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차이나쇼크'에 정신 번쩍 든 팀 쿡
아이폰11 가격 인하로 중국 소비자 관심
지난해 12월 중국서 아이폰 판매 신기록
애플 주가가 장중 사상 최고치까지 치솟았다. 지난해 12월 중국에서 아이폰 판매량이 급증했다는 소식이 나오면서다. 지난해 출시한 '아이폰11' 가격 인하가 직접적 영향을 끼쳤다.
2018년부터 이어진 미·중 무역분쟁으로 중국 소비자들이 아이폰을 외면하고 화웨이 등 자국 기업 스마트폰을 선택하는 이른바 '애국 소비'가 늘자 애플 실적은 쇼크에 빠졌다. 그러자 애플이 지난해 3분기 신제품 아이폰11 가격을 크게 낮춰 중국 소비자들을 공략한 게 주효했다.
10일 CNBC가 중국 정보통신기술원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12월 중국 내 아이폰 판매는 전년 동기 대비 18% 이상 증가했다. 애플은 지난달 중국에서 320만대의 아이폰을 출하했다. 1년 전인 2018년 12월 270만대 출하에 비해 큰 폭으로 뛰어오른 수치다.
지난 9일(현지시간) 미국 증시에서 애플 주가는 장중 2% 이상 오른 310.01달러까지 치솟아 장중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결국 애플 주가는 이날 2.12% 상승한 309.63달러로 장을 마쳐 1년 전(153.80달러)에 비해 약 2배 뛰었다.
애플은 지난해 아이폰11 시리즈 3종을 출시하면서 출고가를 전작 대비 대폭 낮췄다. 아이폰11의 출고가는 699달러(약 83만원)로 전작인 아이폰XR(749달러)에 비해 50달러(약 6만원) 인하됐다. 중국에서는 같은 모델을 5499위안(약 92만원)에 판매했다.
아이폰/사진=애플
애플 사정에 정통한 궈밍치 TF인터내셔널 애널리스트는 "중국 시장에서 아이폰 수요가 크게 늘어난 것은 아이폰11의 가격 인하 덕분"이라며 "(전작에 비해 가격이 인하된) 아이폰11은 대략 중국의 평균 월 임금의 1∼1.3배로 이는 (중국 소비자들을 공략하기에) 최적의 가격에 가깝다"고 평가했다.
2007년 첫 아이폰부터 줄곧 '고가 전략'을 유지해왔던 애플이 지난해 전격적으로 가격을 내린 것은 이른바 '차이나 쇼크' 학습효과라는 분석이 주를 이뤘다.
애플은 2018년 총 2656억달러(약 315조원)의 전체 매출 가운데 510억달러(약 60조원)를 중국에서 거뒀다. 단일 시장규모로 미국에 이어 두 번째다.
2018년 4분기가 특히 문제가 됐다. 애플은 분기 매출 843억달러, 순이익 199억달러의 실적을 냈다. 전년 동기 대비 각각 4.5%와 0.5% 줄었다. 매년 9월경 아이폰 신제품을 발표하는 애플의 최대 성수기인 4분기에 매출과 순이익이 동반 하락한 것은 2007년 이후 처음이었다.
당시 팀 쿡 애플 최고경영자(CEO)는 투자자들에게 직접 서한을 보내 "주요 신흥시장에서 몇 가지 도전은 예상했지만 중국 등 중화권 경제의 감속 규모를 예측하지 못했다. 아이폰, 맥, 아이패드 모두에 걸친 매출 감소의 대부분이 중화권에서 발생했다"고 설명했다.
아이폰의 중국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은 2015년 12.5%로 정점을 찍은 뒤 2018년엔 미중 무역분쟁 영향에 7%대까지 축소됐다. 테크인사이트 등에 따르면 애플은 지난해 9월 중국 시장에서 아이폰11을 출시하자마자 15.4%의 점유율을 달성했다. 지난해 4분기에도 12.6%의 점유율로 종전 연간 최고치를 능가한 것으로 추산됐다.
팀 쿡 애플 CEO가 2015년 중국 만리장성에 오른 모습을 자신의 웨이보에 올렸다. /팀 쿡 웨이보
차이나쇼크 이후 행보에서 쿡 CEO의 '중국 사랑'은 익히 알려진 사실이다.
지난해 홍콩 반중 시위 참가자들이 경찰 실시간 위치와 최루탄 사용 여부 등을 알려주는 애플리케이션(앱)을 앱스토어에 올리자 애플은 해당 앱을 삭제 조치했다. 중국 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의 '애플이 홍콩 깡패들을 안내하는가?'제하 논평을 의식했다는 비판이 잇따랐다.
애플은 또 지난해 10월 자사 운영체제 iOS 13.1 업데이트에서 홍콩·마카오 지역 아이폰에서 대만 국기 이모티콘을 지우는 등 중국 정부 심기를 건드리지 않으려 애썼다. 미 IT 전문매체 더버지는 "이는 대만, 티베트, 홍콩, 마카오를 독립국으로 간주하는 걸 '하나의 중국'을 위반한 주권 침해로 인식하는 중국 당국 요청에 따른 것"이라고 전했다.
바이오플러스가 지난해 4분기에 창사 이래 최대 분기 실적을 달성했다.바이오플러스는 지난해 4분기 매출액이 290억원, 영업이익은 135억원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13일 밝혔다.매출은 3분기 대비 77% 증가했으며 영업이익은 187% 늘었다. 회사 관계자는 “전 분기 대비 큰 폭의 성장세를 나타냈을 뿐만 아니라 설립 이래 분기 최대 실적”이라고 강조했다.같은 날 바이오플러스는 매출액 또는 손익구조 30% 이상 변동공시를 통해 2024년 연결기준 매출 664억원, 영업이익 234억원, 당기순이익 177억원을 기록했다고 했다.매출은 대형 유통사 확보 등의 영향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증가했다. 당기순이익은 상환전환우선주와 전환사채의 회계 처리 영향으로 파생상품 평가손실이 발생되면서 전년 동기 대비 감소했지만, 이는 영업활동과 무관한 일시적 회계상 평가 손실이라고 설명했다.신희명 바이오플러스 영업부문장은 “지난해부터 대형 유통사 및 해외 주요 거점별 신규거래처를 통한 직판 채널 확보에 주력한 결과 분기 최대 실적을 달성할 수 있었다”며, “인도, 두바이, 중국, 일본, 남미, 유럽 시장의 매출이 증가하고 있어 올해도 실적 상승세를 이어갈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한다”고 덧붙였다.바이오플러스는 주주가치 제고를 위해 2022년부터 당기순이익 20% 수준의 배당 정책을 이어오고 있으며, 이번에도 1주당 50원의 현금배당을 진행할 예정이다.이우상 기자 idol@hankyung.com
휴젤이 연결재무제표 2024년 매출액 3730억원, 영업이익 1663억원의 역대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고 13일 밝혔다. 전년 대비 각각 16.7%, 41.2% 성장한 수치다. 당기순이익은 1424억원으로 45.8% 상승했다.2024년 4분기 매출액, 영업이익, 당기순이익은 982억원, 466억원, 407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0.4%, 26.7%, 130% 증가했다. 전 품목 고르게 성장하며 매출 견인보툴리눔 톡신(휴젤 제품명 보툴렉스)은 전년 대비 20.2% 증가한 2032억원의 연간 매출을 올렸다. 해외 매출은 전년 대비 39.6% 성장했다. 아시아 태평양 지역은 물론 미국 선적과 유럽 시장의 성장에 힘입은 결과다.HA필러(더채움, 바이리즌)의 경우 연간 실적 1276억원을 기록했다. 순조로운 중국향 선적과 유럽 및 중동·북아프리카(MENA) 지역에서의 성장에 따라 해외 매출은 전년 대비 13.2% 늘어났다. 휴젤은 HA필러 브랜드 인지도 제고를 위한 다양한 마케팅 활동에 주력하며 국내 시장 선두 유지는 물론, 글로벌 시장에서도 선전을 이어가고 있다.더마 코스메틱(웰라쥬, 바이리즌 BR) 부문도 폭발적으로 크고 있다. 코스메틱 실적은 전년 대비 37.8% 증가한 369억원으로 견고한 매출 성장을 보였다. 4분기는 117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8.1% 급증했다. 지난 3분기 ‘웰라쥬’는 ‘하이퍼 펩타이드 라인’ 등 새로운 제품을 출시했고, 지난해 4월 론칭한 ‘바이리즌 BR’는 소비자 접점을 늘려가는 등 브랜드 가치를 지속 강화하고 있다. 2025년 미국 출시, 중동 등 신흥시장 공략휴젤은 올해도 해외 시장에서 매출 확대 및 시장 지배력 강화에 집중할 예정이다.특히 상반기 내 보툴리눔 톡신의 미국 시장 출시를 앞두고, 막바지 영업ㆍ마케팅 전략
KT의 지난해 4분기 영업이익이 적자전환했다. 인력구조개선 등 KT 본사 직원을 대상으로 희망퇴직과 자회사 전출을 단행하는 과정에서 지급된 위로금이 영향을 미쳤다. 연간 영업이익은 절반으로 뚝 떨어져 8000억원대를 기록했다. 다만 일회성 인건비를 제외한 경우 연간 영업이익은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다. 올해부터는 AICT(인공지능+정보통신기술) 기업으로의 구조 전환을 본격적으로 추진한다는 계획이다.KT는 지난해 4분기 연결 기준 영업손실 6551억원을 기록하며 적자전환했다고 13일 공시했다. 10여년 만의 분기 영업손실이다. KT는 2014년 2분기 8190억원의 적자에 그친 이후 영업손실을 낸 적이 없다. 이 기간 매출은 1.7% 줄어든 6조5756억원이었다.분기 영업이익이 적자전환한 이유로 지난해 진행된 구조조정에서 지급한 위로금이 지목되고 있다. KT는 지난해 4분기 본사 직원 4500여명을 대상으로 대대적으로 희망퇴직과 자회사 전출을 단행했다. 이 과정에서 직원에게 1인당 평균 3~4억의 위로금을 지급한 것으로 알려졌다. 1조원에 달하는 일회성 비용이 발생한 것이다.일회성 인건비는 1조원에 달한다. 일회성 인건비를 제외할 경우 연결 연간 영업이익은 8095억원에서 1조8118억원으로 늘어난다.회사 측은 일회성 비용을 제외하면 영업이익은 성장했다는 설명이다. 일회성 인건비를 제외한 연결 영업이익 1조8188억원은 전년 대비 9.8% 증가한 기록이다. 같은 기간 별도 영업이익은 12.4% 늘어난 1조3328억원으로 나타났다.연간 매출은 1998년 상장 이후 연간 최대 매출을 기록했다는 입장이다. KT의 지난해 연결 기준 연간 매출은 26조4312억원으로 전년보다 0.2% 늘었다. 영업이익은 같은 기간 50.9% 감소한 8095억원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