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한강의 기적' 마지막 거인의 퇴장…"할 수 있다" 정신 계승해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전쟁의 폐허 속에서 한국 일으킨 창업 1세대 막 내려
'기업보국' '책임경영' 개척자…'신격호 정신' 새기고
4차 산업혁명 선도할 새로운 기업가 정신 창출해야
'기업보국' '책임경영' 개척자…'신격호 정신' 새기고
4차 산업혁명 선도할 새로운 기업가 정신 창출해야
“전쟁으로 황폐해진 한국을 재건한 마지막 기업가 세대가 갔다.” 롯데그룹 창업자인 신격호 명예회장이 타계하자 블룸버그통신은 이렇게 전했다. 신 명예회장은 이병철 정주영 회장 등과 함께 한국 경제의 창업 1세대를 이끈 마지막 생존자였다. ‘한강의 기적’을 가능하게 했던 거인들의 퇴장은 그들이 남긴 기업가 정신을 어떻게 계승할지 우리 앞에 큰 과제를 던져주고 있다.
과거 한국의 고도성장은 ‘기업보국(企業報國)’이라는 독특한 기업가 정신을 빼놓고는 이해할 수 없다는 주장은 더 이상 새로울 것도 없다. 경제학 교과서의 ‘비교우위론’을 그대로 따랐다면 한강의 기적은 없었을 것이란 점은 경제학자들도 인정하는 바다. 신 명예회장은 1세대 창업자들의 공통점인 기업보국의 대표적 실천자였다. 일본에서 사업을 일으킨 신 명예회장은 한·일 수교 이후 한국 투자의 길이 열리자 1967년 롯데제과를 설립했고, 이후 유통 호텔 석유화학 등으로 사업을 확장해 매출 100조원 규모의 그룹을 일궜다. “백화점은 한 나라의 경제를 보여주는 거울이다. 한국을 대표할 롯데백화점은 한국의 위상을 재는 바로미터다.” 신 명예회장의 이런 철학은 다른 사업에도 그대로 녹아 있다.
신 명예회장은 기업인들에게 귀감이 될 경영원칙도 남겼다. ‘품질 경영’이란 말조차 없었던 시기에 품질을 고집했다. ‘무차입 경영’ 중시는 이후 롯데가 외환위기의 터널을 빠져나와 성장의 발판을 마련하는 데 큰 도움이 됐다. ‘독자 브랜드 개발’은 호텔을 비롯해 ‘롯데’ 브랜드에 기반한 사업 확장으로 이어졌다. 그의 경영원칙 세 가지도 마찬가지다. “이해가 되지 않는 사업에는 손대지 않고, 이해가 되는 사업을 시작하더라도 철저히 조사하고 준비한다. 사업에 실패해도 아무에게도 피해를 주지 않는 범위에서 자금을 차입한다.” 이 원칙들에서 전체를 관통하는 정신이 느껴진다. 잘 모르는 사업으로 국민에게 피해를 주지 않고 자기 책임으로 사업을 하겠다는 ‘책임 경영’이다.
이제 이 시대 기업인들에게 남겨진 과제는 창업 1세대의 철학을 토대로 새로운 경쟁 환경에서 생존하고 성장할 기업가 정신을 다시 창출하는 것이다. 경제성장과 기업가 정신의 관계를 연구하는 학자들은 한 국가가 1인당 국민소득 3만달러를 넘어 선진국으로 안착하려면 창업과 스타트업을 활성화하고 성장의 원천도 지식과 아이디어 등으로 옮겨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 불행히도 인공지능(AI) 등 4차 산업혁명 대응이 시급한 상황에서 한국의 기업가 정신은 사상 최저로 떨어졌다는 조사가 나오고 있다.
이대로 가면 혁신성장은 공염불로 끝날 수밖에 없다. 글로벌 경제가 불확실하고 규제 등으로 국내 기업환경이 어렵다는 점을 모르는 바 아니다. 하지만 창업 2·3세대와 스타트업 창업자들이 한국 경제를 재건한 창업 1세대의 기업가 정신을 토대로 다시 혁신으로 무장하는 것 말고는 헤쳐나갈 다른 방도가 없다. 정부 또한 과거 척박한 상황에서도 기업인들이 맘껏 뛸 수 있게 해 줬다는 사실을 잊지 않았다면 기업하기 좋은 환경 조성에 팔을 걷어붙여야 할 것이다.
과거 한국의 고도성장은 ‘기업보국(企業報國)’이라는 독특한 기업가 정신을 빼놓고는 이해할 수 없다는 주장은 더 이상 새로울 것도 없다. 경제학 교과서의 ‘비교우위론’을 그대로 따랐다면 한강의 기적은 없었을 것이란 점은 경제학자들도 인정하는 바다. 신 명예회장은 1세대 창업자들의 공통점인 기업보국의 대표적 실천자였다. 일본에서 사업을 일으킨 신 명예회장은 한·일 수교 이후 한국 투자의 길이 열리자 1967년 롯데제과를 설립했고, 이후 유통 호텔 석유화학 등으로 사업을 확장해 매출 100조원 규모의 그룹을 일궜다. “백화점은 한 나라의 경제를 보여주는 거울이다. 한국을 대표할 롯데백화점은 한국의 위상을 재는 바로미터다.” 신 명예회장의 이런 철학은 다른 사업에도 그대로 녹아 있다.
신 명예회장은 기업인들에게 귀감이 될 경영원칙도 남겼다. ‘품질 경영’이란 말조차 없었던 시기에 품질을 고집했다. ‘무차입 경영’ 중시는 이후 롯데가 외환위기의 터널을 빠져나와 성장의 발판을 마련하는 데 큰 도움이 됐다. ‘독자 브랜드 개발’은 호텔을 비롯해 ‘롯데’ 브랜드에 기반한 사업 확장으로 이어졌다. 그의 경영원칙 세 가지도 마찬가지다. “이해가 되지 않는 사업에는 손대지 않고, 이해가 되는 사업을 시작하더라도 철저히 조사하고 준비한다. 사업에 실패해도 아무에게도 피해를 주지 않는 범위에서 자금을 차입한다.” 이 원칙들에서 전체를 관통하는 정신이 느껴진다. 잘 모르는 사업으로 국민에게 피해를 주지 않고 자기 책임으로 사업을 하겠다는 ‘책임 경영’이다.
이제 이 시대 기업인들에게 남겨진 과제는 창업 1세대의 철학을 토대로 새로운 경쟁 환경에서 생존하고 성장할 기업가 정신을 다시 창출하는 것이다. 경제성장과 기업가 정신의 관계를 연구하는 학자들은 한 국가가 1인당 국민소득 3만달러를 넘어 선진국으로 안착하려면 창업과 스타트업을 활성화하고 성장의 원천도 지식과 아이디어 등으로 옮겨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 불행히도 인공지능(AI) 등 4차 산업혁명 대응이 시급한 상황에서 한국의 기업가 정신은 사상 최저로 떨어졌다는 조사가 나오고 있다.
이대로 가면 혁신성장은 공염불로 끝날 수밖에 없다. 글로벌 경제가 불확실하고 규제 등으로 국내 기업환경이 어렵다는 점을 모르는 바 아니다. 하지만 창업 2·3세대와 스타트업 창업자들이 한국 경제를 재건한 창업 1세대의 기업가 정신을 토대로 다시 혁신으로 무장하는 것 말고는 헤쳐나갈 다른 방도가 없다. 정부 또한 과거 척박한 상황에서도 기업인들이 맘껏 뛸 수 있게 해 줬다는 사실을 잊지 않았다면 기업하기 좋은 환경 조성에 팔을 걷어붙여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