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선경 이사장 "사회복지종사자 생활안정에 주력…목돈 마련 금융상품 내놓을 것"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강선경 한국사회복지공제회 이사장
한국사회복지공제회는
복지사·요양보호사·보육교사
처우 개선·복지 향상 등에 힘 써
한국사회복지공제회는
복지사·요양보호사·보육교사
처우 개선·복지 향상 등에 힘 써
![강선경 이사장 "사회복지종사자 생활안정에 주력…목돈 마련 금융상품 내놓을 것"](https://img.hankyung.com/photo/202001/AA.21324804.1.jpg)
한국사회복지공제회(이하 공제회)를 이끌고 있는 강선경 이사장(사진)은 “5000만 국민의 복지 증진을 책임지고 있는 사회복지종사자의 생활 안정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이 같은 포부를 밝혔다.
“장기저축급여는 한국은행 기준금리와 연동해 시중 상품보다 1%의 가산금리를 주고 연 복리로 운용되고 있습니다. 세액계산 특례 적용도 받고 있어 장점이 큰 상품이죠.” 강 이사장은 이 같은 서비스를 통해 지난해 11월 말 현재 자산 674억원, 당기순이익 21억원, 회원 건수 1만7000여 건으로 도약의 발판을 마련했다. 2019년 한 해에만 장기저축급여 회원 1만 건을 돌파했다.
예금은 안전할까. 강 이사장은 “예금자보호법의 적용을 받지는 않지만 법에 따라 엄격히 관리하고 보건복지부의 감사를 받고 있다”며 “자산운용위원회, 금리조정위원회, 이사회, 총회 등을 통해 다중으로 관리감독을 받고 있어 실질적인 원금 보장이 이뤄지고 있다”고 강조했다.
“2000년대 들어 정부의 제도 개선과 각계각층의 노력에 힘입어 사회복지 분야 종사자들의 급여 수준이 조금씩 나아지고 있지만 지역별 법인별 서비스유형별 편차는 여전히 심하고, 다른 직군에 비해 열악한 것이 사실입니다. 이들을 위해 공제회가 보탬이 되려는 것입니다.” 그는 “회원들이 필요로 하는 고부가가치 금융상품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공제회의 가장 중요한 역할”이라고 강조했다.
강 이사장은 미국 엘머스트병원 정신건강 클리닉 임상사회복지사와 미국 헌터칼리지 사회복지대학 조교수를 거쳤다. 2011년부터 서강대 사회복지학전공 교수로 활동하고 있다. 공제회 이사장직은 2018년 6월부터 맡고 있다.
“사회복지 종사자의 처우와 국민의 복지 체감도는 비례할 수밖에 없습니다. 정부와 관련 단체가 힘을 합쳐 문제를 해결해야 합니다. 사회복지 종사자 상해보험 가입지원 사업같이 중앙정부가 추진하고 지방정부가 지원하는 사례가 많이 나오면 좋겠습니다.”
최규술 기자 kyusu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