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유·화학 뿐 아니라 항공, 조선 등까지 도미노 우려에 예의 주시
정부 업계 소집 등 연이어 대책회의…"비축유 방출 검토"


미국이 이란군 실세인 가셈 솔레이마니 혁명수비대 쿠드스군 사령관을 살해하면서 중동 지역 전운이 고조하자 국내 산업계가 그 영향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중동 지역 긴장은 국제 석유시장 시황과 직결되는데, 미국과 이란 간 갈등이 더욱 심화하면 정유업계뿐 아니라 석유화학, 조선·해운, 항공 등 관련 업계들까지 '도미노'로 타격을 입을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진다.

미국의 살해 공습 이후 갈등 고조로 6일에도 금융시장과 국제유가 등은 불안감이 지속했다.

국제유가는 공습이 있었던 2일(현지시간) 이후 계속 상승하고 있다.

이날 오전 기준 2월물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 가격은 배럴당 1.30달러(0.82) 오른 63.86달러를 기록했다.

3월물 브렌트유도 1.65달러(1.13%) 오른 69.73달러를 기록했다.
美-이란 전운에 산업계 초긴장…"호르무즈 봉쇄는 재앙"
한국이 주로 수입하는 원유의 기준인 두바이유도 3일 기준 전날보다 배럴당 2.1달러 오른 67.69달러였다.

이란산 원유는 미국의 이란산 원유 수입 금지조치 이후인 지난해 4월부터 국내에 들어오지 않고 있다.

대한석유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기준 국내 수입 원유 비중은 사우디아라비아가 28.2%로 가장 많고, 쿠웨이트 14.1%, 미국 12.7%, 이라크 10.9%, 아랍에미리트(UAE) 7.8% 순이다.

국제 시장에서도 이란산 원유의 비중은 미미해 이번 사태가 단기적으로는 국제유가를 상승시키지만, 곧 안정세를 찾을 것이라는 전망이 우선 나온다.

석유협회 관계자는 "이란산 원유 수입 금지 이후 국내 정유사들이 수입처 다변화에 주력해 왔기 때문에 이번 사태로 당장 수급이나 손익에 미칠 영향은 크지 않다"며 "지난해 9월 사우디아라비아 석유시설 피습 당시에도 국제유가가 금세 안정을 찾았던 것처럼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사태가 수그러들지 않고 전쟁 발발 위기까지 거론될 정도로 최악으로 치닫고 있어 업계는 긴장 속에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이란이 미국에 대한 보복을 예고하고 있는 가운데, 이란이 미국과 긴장이 커질 때마다 위협 카드로 꺼내는 '호르무즈 해협' 봉쇄나 사우디아라비아, 아랍에미리트(UAE) 등 미국 우호국에 대한 공격에 대한 우려가 크다.

사우디아라비아, 쿠웨이트, 이라크 등 산유국들은 전 세계 수요량의 30%에 달하는 원유 중 대부분을 호르무즈 해협을 통해 보낸다.
美-이란 전운에 산업계 초긴장…"호르무즈 봉쇄는 재앙"
호르무즈 해협이 봉쇄되면 중동산 원유 수입 비중이 70%에 달하는 우리나라뿐 아니라 전 세계가 직격탄을 맞게 된다는 얘기다.

한 정유사 관계자는 "호르무즈 해협 봉쇄는 전 세계적 재앙"이라며 "단순히 국제유가 등락을 넘어서서 수급 자체가 좌우되는 파급력이 큰 문제이기 때문에 정유업계뿐 아니라 전 산업계가 이번 사태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고 말했다.

12월 정유사 정제마진(최종 석유제품 가격에서 원유 가격과 수송·운영비 등을 뺀 것)은 마이너스 0.1달러로 18년 만에 처음으로 월간 단위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정제마진은 정유사 수익성을 나타내는 지표다.

통상 국제유가 상승은 정제마진을 올리는 요인이기는 하지만, 미·이란 갈등 고조 같은 지정학적 리스크는 세계 경기를 위축시키는 탓에 업황을 더욱 어렵게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원유를 정제해서 나오는 나프타(납사)를 원료로 삼는 석유화학 업계, 유류비 지출이 큰 항공업계와 조선·해운 업계도 마찬가지인 상황이다.

석유화학업계는 세계 경기 침체로 수요가 감소, 업황이 불황인 가운데 국제유가 상승으로 원가까지 오르는 겹악재를 맞이했다.

유가가 상승하면 항공·조선업계 등 역시 유류비가 급증해 수익성 악화로 이어진다.

관련 업계 관계자들은 "유가 상승 여파는 결과적으로 소비자 부담으로 이어질 수 있다"며 "미국·이란 갈등 상황 추이를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美-이란 전운에 산업계 초긴장…"호르무즈 봉쇄는 재앙"
위기감이 고조하자 산업통상자원부는 이날 정유업계 관계자들을 불러 대책회의를 열고 실제로 석유·가스 수급에 위기가 발생하면 기존에 마련해둔 비상대응 체계에 따라 ▲ 비축유 방출 ▲ 석유 수요 절감 조치 등을 단계적으로 검토·시행한다고 밝혔다.

지난해 11월 말 기준 정부 9천650만배럴에 민간 비축유·재고를 합해 2억배럴 규모의 비축유가 있다.

산업부는 "이번 사태가 국내 석유·가스 수급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며, 공급에 직접적 차질이 발생하지 않았다"면서도 "동향을 면밀히 살피면서 영향이 최소화하도록 신속히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청와대는 이날 오후 미국·이란 사태를 논의하는 긴급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상임위원회 회의를 소집하고, 성윤모 산업부 장관도 참석하도록 했다.

정부는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 긴급 경제관계장관회의도 열어 후속 대책을 논의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