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AI)이 프라이빗뱅커(PB) 직종을 없앨 것이다.”

AI가 예고하는 자산관리업계의 미래다. 7일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개막한 CES는 우리 일상에 깊숙이 들어온 AI의 현주소를 보여주고 있었다. 그중 하나가 AI를 활용한 자산관리다.

CES 현장에서 만난 미국 로보어드바이저 업체 웰스프런트 관계자는 “구글의 알파고가 이세돌 9단을 압도하면서 바둑계에 충격을 줬듯이 빅데이터와 딥러닝 기술로 무장한 AI가 자산관리업계에 비슷한 파장을 몰고 올 날이 머지않았다”고 말했다.

AI는 자산관리업계에도 위협과 기대가 뒤섞인 야누스의 모습으로 다가오고 있다. AI는 개인의 투자 행태와 과거 투자 기록을 바탕으로 맞춤형 자산배분 전략과 투자 상품을 추천한다. 챗봇(채팅+로봇)을 통해 금융 소비자와 자연스럽게 투자 관련 얘기를 주고받는다. 모든 금융 소비자는 곧 24시간 연중무휴로 이용할 수 있는 로봇 자산관리인(어드바이저)을 갖게 된다는 뜻이다. 기존 은행 및 증권사 PB는 서서히 설 자리를 잃게 될 것이란 전망이 나오는 배경이다.

서민들에게 투자자문 서비스 문턱을 낮춰주는 것도 AI의 매력이다. AI는 단순 자산관리 자문역에 머물지 않는다. 투자 관련 대화 도중 즉석에서 맞춤형 금융 상품을 설계해 제공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미국 핀테크 컨설팅 업체 피넥스트라의 데이비드 메리더스 부사장은 “미국에서만 150개가 넘는 웰스테크(wealthtech) 업체가 AI를 기반으로 한 혁신적인 자산관리 상품과 서비스를 개발하고 있다”고 했다. “새로운 개념의 금융 상품과 서비스가 대거 등장할 것”이라는 설명이다. 이들 웰스테크 업체는 로보어드바이저를 비롯해 투자 플랫폼과 소프트웨어를 제공하는 디지털 중개인 등 다양한 분야에 AI 기술을 적용하고 있다.

운용보수 등 서비스 수수료의 감소는 금융투자업계가 맞닥뜨릴 도전이다. AI가 상품 설계와 판매에 들어가는 인력을 대폭 줄이는 만큼 수수료 인하로 이어질 건 불 보듯 뻔하다.

AI의 등장으로 펀드매니저의 운용 능력도 도전받고 있다. AI를 기반으로 하는 국내 로보어드바이저 펀드 수익률은 지난해 펀드매니저를 압도했다.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AI 알고리즘과 빅데이터를 바탕으로 자산을 관리해주는 로보어드바이저 펀드는 지난해 11.66%에 달하는 수익률을 올렸다. 이에 비해 펀드매니저가 운용하는 국내 액티브 주식형 펀드는 같은 기간 5.76% 수익률에 그쳤다. 지난해는 미·중 무역분쟁과 한·일 갈등 등으로 증시 변동성이 컸다. 이런 시장 상황에서도 로봇은 펀드를 안정적으로 운용했다는 평가다.

로보어드바이저의 운용자산 규모는 급증할 전망이다. 2023년 로보어드바이저 운용자산은 세계 2552조원, 한국 25조원에 달할 것으로 추산된다. 또 다른 로보어드바이저 업체인 웰심플 관계자는 “AI 시대에 자산관리업은 기존보다 훨씬 높은 수준의 고객 서비스를 요구받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라스베이거스=유병연 마켓인사이트부장 yoob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