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 10.3%↓…10년 만에 두자릿수 추락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지난해 무역흑자 44% 급감
지난해 한국 수출액이 전년 대비 10.3%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수출이 연간 두 자릿수 감소폭을 기록한 것은 글로벌 금융위기 때인 2009년(-13.9%) 후 10년 만에 처음이다.
산업통상자원부가 1일 발표한 ‘2019년 12월 및 2019년 수출입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총수출은 전년보다 10.3% 줄어든 5424억1000만달러로 집계됐다. 수입은 6.0% 감소한 5032억3000만달러였다. 무역수지 흑자는 전년보다 43.7% 급감한 391억9000만달러에 그쳤다. 남유럽 재정위기로 유럽 경기가 얼어붙었던 2012년(282억9000만달러) 후 최저치다.
수출 불황은 미·중 무역분쟁과 주력 품목인 반도체의 단가 하락이 주된 원인이었다. 월별로는 2018년 12월(-1.7%)부터 13개월 연속 마이너스 행진을 지속하고 있다.
다만 지난해 12월 수출 감소폭은 5.2%로 7개월 만에 한 자릿수로 줄어들었다. 대(對)중국 수출이 3.3% 증가하며 14개월 만에 플러스로 전환한 덕분이었다. 정부는 미·중 무역분쟁 1단계 합의, 반도체업황 개선 등을 고려하면 올 1분기에는 수출이 증가세로 돌아설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반도체 -26%, 對中 수출 -16%…주력 품목 20개 중 14개 감소
지난해 수출이 2009년(-13.9%) 이후 가장 큰 폭으로 감소한 것은 무엇보다 주력 품목인 반도체 업황이 고꾸라졌기 때문이다. 반도체 수출 물량은 7.9% 늘었으나 수출 금액은 25.9% 급감했다. 반도체 가격 하락 탓이었다. 정부는 작년에 부진했던 데 따른 기저효과 등에 힘입어 수출이 다음달부터 회복세로 접어들 것으로 전망했다. 무역 흑자도 7년 만에 최저
수출은 작년 마지막 달까지 부진했다. 12월 수출은 547억2000만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5.2% 줄었다. 2018년 12월(-1.7%)부터 13개월 연속 감소한 기록이다. 같은 달 수입은 0.7% 위축된 437억달러를 기록했다.
이에 따라 2018년 처음으로 ‘6000억달러’의 금자탑을 쌓았던 한국 수출은 1년 만에 곤두박질쳤다. 작년 수출은 총 5424억1000만달러로 집계됐다. 2009년 이후 10년 만의 두 자릿수 하락, 2016년 이후 3년 만의 역주행이라는 우울한 성적표를 받았다.
작년엔 반도체뿐만 아니라 컴퓨터(-20.6%) 디스플레이(-17.6%) 석유화학(-14.8%) 석유제품(-12.3%) 등 주력 품목 20개 중 14개가 부진했다. 국가별로는 중국(-16.0%) 유럽연합(-8.4%) 일본(-6.9%) 등으로의 수출이 부진했다.
수출에서 수입을 뺀 무역수지도 비상이다. 수출 감소폭이 훨씬 가팔라서다. 작년 무역 흑자는 391억9000만달러로, 전년(696억6000만달러) 대비 43.7% 급감했다. 2012년(282억9000만달러) 이후 7년 만에 가장 적은 수치다.
다만 중국(수출 비중 25.1%)에 이어 2위 시장인 미국(13.5%)으로의 수출이 소폭(0.9%) 늘었고 아세안 등 신(新)남방 비중(20.3%)이 역대 처음 20%를 돌파한 것은 성과로 꼽힌다.
반도체 단가 1년 새 61% 하락
작년 한 해 동안 수출이 부진을 벗어나지 못했던 건 미·중 무역분쟁에 따라 대외 불확실성이 확대됐고 반도체 단가도 크게 떨어졌기 때문이다. 산업통상자원부 관계자는 “세계 경제를 주도하는 미국과 중국, 독일의 경기가 전반적으로 부진했던 타격이 컸다”고 설명했다.
반도체 가격 하락은 수출에 치명타였다. D램(8Gb 기준) 가격은 2018년 12월 7.25달러에서 1년 만에 2.81달러로 61.2% 하락했다. 낸드플래시(128Gb)값은 같은 기간 4.66달러에서 4.42달러로 떨어졌다. 일본이 작년 7월 반도체·디스플레이 핵심 소재 3개 품목에 대해 수출규제에 나서면서 수출 환경은 더 악화했다.
미·중 갈등으로 107억달러, 반도체 업황부진으로 328억달러, 유가 하락으로 134억달러의 수출 감소분이 각각 발생했다는 게 산업부 추산이다.
정부 “2월부터 플러스로 전환”
산업부는 올해 수출이 작년 대비 3.0% 증가해 5600억달러 정도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우선 작년 내내 마이너스를 기록했던 데 따른 기저효과가 작지 않기 때문이다. 가장 큰 악재였던 미·중 무역분쟁이 소강상태로 접어든 데다 반도체 업황도 개선될 조짐이다. 주요 전망기관에 따르면 올해 세계 반도체 시장은 작년 대비 5∼12% 늘어날 것으로 예측됐다.
수출은 다음달엔 플러스로 전환할 게 확실시된다. 올해 2월 조업일수가 22.5일(토요일은 0.5일로 계산)로, 작년 동월 대비 3.5일 많기 때문이다. 지난달 수출 감소율이 작년 5월(-9.8%) 이후 7개월 만에 한 자릿수로 진입한 것도 의미 있는 변화다.
성윤모 산업부 장관은 1일 인천국제공항 대한항공 화물터미널을 방문한 자리에서 “1분기에 수출을 플러스로 전환하는 것을 목표로 총력 대응 체제를 가동하고 있다”며 “무역금융과 해외마케팅 예산 60% 이상을 상반기에 집중 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산업부는 올해 반도체 선박 바이오헬스 2차전지 등의 수출이 호조를 보이겠지만 석유제품 철강 디스플레이 섬유 등은 다소 부진할 것으로 예상했다.
구은서/조재길 기자 koo@hankyung.com
산업통상자원부가 1일 발표한 ‘2019년 12월 및 2019년 수출입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총수출은 전년보다 10.3% 줄어든 5424억1000만달러로 집계됐다. 수입은 6.0% 감소한 5032억3000만달러였다. 무역수지 흑자는 전년보다 43.7% 급감한 391억9000만달러에 그쳤다. 남유럽 재정위기로 유럽 경기가 얼어붙었던 2012년(282억9000만달러) 후 최저치다.
수출 불황은 미·중 무역분쟁과 주력 품목인 반도체의 단가 하락이 주된 원인이었다. 월별로는 2018년 12월(-1.7%)부터 13개월 연속 마이너스 행진을 지속하고 있다.
다만 지난해 12월 수출 감소폭은 5.2%로 7개월 만에 한 자릿수로 줄어들었다. 대(對)중국 수출이 3.3% 증가하며 14개월 만에 플러스로 전환한 덕분이었다. 정부는 미·중 무역분쟁 1단계 합의, 반도체업황 개선 등을 고려하면 올 1분기에는 수출이 증가세로 돌아설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반도체 -26%, 對中 수출 -16%…주력 품목 20개 중 14개 감소
지난해 수출이 2009년(-13.9%) 이후 가장 큰 폭으로 감소한 것은 무엇보다 주력 품목인 반도체 업황이 고꾸라졌기 때문이다. 반도체 수출 물량은 7.9% 늘었으나 수출 금액은 25.9% 급감했다. 반도체 가격 하락 탓이었다. 정부는 작년에 부진했던 데 따른 기저효과 등에 힘입어 수출이 다음달부터 회복세로 접어들 것으로 전망했다. 무역 흑자도 7년 만에 최저
수출은 작년 마지막 달까지 부진했다. 12월 수출은 547억2000만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5.2% 줄었다. 2018년 12월(-1.7%)부터 13개월 연속 감소한 기록이다. 같은 달 수입은 0.7% 위축된 437억달러를 기록했다.
이에 따라 2018년 처음으로 ‘6000억달러’의 금자탑을 쌓았던 한국 수출은 1년 만에 곤두박질쳤다. 작년 수출은 총 5424억1000만달러로 집계됐다. 2009년 이후 10년 만의 두 자릿수 하락, 2016년 이후 3년 만의 역주행이라는 우울한 성적표를 받았다.
작년엔 반도체뿐만 아니라 컴퓨터(-20.6%) 디스플레이(-17.6%) 석유화학(-14.8%) 석유제품(-12.3%) 등 주력 품목 20개 중 14개가 부진했다. 국가별로는 중국(-16.0%) 유럽연합(-8.4%) 일본(-6.9%) 등으로의 수출이 부진했다.
수출에서 수입을 뺀 무역수지도 비상이다. 수출 감소폭이 훨씬 가팔라서다. 작년 무역 흑자는 391억9000만달러로, 전년(696억6000만달러) 대비 43.7% 급감했다. 2012년(282억9000만달러) 이후 7년 만에 가장 적은 수치다.
다만 중국(수출 비중 25.1%)에 이어 2위 시장인 미국(13.5%)으로의 수출이 소폭(0.9%) 늘었고 아세안 등 신(新)남방 비중(20.3%)이 역대 처음 20%를 돌파한 것은 성과로 꼽힌다.
반도체 단가 1년 새 61% 하락
작년 한 해 동안 수출이 부진을 벗어나지 못했던 건 미·중 무역분쟁에 따라 대외 불확실성이 확대됐고 반도체 단가도 크게 떨어졌기 때문이다. 산업통상자원부 관계자는 “세계 경제를 주도하는 미국과 중국, 독일의 경기가 전반적으로 부진했던 타격이 컸다”고 설명했다.
반도체 가격 하락은 수출에 치명타였다. D램(8Gb 기준) 가격은 2018년 12월 7.25달러에서 1년 만에 2.81달러로 61.2% 하락했다. 낸드플래시(128Gb)값은 같은 기간 4.66달러에서 4.42달러로 떨어졌다. 일본이 작년 7월 반도체·디스플레이 핵심 소재 3개 품목에 대해 수출규제에 나서면서 수출 환경은 더 악화했다.
미·중 갈등으로 107억달러, 반도체 업황부진으로 328억달러, 유가 하락으로 134억달러의 수출 감소분이 각각 발생했다는 게 산업부 추산이다.
정부 “2월부터 플러스로 전환”
산업부는 올해 수출이 작년 대비 3.0% 증가해 5600억달러 정도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우선 작년 내내 마이너스를 기록했던 데 따른 기저효과가 작지 않기 때문이다. 가장 큰 악재였던 미·중 무역분쟁이 소강상태로 접어든 데다 반도체 업황도 개선될 조짐이다. 주요 전망기관에 따르면 올해 세계 반도체 시장은 작년 대비 5∼12% 늘어날 것으로 예측됐다.
수출은 다음달엔 플러스로 전환할 게 확실시된다. 올해 2월 조업일수가 22.5일(토요일은 0.5일로 계산)로, 작년 동월 대비 3.5일 많기 때문이다. 지난달 수출 감소율이 작년 5월(-9.8%) 이후 7개월 만에 한 자릿수로 진입한 것도 의미 있는 변화다.
성윤모 산업부 장관은 1일 인천국제공항 대한항공 화물터미널을 방문한 자리에서 “1분기에 수출을 플러스로 전환하는 것을 목표로 총력 대응 체제를 가동하고 있다”며 “무역금융과 해외마케팅 예산 60% 이상을 상반기에 집중 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산업부는 올해 반도체 선박 바이오헬스 2차전지 등의 수출이 호조를 보이겠지만 석유제품 철강 디스플레이 섬유 등은 다소 부진할 것으로 예상했다.
구은서/조재길 기자 ko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