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아차 6년간 29조원 투자…2025년 전기차 11종으로 확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내년 첫 전기차 전용모델 출시, 전기차 세계시장 점유율 6.6%로
친환경차 비중 25%로 상향·모빌리티 경쟁력 확보…영업이익률 6% 달성 기아자동차가 6년간 29조원을 투자해 2025년 영업이익률 6%를 달성하겠다는 중장기 미래 전략을 처음으로 공개했다.
전기차 시장에서 리더십을 확보해 세계시장 점유율을 작년 2.1%에서 2025년 6.6%로 높이고 모빌리티 솔루션에서도 경쟁력을 갖춘다.
기아차는 14일 서울 여의도 콘래드 서울 호텔에서 박한우 사장 주재로 기관투자자들을 대상으로 개최한 CEO 인베스터데이에서 양대 미래 사업 '전기차와 모빌리티 솔루션'으로 과감한 전환을 하겠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는 미래 자동차산업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기아차 중장기 미래 전략 '플랜(Plan) S'의 핵심이다.
박한우 사장은 "과감하고 선제적인 미래 사업 전환 통해 혁신 브랜드로 탈바꿈하겠다"고 말했다.
기아차는 작년에 4조2천억원을 투자했고 올해부터 2025년까지 4조3천∼5조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연구개발에 13조1천억원, 경상 투자 10조8천억원, 지분·제휴투자 5조1천억원이다.
현대차는 지난달초 이원희 사장이 주재한 인베스터데이에서 6년간 미래차 기술 등에 61조1천억원을 투자해 2025년 자동차부문 영업이익률을 8% 수준으로 끌어올린다는 중장기 계획을 밝혔다. 기아차는 내년에 첫 전기차 전용 모델을 내놓고 2025년엔 전차급에 걸쳐서 전기차 11종을 갖추고, 친환경차 판매 비중 25%를 달성한다.
전기차종은 작년 2개, 2022년 4개에서 늘어나고 전기차 비중은 2019년 1.0%→2022년 4.2%→2025년 12.3%로 높인다.
친환경차 전체 비중은 2019년 6.0%→2022년 15.2% 목표다.
2026년에는 중국 외 세계 시장에서 전기차 50만대를 포함해 친환경차 100만대를 판매한다.
전기차 전용 모델은 전기차 전용 플랫폼이 적용되고, 승용과 스포츠유틸리티차(SUV)의 경계를 허무는 크로스오버 디자인, 미래지향적 사용자 경험, 1회 충전 주행거리 500㎞ 이상, 20분 이내 초고속 충전 등의 성능을 갖춘다.
전기차는 고성능과 보급형으로 운영한다.
한국, 북미, 유럽 등 선진시장은 2025년까지 전기차 판매 비중을 20%까지 확대한다.
신흥시장은 전기차 보급 속도를 감안해 투입한다.
기아차는 혁신적인 '전기차 아키텍처(차량 기본 골격)' 개발 체계를 도입해서 기획 단계에서부터 고객 요구를 적극 반영할 방침이다.
이렇게 되면 다양한 차종을 단기간에 적은 비용으로 개발할 수 있다는 게 기아차의 설명이다.
전기차 판매와 관련해선 구매 부담을 덜어주는 구독 모델, 전기차 핵심 부품인 배터리 렌탈·리스, 중고 배터리 사업 등도 검토 중이다.
모빌리티 사업과 관련해 기아차는 해외 대도시에서 지역 사업자 등과 함께 전기차 충전소, 차량 정비 센터, 편의시설 등이 갖춰진 '모빌리티 허브(Hub)'를 구축한다.
모빌리티 허브는 환경 규제로 도시 진입이 불가한 내연기관 차량과 전기차가 환승하는 거점이다.
장기적으로는 자율주행 기술이 탑재된 로보택시, 수요응답형 로보셔틀 등도 운영한다. 기아차는 현재 스페인 마드리드에서 현지 최대 에너지 기업인 '렙솔'과 합작법인을 설립해 '위블(Wible)' 브랜드로 2018년 9월부터 차량공유 서비스를 하고 있다.
서비스 지역에서 차량 대여, 반납을 자유롭게 하는 방식으로 니로 플러그인하이브리드 500대가 운영되고 있으며 누적 회원수 13만여명이다.
기아차는 또 운송, 물류, 유통 등 기업 고객 등을 대상으로 한 PBV 시장에 주목하고 있다.
기업 고객이 현재 세계 산업 수요의 약 5%에서 2030년에 25%로 늘어날 것이란 전망이 배경이다.
기아차는 차량 공유 서비스 전용차, 저상 물류차, 신선식품 배송차 등 맞춤형 PBV를 개발할 계획이다.
자율주행 기술이 보편화하면 초소형 무인 배송차, 로보택시 등 통합 모듈 방식의 '스케이트보드 플랫폼' 기술이 적용된 PBV로 사업을 확대한다.
특정 용도의 PBV는 가격 경쟁력 확보가 중요하므로 외부 협업에 적극 나서고 내부에도 전담 개발조직과 생산체제를 갖출 예정이다. 기아차는 내연기관 사업 수익성을 개선해서 투자 재원을 확보하고 영업이익률을 지난해 3.4%(3분기까지), 2022년 5%에서 2025년 6%로 올릴 계획이다.
자기자본이익률(ROE)은 세계 상위 수준인 10.6%로 높인다.
이를 위해 기아차는 중국 제외 시장에서 SUV 판매 비중을 현재 50%에서 2022년 60%로 끌어올린다.
인도시장에선 레저용차량(RV) 중심 신차 투입, 공장 가동률 확대, 2022년 30만대 생산 체제 구축 등으로 공략을 강화한다.
중국에선 근본적 체질 개선을 목표로 브랜드 혁신을 한다.
신흥시장의 반조립제품(CKD) 사업은 현재 8만대에서 2023년 30만대 체제로 키운다.
중국 외 신흥시장 내연기관차 판매는 현재 77만대에서 2025년 105만대로 늘려서 수익성 제고를 유도한다.
전기차는 설계 최적화와 표준화 혁신으로 2025년에는 내연기관 수준의 수익성 확보가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기아차는 말했다.
단기적으로는 25∼30% 배당 성향 기조를 유지하고, 중장기적으로는 자사주 매입, 배당 성향 확대 등을 적극 검토하는 등 주주환원을 추진한다.
기아차는 고객이 변화를 공감할 수 있도록 브랜드 정체성(BI), 기업 이미지 (CI), 디자인 방향성(DI), 사용자 경험(UX) 등 전부문에서 근본적 혁신을 추진하고 올해 하반기 구체적 전략을 내놓는다.
이베스트투자증권 유지웅 애널리스트는 "전기차 전용 차종이 출시되면 내년부터는 친환경차에서 적자폭이 줄고 하반기부터는 이익이 날 것으로 보는 것 같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친환경차 비중 25%로 상향·모빌리티 경쟁력 확보…영업이익률 6% 달성 기아자동차가 6년간 29조원을 투자해 2025년 영업이익률 6%를 달성하겠다는 중장기 미래 전략을 처음으로 공개했다.
전기차 시장에서 리더십을 확보해 세계시장 점유율을 작년 2.1%에서 2025년 6.6%로 높이고 모빌리티 솔루션에서도 경쟁력을 갖춘다.
기아차는 14일 서울 여의도 콘래드 서울 호텔에서 박한우 사장 주재로 기관투자자들을 대상으로 개최한 CEO 인베스터데이에서 양대 미래 사업 '전기차와 모빌리티 솔루션'으로 과감한 전환을 하겠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는 미래 자동차산업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기아차 중장기 미래 전략 '플랜(Plan) S'의 핵심이다.
박한우 사장은 "과감하고 선제적인 미래 사업 전환 통해 혁신 브랜드로 탈바꿈하겠다"고 말했다.
기아차는 작년에 4조2천억원을 투자했고 올해부터 2025년까지 4조3천∼5조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연구개발에 13조1천억원, 경상 투자 10조8천억원, 지분·제휴투자 5조1천억원이다.
현대차는 지난달초 이원희 사장이 주재한 인베스터데이에서 6년간 미래차 기술 등에 61조1천억원을 투자해 2025년 자동차부문 영업이익률을 8% 수준으로 끌어올린다는 중장기 계획을 밝혔다. 기아차는 내년에 첫 전기차 전용 모델을 내놓고 2025년엔 전차급에 걸쳐서 전기차 11종을 갖추고, 친환경차 판매 비중 25%를 달성한다.
전기차종은 작년 2개, 2022년 4개에서 늘어나고 전기차 비중은 2019년 1.0%→2022년 4.2%→2025년 12.3%로 높인다.
친환경차 전체 비중은 2019년 6.0%→2022년 15.2% 목표다.
2026년에는 중국 외 세계 시장에서 전기차 50만대를 포함해 친환경차 100만대를 판매한다.
전기차 전용 모델은 전기차 전용 플랫폼이 적용되고, 승용과 스포츠유틸리티차(SUV)의 경계를 허무는 크로스오버 디자인, 미래지향적 사용자 경험, 1회 충전 주행거리 500㎞ 이상, 20분 이내 초고속 충전 등의 성능을 갖춘다.
전기차는 고성능과 보급형으로 운영한다.
한국, 북미, 유럽 등 선진시장은 2025년까지 전기차 판매 비중을 20%까지 확대한다.
신흥시장은 전기차 보급 속도를 감안해 투입한다.
기아차는 혁신적인 '전기차 아키텍처(차량 기본 골격)' 개발 체계를 도입해서 기획 단계에서부터 고객 요구를 적극 반영할 방침이다.
이렇게 되면 다양한 차종을 단기간에 적은 비용으로 개발할 수 있다는 게 기아차의 설명이다.
전기차 판매와 관련해선 구매 부담을 덜어주는 구독 모델, 전기차 핵심 부품인 배터리 렌탈·리스, 중고 배터리 사업 등도 검토 중이다.
모빌리티 사업과 관련해 기아차는 해외 대도시에서 지역 사업자 등과 함께 전기차 충전소, 차량 정비 센터, 편의시설 등이 갖춰진 '모빌리티 허브(Hub)'를 구축한다.
모빌리티 허브는 환경 규제로 도시 진입이 불가한 내연기관 차량과 전기차가 환승하는 거점이다.
장기적으로는 자율주행 기술이 탑재된 로보택시, 수요응답형 로보셔틀 등도 운영한다. 기아차는 현재 스페인 마드리드에서 현지 최대 에너지 기업인 '렙솔'과 합작법인을 설립해 '위블(Wible)' 브랜드로 2018년 9월부터 차량공유 서비스를 하고 있다.
서비스 지역에서 차량 대여, 반납을 자유롭게 하는 방식으로 니로 플러그인하이브리드 500대가 운영되고 있으며 누적 회원수 13만여명이다.
기아차는 또 운송, 물류, 유통 등 기업 고객 등을 대상으로 한 PBV 시장에 주목하고 있다.
기업 고객이 현재 세계 산업 수요의 약 5%에서 2030년에 25%로 늘어날 것이란 전망이 배경이다.
기아차는 차량 공유 서비스 전용차, 저상 물류차, 신선식품 배송차 등 맞춤형 PBV를 개발할 계획이다.
자율주행 기술이 보편화하면 초소형 무인 배송차, 로보택시 등 통합 모듈 방식의 '스케이트보드 플랫폼' 기술이 적용된 PBV로 사업을 확대한다.
특정 용도의 PBV는 가격 경쟁력 확보가 중요하므로 외부 협업에 적극 나서고 내부에도 전담 개발조직과 생산체제를 갖출 예정이다. 기아차는 내연기관 사업 수익성을 개선해서 투자 재원을 확보하고 영업이익률을 지난해 3.4%(3분기까지), 2022년 5%에서 2025년 6%로 올릴 계획이다.
자기자본이익률(ROE)은 세계 상위 수준인 10.6%로 높인다.
이를 위해 기아차는 중국 제외 시장에서 SUV 판매 비중을 현재 50%에서 2022년 60%로 끌어올린다.
인도시장에선 레저용차량(RV) 중심 신차 투입, 공장 가동률 확대, 2022년 30만대 생산 체제 구축 등으로 공략을 강화한다.
중국에선 근본적 체질 개선을 목표로 브랜드 혁신을 한다.
신흥시장의 반조립제품(CKD) 사업은 현재 8만대에서 2023년 30만대 체제로 키운다.
중국 외 신흥시장 내연기관차 판매는 현재 77만대에서 2025년 105만대로 늘려서 수익성 제고를 유도한다.
전기차는 설계 최적화와 표준화 혁신으로 2025년에는 내연기관 수준의 수익성 확보가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기아차는 말했다.
단기적으로는 25∼30% 배당 성향 기조를 유지하고, 중장기적으로는 자사주 매입, 배당 성향 확대 등을 적극 검토하는 등 주주환원을 추진한다.
기아차는 고객이 변화를 공감할 수 있도록 브랜드 정체성(BI), 기업 이미지 (CI), 디자인 방향성(DI), 사용자 경험(UX) 등 전부문에서 근본적 혁신을 추진하고 올해 하반기 구체적 전략을 내놓는다.
이베스트투자증권 유지웅 애널리스트는 "전기차 전용 차종이 출시되면 내년부터는 친환경차에서 적자폭이 줄고 하반기부터는 이익이 날 것으로 보는 것 같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