뜨거운 성질의 겨울 음식 마라탕, 맵고 고열량…건더기 위주로 드세요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한의학으로 본 마라탕
추운 겨울철 기력 회복에 좋아
혈관 확장시켜 혈액순환 도움
많이 먹으면 위염·위궤양 조심
추운 겨울철 기력 회복에 좋아
혈관 확장시켜 혈액순환 도움
많이 먹으면 위염·위궤양 조심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지난해 마라탕과 마라샹궈를 판매하는 음식점과 원료 공급업체를 점검해 절반 이상이 식품위생법을 위반했다고 발표하고 시정명령을 내렸다. 이후 마라탕과 마라샹궈 등의 유행이 잠시 주춤해지는 듯 보였지만 20~30대 여성 등을 중심으로 중독성 높은 매운맛에 대한 인기가 여전하다.
마라탕은 매운맛으로 잘 알려진 중국 사천요리에 기원을 둔 음식이다. 혀가 저릴 정도로 알싸한 매운맛을 낸다. 마라(痲辣)는 한자 그대로 저리고 매운 음식이다. 각종 향신료로 만든 기름에 고춧가루, 두반장을 섞어 넣은 양념을 말한다.
마라의 조리법은 상당히 독특하다. 양념의 기본은 향유서다. 초피, 팔각회향, 정향 등 한의학에서 약재로 쓰이는 향신료가 많이 들어간다. 제피라고도 불리는 초피는 속이 찬 것을 따뜻하게 하는 성질이 있다. 위장이 차 설사를 하거나 소화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사람에게 처방하는 약재로 활용된다. 독을 풀어주는 효과도 있다. 해산물을 요리할 때 많이 사용된다. 팔각회향과 정향도 따뜻한 성질을 지녔다. 양기를 보하고 신진대사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마라탕은 지나치게 맵고 자극적인 음식이다. 몸에 좋은 식재료가 풍부하게 들어갔다고 해도 한 번에 많은 양을 섭취하면 건강에 나쁜 영향을 줄 수 있다. 나트륨이 많이 든 것도 건강에는 좋지 않다. 나트륨을 많이 섭취하면 위 점막이 망가지기 쉽다. 짠 음식을 많이 먹는 습관은 위암의 주요 원인 중 하나다. 강 원장은 “마라탕이 영양학적으로 유익한 음식이긴 하지만 지나치게 많이 섭취하면 위와 장을 자극해 소화를 어렵게 하거나 위염, 위산과다, 위궤양 등 증상을 심화시킬 수 있다”며 “열량이 상당히 높기 때문에 국물까지 모두 먹는 것보다는 건더기 위주로 식사하는 것이 좋다”고 했다.
이지현 기자 bluesk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