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이란사태 한복판서 김정은에 메시지…북미 돌파구 주목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金 생일' 덕담하며 "꼭 좀 전해달라"…대화촉구 '유화 메시지' 관측
'남북협력 강조' 文대통령 신년사 이어 미국도 북한에 '손짓'…北 반응 '촉각'
메신저 맡은 한국, 북한과 "적절한 방법"으로 소통…文대통령 '촉진역' 주목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8일 36세 생일을 맞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에 대한 '덕담'이 담긴 메시지를 한국을 통해 전달하면서 북미대화 교착상태에 돌파구가 마련될지 주목된다.
북한의 '충격적 실제행동' 예고로 한반도 정세를 둘러싼 긴장감이 고조되던 시점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생일 축하'가 국면을 바꾸는 단초가 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특히 미국과 이란의 극한대치 속 미국이 이란에 최대강도 압박을 이어가는 상황에서 북한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유화 제스처'를 취했다는 점에서 이번 메시지는 의미가 적지 않다는 평가가 나온다.
아울러 이번 메시지가 미국을 방문한 정의용 국가안보실장을 통해 전달됐다는 점에서, 북미대화를 제 궤도에 올려놓기 위한 '촉진역'으로서 문재인 대통령과 한국 정부의 발걸음도 조금씩 빨라지는 것 아니냐는 분석도 제기된다. 정 실장은 미국 방문 뒤 이날 오후 인천국제공항을 통해 입국하며 기자들을 만나 트럼프 대통령과의 면담 결과를 설명했다.
정 실장은 "마침 (저와 트럼프 대통령이) 만난 지난 1월 8일이 김 위원장의 생일이었는데 이를 트럼프 대통령이 기억하고 있었다"며 "트럼프 대통령이 김 위원장의 생일에 관해 덕담하면서 '그에 대한 메시지를 문 대통령께서 김 위원장에게 꼭 좀 전달해줬으면 좋겠다' 당부했다"고 말했다.
정 실장은 구체적인 메시지의 내용을 밝히지는 않았다.
그러나 김 위원장의 생일을 축하하며 '그에 대한 메시지'를 전했다고 정 실장이 표현한 점에 미뤄 보면, 김 위원장에 대한 신뢰를 재확인하며 대화를 통해 문제를 해결하는 취지의 메시지가 담겼을 것이라는 관측이 제기되고 있다.
아울러 트럼프 대통령이 김 위원장의 생일을 기억하고 있었다는 점, "꼭 좀 전달해달라"라고 당부했다는 점 등에는 북미대화 재개에 대한 트럼프 대통령의 의지가 우회적으로 드러난다는 의견도 있다.
특히 주목할 점은 미군 기지에 대한 이란의 미사일 발사 등 보복공격으로 트럼프 행정부가 어느 때보다 긴박하게 움직이던 시점에 트럼프 대통령과 정 실장의 면담이 이뤄졌다는 점이다.
트럼프 대통령 입장에서는 당일 대(對)이란 대응방침 대국민연설을 하는 등 급박한 일정을 소화하면서도 시간을 쪼개 정 실장을 만나 김 위원장에 대한 생일 메시지를 전달한 셈이다.
이란에 최대 강도의 압박을 가하는 것과 정반대로 북한에는 대화를 촉구하며 손을 내민 것으로도 해석될 수 있으며, 그만큼 트럼프 대통령의 이번 메시지를 북한 측에서도 특별하게 바라볼 것이라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북한도 지난해 연말부터 '성탄 선물', '충격적 실제행동' 등을 공개 언급하며 대미 압박을 키워오긴 했으나, 동시에 김 위원장은 올해 신년사를 대체한 노동당 7기 5차 전원회의 보고에서 "핵 억제력 강화의 폭과 심도"는 향후 미국의 대응에 달렸다며 대화의 여지를 남기기도 했다.
이처럼 미묘한 시점에 등장한 트럼프 대통령의 '김정은 생일 메시지'는 의외의 효과를 낼 가능성도 열려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나아가 문 대통령이 최근 신년사를 통해 남북협력의 필요성을 강조한 직후 이번 메시지가 나왔다는 점도 주목된다.
문 대통령은 지난 7일 발표한 신년사에서 "김 위원장의 답방을 위한 여건이 하루빨리 갖춰질 수 있도록 남과 북이 함께 노력해 나가기를 바란다"며 남북협력 필요성을 강조했다.
물론 이런 제안에 북한이 당장 호응하기는 어렵다는 관측이 많지만, 문 대통령의 신년사와 트럼프 대통령의 이날 메시지 등이 맞물리며 북한을 대화의 장으로 끌어내기 위한 여건 조성이 탄력을 받고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한국 정부로서는 이번 메시지를 전달하는 '메신저'의 역할을 맡으면서, 다시 한번 북한과 미국의 거리를 좁히는 '촉진역'에 나설 분위기가 만들어졌다는 평가가 가능하다.
특히 정 실장은 "어제 적절한 방법으로 북한에 (트럼프 대통령의) 메시지가 전달된 것으로 안다"고 밝혔다.
"적절한 방법"이 무엇인지에 대해서는 정보당국간 '핫라인'이나 판문점 통한 접촉, 개성공단 남북 공동연락사무소 채널 등이 거론되고 있지만, 명확하게 확인은 되지 않고 있다.
다만 남북의 소통 채널이 여전히 가동된다는 점이 증명됐다는 데에 의미를 둘 수 있다는 분석도 제기된다.
한편 이번 방미에서는 한반도 평화 문제에 대한 한미일의 협력을 거듭 강조했다는 점에서도 의미를 찾을 수 있다.
정 실장은 "한반도에서의 항구적 평화 정착 방안과 관련해서는 미측과, 또 한미일 3국 간에도 매우 긴밀한 협의를 가졌다"고 밝혔다.
아울러 트럼프 대통령도 문 대통령에게 "각별한 안부 말씀을 전해달라"라고 하는 등 한미 정상의 우호관계도 재차 확인했다.
중동 등 다른 지역 정세에 대해서도 상세한 브리핑이 이뤄졌다고 한다.
다만 관심이 쏠려있는 호르무즈 파병과 관련, 정 실장은 "우리의 파병 문제에 대한 직접적 언급은 없었다"고 선을 그었다.
/연합뉴스
'남북협력 강조' 文대통령 신년사 이어 미국도 북한에 '손짓'…北 반응 '촉각'
메신저 맡은 한국, 북한과 "적절한 방법"으로 소통…文대통령 '촉진역' 주목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8일 36세 생일을 맞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에 대한 '덕담'이 담긴 메시지를 한국을 통해 전달하면서 북미대화 교착상태에 돌파구가 마련될지 주목된다.
북한의 '충격적 실제행동' 예고로 한반도 정세를 둘러싼 긴장감이 고조되던 시점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생일 축하'가 국면을 바꾸는 단초가 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특히 미국과 이란의 극한대치 속 미국이 이란에 최대강도 압박을 이어가는 상황에서 북한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유화 제스처'를 취했다는 점에서 이번 메시지는 의미가 적지 않다는 평가가 나온다.
아울러 이번 메시지가 미국을 방문한 정의용 국가안보실장을 통해 전달됐다는 점에서, 북미대화를 제 궤도에 올려놓기 위한 '촉진역'으로서 문재인 대통령과 한국 정부의 발걸음도 조금씩 빨라지는 것 아니냐는 분석도 제기된다. 정 실장은 미국 방문 뒤 이날 오후 인천국제공항을 통해 입국하며 기자들을 만나 트럼프 대통령과의 면담 결과를 설명했다.
정 실장은 "마침 (저와 트럼프 대통령이) 만난 지난 1월 8일이 김 위원장의 생일이었는데 이를 트럼프 대통령이 기억하고 있었다"며 "트럼프 대통령이 김 위원장의 생일에 관해 덕담하면서 '그에 대한 메시지를 문 대통령께서 김 위원장에게 꼭 좀 전달해줬으면 좋겠다' 당부했다"고 말했다.
정 실장은 구체적인 메시지의 내용을 밝히지는 않았다.
그러나 김 위원장의 생일을 축하하며 '그에 대한 메시지'를 전했다고 정 실장이 표현한 점에 미뤄 보면, 김 위원장에 대한 신뢰를 재확인하며 대화를 통해 문제를 해결하는 취지의 메시지가 담겼을 것이라는 관측이 제기되고 있다.
아울러 트럼프 대통령이 김 위원장의 생일을 기억하고 있었다는 점, "꼭 좀 전달해달라"라고 당부했다는 점 등에는 북미대화 재개에 대한 트럼프 대통령의 의지가 우회적으로 드러난다는 의견도 있다.
특히 주목할 점은 미군 기지에 대한 이란의 미사일 발사 등 보복공격으로 트럼프 행정부가 어느 때보다 긴박하게 움직이던 시점에 트럼프 대통령과 정 실장의 면담이 이뤄졌다는 점이다.
트럼프 대통령 입장에서는 당일 대(對)이란 대응방침 대국민연설을 하는 등 급박한 일정을 소화하면서도 시간을 쪼개 정 실장을 만나 김 위원장에 대한 생일 메시지를 전달한 셈이다.
이란에 최대 강도의 압박을 가하는 것과 정반대로 북한에는 대화를 촉구하며 손을 내민 것으로도 해석될 수 있으며, 그만큼 트럼프 대통령의 이번 메시지를 북한 측에서도 특별하게 바라볼 것이라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북한도 지난해 연말부터 '성탄 선물', '충격적 실제행동' 등을 공개 언급하며 대미 압박을 키워오긴 했으나, 동시에 김 위원장은 올해 신년사를 대체한 노동당 7기 5차 전원회의 보고에서 "핵 억제력 강화의 폭과 심도"는 향후 미국의 대응에 달렸다며 대화의 여지를 남기기도 했다.
이처럼 미묘한 시점에 등장한 트럼프 대통령의 '김정은 생일 메시지'는 의외의 효과를 낼 가능성도 열려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나아가 문 대통령이 최근 신년사를 통해 남북협력의 필요성을 강조한 직후 이번 메시지가 나왔다는 점도 주목된다.
문 대통령은 지난 7일 발표한 신년사에서 "김 위원장의 답방을 위한 여건이 하루빨리 갖춰질 수 있도록 남과 북이 함께 노력해 나가기를 바란다"며 남북협력 필요성을 강조했다.
물론 이런 제안에 북한이 당장 호응하기는 어렵다는 관측이 많지만, 문 대통령의 신년사와 트럼프 대통령의 이날 메시지 등이 맞물리며 북한을 대화의 장으로 끌어내기 위한 여건 조성이 탄력을 받고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한국 정부로서는 이번 메시지를 전달하는 '메신저'의 역할을 맡으면서, 다시 한번 북한과 미국의 거리를 좁히는 '촉진역'에 나설 분위기가 만들어졌다는 평가가 가능하다.
특히 정 실장은 "어제 적절한 방법으로 북한에 (트럼프 대통령의) 메시지가 전달된 것으로 안다"고 밝혔다.
"적절한 방법"이 무엇인지에 대해서는 정보당국간 '핫라인'이나 판문점 통한 접촉, 개성공단 남북 공동연락사무소 채널 등이 거론되고 있지만, 명확하게 확인은 되지 않고 있다.
다만 남북의 소통 채널이 여전히 가동된다는 점이 증명됐다는 데에 의미를 둘 수 있다는 분석도 제기된다.
한편 이번 방미에서는 한반도 평화 문제에 대한 한미일의 협력을 거듭 강조했다는 점에서도 의미를 찾을 수 있다.
정 실장은 "한반도에서의 항구적 평화 정착 방안과 관련해서는 미측과, 또 한미일 3국 간에도 매우 긴밀한 협의를 가졌다"고 밝혔다.
아울러 트럼프 대통령도 문 대통령에게 "각별한 안부 말씀을 전해달라"라고 하는 등 한미 정상의 우호관계도 재차 확인했다.
중동 등 다른 지역 정세에 대해서도 상세한 브리핑이 이뤄졌다고 한다.
다만 관심이 쏠려있는 호르무즈 파병과 관련, 정 실장은 "우리의 파병 문제에 대한 직접적 언급은 없었다"고 선을 그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