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파구 잠실 일대의 아파트들(자료 한경DB)
송파구 잠실 일대의 아파트들(자료 한경DB)
정부가 12·16부동산대책을 발표한 지 3주째가 지나면서 서울 아파트값이 상승폭을 더욱 줄이고 있다. 소형평형이나 외곽 등 상대적으로 상승폭이 낮았던 중저가 아파트는 일부 상승했지만, 상승세를 주도했던 고가 아파트들은 주춤한 모습이다.

9일 한국감정원이 발표한 2020년 1월 1주(1월6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매매가격은 0.07% 상승하고, 전세가격은 0.12% 올랐다. 서울의 상승률은 0.07%를 기록해 전주(0.08%)에 비해 폭을 줄였다. 지난해 12월 정책이 발표되기 전에만도 0.20%(12월3주)가 올랐던 집값은 0.10%(12월4주) → 0.08%(12월5주) → 0.07%(1월1주) 등으로 상승폭이 쪼그라들게 됐다.

서울 강북 14개구에서는 0.07%가 상승했다. 마포구(0.09%)는 그동안 상승폭 낮았던 성산ㆍ염리동 위주로 집값이 상승했다. 강북(0.09%)ㆍ성북구(0.08%)는 뉴타운 및 역세권 중심의 직주근접 수요가 늘면서 오름세를 나타냈고 성동구(0.07%)는 금호ㆍ행당ㆍ옥수동 신축 및 대단지 소형 위주로 상승했다.

강남의 11개구 역시 상승률이 0.07%로 강북과 같았다. 특히 강남 서초 송파 강동 등 강남4구는 상승률이 0.04%에 불과했다. 부동산 대책 발표 후 가격 하락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매수문의 가 급감하면서 급매물이 나오고 있다. 강남구(0.09% → 0.05%), 강동구(0.06% → 0.05%), 송파구(0.07% → 0.04%), 서초구(0.04% → 0.02%) 모두 상승폭을 줄여 보합에 가까운 상태다. 다만 구로구는 상대적으로 낮은 가격대와 개봉ㆍ고척동의 역세권 및 학교 인근 위주로 집값이 다소 올랐다.
'12·16대책' 3주째, 서울 아파트값 상승세 '주춤'…전세값은 상승폭 '확대'
인천과 경기도 역시 상승세를 유지했지만, 상승폭을 늘린 건 인천이었다. 인천은 이번주에 0.08%가 상승해 지난주(0.07%) 보다 확대됐다. 동구(-0.15%)는 송림동 노후단지 위주로 하락했지만 부평구(0.19%)는 서울 접근성 좋은 부평동과 산곡동 구축 단지 위주로 집값이 올랐다. 계양구(0.13%)는 병방이나 귤현동 등 계양테크노밸리 인근 단지들이 상승했다.

경기도는 0.14%로 상승세를 줄였지만, 용인 수지구(0.52%)는 풍덕천ㆍ신봉동 등 주거환경 개선 기대감 있는 단지 위주로 강세를 보였다. 구리시(0.40%)는 인창ㆍ수택동 등 8호선 역사예정지 인근 단지 위주로, 안양 동안구(0.36%)는 교통호재 있거나 학군 우수한 평촌동 구축 위주로집값이 올랐다. 광명시(0.31%)는 하안ㆍ일직동 등 교통여건 개선 기대감(신안산선 등) 있는 단지 위주로 상승세가 지속되고 있다.

매매가는 이처럼 안정세를 찾아가고 있지만, 전셋값은 오히려 강세를 보이고 있다. 전국 주간 아파트 전세가격은 0.12% 올라 지난주 대비 상승폭이 확대됐다. 서울(0.19%→0.15%)은 주춤했지만, 수도권(0.15%→0.16%)과 지방(0.07%→0.07%)에서는 상승세가 유지되고 있다.

서울에서는 겨울방학 이사철, 청약 대기수요 등의 영향으로 주요 학군지역 또는 도심 접근성 좋은 역세권 위주로 전세가가 상승하고 있다. 신정 전후 숨 고르기로 대부분 지역(서울 25개구 중 17개구)이 상승폭을 축소하거나 유지하고 있다.
'12·16대책' 3주째, 서울 아파트값 상승세 '주춤'…전세값은 상승폭 '확대'
강남 4구에서는 주요 학군지역 위주로 매물품귀 현상 지속되고 있다. 강남구(0.41%)는 대치동 위주로, 서초구(0.27%)는 반포ㆍ서초ㆍ방배동 위주로 전세가가 급등하고 있다. 송파구(0.19%) 또한 잠실ㆍ문정ㆍ가락동 위주로 상승중이다. 강남4구 이외에는 학군수요가 있는 양천구(0.45%)가 목ㆍ신정동 위주로 상승했다.

인천과 경기권에서도 학군수요가 몰린 곳의 전세가가 들썩였다. 인천 연수구(0.46%)는 송도동 일대 역세권 및 학군 지역 위주로 올랐다. 경기 용인 수지구(0.59%)는 업무지구(판교․분당) 접근성 좋은 풍덕천과 동천동에서 상승세가 두드러졌다. 안양 동안구(0.58%)는 교육환경 양호한 평촌동 위주로, 화성시(0.43%)는 정주여건 양호한 동탄신도시 위주로 상승했다.

지방에서도 전셋값이 0.07% 올랐다. 5대광역시에서는 대구의 산업단지가 상승을 주도하면서 0.11% 상승률을 기록했다. 나머지 8개도에서는 0.02% 올랐고, 세종에서도 0.49% 상승했다.

김하나 한경닷컴 기자 han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