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에세이] 대학기부금, 소액이라도 좋다
그동안 늘어나던 국내 기부금 액수가 지난해 처음 줄어들었다고 한다. 2013년 말 기부금이 소득공제대상에서 세액공제대상으로 전환된 소득세법 개정 이후 국내총생산(GDP) 대비 기부금 비중도 계속 감소 추세다.

새해 들어 기부금에 대해 다시 생각하게 된 것은 11년째 동결돼 있는 대학등록금과 맞물려 재정 확충방안을 고민하면서다. 우리나라는 GDP 대비 대학 기부금 비중이 2013년 이래 계속 떨어졌다. 사립대 기부금 비중은 더 큰 폭으로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사립대의 자체 수입에서 기부금 비중이 2% 남짓한데, 미국 사립대는 10% 이상이라니 부럽기까지 하다. 이제 기부금은 대학 발전의 종잣돈으로 인식돼야 하고, 활성화 대책도 범교육계, 범정부 차원에서 마련돼야 한다.

국내 대학들은 기부금에 사활을 걸고 있다. 총장들은 동문·기업인을 찾아 나서고, 상대적으로 세제 혜택이 큰 해외에 ‘기부재단’을 설립하고 있다. 2018년(2017년 결산기준) 전국 154개 4년제 사립대의 교비회계 기준 기부금 수입을 조사한 결과 154개 대학의 연간 교비회계 기부금 중 50%가량이 상위 10개 대학에 쏠린 것으로 확인됐다. 인지도가 높은 대형 대학에 기부금이 몰릴 수밖에 없고, 성공한 동문이 많은 ‘메이저급 대학’들이 기부금을 많이 모을 수 있어서일 테다.

신성장동력 발굴을 위해서는 종잣돈이 필요하다. 등록금만으로는 턱없이 부족하고 정부 재정지원을 받더라도 한계가 있다. 이런 상황에서도 지역 대학들은 기부금으로 강의실과 실험 실습실을 만들어 교육용 기자재에 투입하고 있다.

서울의 한 사립대학이 기부금으로 인공지능(AI)센터 설립을 추진하고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는 10억달러(약 1조1700억원)의 특별기부금으로 50명의 신규 교원을 채용, AI대학을 설립한다고 했을 때 참으로 부러웠다. 지역대학도 AI센터를 설립하고, 4차 산업혁명 대비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운영해야 한다.

문제는 재정이다. 총장과 주요 보직교수들이 뛰어보지만 대학에 기부금(발전기금)을 선뜻 내놓는 기업이나 독지가는 거의 없다. 교직원들이 마른 수건 쥐어짜듯 기부금을 내고 있는데 차마 더 내어 보라는 독려를 더는 못하겠다.

미래 먹거리를 창출해내는 대학에 대한 투자(기부)는 인색한 편이다. 기부가 국가경쟁력을 키울 수 있다는 인식 개선과 함께 특별소득공제 등 기부자에게 세제 혜택을 주는 기부문화 변화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