관 기자 pjk@hankyung.com
김씨는 지난해 11월 유치원 입학관리시스템 ‘처음학교로’를 통해 집 근처 유치원 세 곳에 지원했지만 모두 당첨되지 못하고 대기번호만 받았다. 설상가상으로 받았던 대기번호마저 1일부터 무효가 됐다. 2일부터는 자리가 남는 유치원을 찾기 위해 일일이 전화를 돌리거나 방문해야 한다. 김씨는 “유치원 보내는 일조차 이렇게 어려운데 누가 애를 낳으려 하겠느냐”고 토로했다.
1일부터 대기번호 무효화
1일 교육부에 따르면 처음학교로의 일반모집 추가합격자 등록이 전날 마감됐다. 처음학교로는 교육부가 운영하는 온라인 유치원 입학관리시스템이다. 유치원에 자녀를 보내고자 하는 학부모는 이 시스템을 이용해 최대 세 곳까지 입학 희망 유치원을 지원할 수 있다. 추첨을 통해 합격자를 선정하고, 탈락한 이들에게는 대기번호를 부여해 미등록 결원 발생 시 순서대로 추가합격자를 정하는 방식이다.
하지만 일반모집 추가선발 종료 이후 이뤄지는 유치원별 추가모집에선 선발과 접수 방식이 별도로 진행된다. 먼저 일반모집에서 부여한 대기번호는 모두 무효다. 선착순과 추첨 등 선발 방식은 유치원이 자율적으로 선택한다. 접수 방식도 유치원에 맡겨진다. 결원이 발생한 유치원은 처음학교로를 이용해 추가모집을 할 수도 있고, 오프라인 또는 전화로 접수할 수도 있다. 일반모집에서 탈락한 학부모는 사실상 처음학교로가 도입되기 전처럼 일일이 공고를 확인하고, 전화를 돌리거나 유치원을 방문해야 한다는 얘기다.
서울 송파구에서 5세 남아를 키우는 박모씨(36)는 “공립유치원 한 곳과 사립유치원 두 곳을 전략적으로 지원했지만 모두 탈락했다”며 “내일부터 집 근처 모든 유치원에 전화를 돌려 선발 방식을 확인하고 대기를 걸어놔야 한다”고 말했다.
대기번호 유지하고, 경쟁률 공개해야
처음학교로는 2016년 도입됐지만 그간 사립유치원이 사용을 꺼려 유명무실한 상황이었다. 2017년 사립유치원의 처음학교로 사용률은 2.8%에 머물렀다. 당시에는 학부모들이 유치원 신청을 위해 밤새 줄을 서거나 입학추천서를 사고파는 일이 벌어지기도 했다. 상황은 지난해부터 바뀌었다.
17개 시·도교육청이 유아모집·선발에 관한 조례를 제정해 모든 사립유치원이 처음학교로를 의무적으로 사용하게 되면서다. 지난해 사립유치원의 처음학교로 사용률은 99.1%까지 올라갔다.
하지만 일반모집이 끝난 뒤 유치원별 추가모집 단계에선 여전히 학부모가 발품을 팔거나 공고를 뒤져야 한다. 학부모들은 “유치원별 추가모집이 이뤄지는 1월 말까지 대기번호를 그대로 유지하거나 유치원별 추가모집도 처음학교로를 통해 일괄적으로 다시 시행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유치원별 입학 경쟁률을 공개해 지원자를 분산시켜 일반모집 합격률을 높여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하지만 유치원들의 반대가 만만치 않다. 정원을 제때 채우지 못한 사실을 밝히길 꺼리기 때문이다. 교육당국도 유치원 서열화를 우려해 유치원별 입학 경쟁률을 공개하지 않는다.
박종관 기자 pj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