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메신저 '라인', 카메라 앱 '스노우·B612' 이어 네번째
아바타 꾸미기·셀카 효과 극대화 등 '1020 트렌드' 선도
21일 기준 인스타그램에서 ‘Zepeto’를 검색하면 247만2954건의 관련 게시물이 나온다. 중국에서도 제페토 이용자가 급증하자 중국의 인기 카메라 앱 ‘메이투’는 제페토를 베낀 아바타 생성 기능을 추가했다. AI·AR 등 최첨단 IT 적용
제페토를 개발한 회사는 네이버의 자회사 스노우다. 2018년 8월 출시된 제페토는 작년 상반기에 글로벌 가입자 1억 명을 돌파했다. 출시된 지 1년도 되지 않아 올린 성과다. 네이버는 제페토를 비롯해 모바일 메신저 ‘라인’, 스마트폰 카메라 앱 ‘스노우’와 ‘B612’까지 세계 이용자 1억명 이상의 인터넷 서비스를 4개 보유하게 됐다. 네이버가 글로벌 정보기술(IT) 기업으로 자리를 잡았다는 평가가 나오는 이유다.
21일 IT업계에 따르면 제페토 가입자는 지난달 기준으로 1억800만 명에 달한다. 이 서비스를 사용하기 위해 가입한 로그인 이용자 기준이다. 단순 앱 다운로드 수는 2억 건에 육박한 것으로 추정된다.
제페토는 이용자와 꼭 닮은 3D 아바타를 만든 뒤 증강현실(AR) 기술로 실제 사진이나 가상 배경에 자연스럽게 합성해주는 서비스다. 아바타끼리 게임을 즐기도록 하거나 문자메시지 이모티콘으로 활용하는 등 여러 앱을 넘나들며 자유롭게 갖고 놀 수 있다. 출시 직후 별다른 홍보 없이도 미국, 중국, 영국 등의 해외 앱 장터에서 다운로드 1위를 기록했다. 해외 이용자 비중이 90% 이상이다. 주요 사용자층은 만 13~18세 청소년이다.
10대들이 선호하는 서비스로 ‘우뚝’
제페토는 ‘닮긴 닮았지만 실제보단 조금 더 예쁘고 귀여운’ 아바타를 생성하는 기술이 강점으로 꼽힌다. 다른 아바타 서비스와 달리 세밀한 조정이 가능하다. 제페토가 이용자의 얼굴을 분석해 표현한 아바타 이미지에서 머리 스타일, 눈, 코 등의 모양을 구체적으로 쉽게 바꿀 수 있다. 제페토에선 얼굴은 공짜로 만들 수 있지만 옷을 입히거나 배경, 동작 등을 넣으려면 유료 아이템을 사야 한다. 인스타그램 등 다른 앱에서 쉽게 활용할 수 있는 것도 강점이다.
인터넷업계 관계자는 “제페토가 인공지능(AI), 3D, AR 등 첨단 IT를 활용해 10여 년 전 국내에서 유행했던 SNS ‘싸이월드’의 아바타 놀이를 세계적으로 확산시켰다”고 말했다.
제페토의 인기로 네이버는 글로벌 1억 명 이용자 ‘쿼드러플 크라운’을 달성했다. 글로벌 이용자 1억 명을 넘어선 인터넷 서비스를 4개 보유한 기업은 국내에서 네이버가 처음이다. 게임 외 분야에서 2개 이상을 기록한 인터넷 기업도 국내에는 없다. 세계적으로 가장 많은 이용자를 확보한 국내 인터넷 서비스는 게임업체 펍지의 ‘배틀그라운드 모바일’로 추정된다. 지난달 글로벌 6억 다운로드를 달성했다.
해외 이용자 비중 80% 이상
네이버는 2013년 모바일 메신저 라인의 가입자가 1억 명을 돌파하면서 글로벌 기업으로 도약했다. 지난달 일본, 태국, 대만, 인도네시아 등 4개국 기준으로 라인의 실사용자(MAU)는 1억6400만 명을 기록했다. 글로벌 라인 가입자는 3억 명이 넘는다. 제페토를 만든 스노우가 운영하고 있는 카메라 앱 B612는 2015년 다운로드 1억 건을 돌파했다. 2017년에는 3억 건을 넘어섰다. 실사용자 수도 1억 명 이상을 기록했다.
스노우가 만들었고 회사명과 이름이 같은 카메라 앱 ‘스노우’는 2017년 다운로드 2억 건을 돌파했다. B612, 스노우를 포함해 ‘소다’, ‘푸디’, ‘라인카메라’까지 총 5개 카메라 앱의 지난달 실사용자 수는 2억4200만 명에 달했다. 모두 해외 이용자 비중이 80% 이상이다. 셀카 이미지 보정 기능, 셀카 스티커 효과 기능 등을 적용해 인기를 끌었다는 분석이다.
IT업계 관계자는 “라인을 제외하고 모두 10~20대의 트렌드를 이끈 것이 네이버 서비스가 세계에서 성공을 거두고 있는 요인”이라고 말했다.
김주완 기자 kjwa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