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베이징 초미세먼지 성분 보니…배출가스·석탄 영향 뚜렷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차 배출가스 연관 질산암모늄 비율 커…중국, 겨울철 화석연료 난방 영향 여전
서울과 베이징의 초미세먼지 성분을 분석한 결과 자동차 배출가스 등 교통 부분과 석탄 발전이 초미세먼지 발생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부 소속 국립환경과학원은 한중 대기질 공동연구단이 2017년 이후 중국 베이징에서 진행한 초미세먼지 특성 연구 결과를 22일 공개했다.
두 도시의 초미세먼지 성분은 질산암모늄, 황산암모늄, 유기물질 등으로 비슷했는데 조성비를 보면 베이징은 질산암모늄이 22%, 황산암모늄 11%, 유기물질 44%, 지각물질 등 23%였다.
반면 서울은 질산암모늄이 25%, 황산암모늄 25%, 유기물질 28%, 지각물질 등 22%였다.
자동차 배출가스와 관련 있는 질산암모늄 비율은 두 도시가 비슷했고 석유·석탄 연소와 연관된 황산암모늄 비율은 베이징이 서울의 절반 절도였으나 유기물질 비율은 베이징이 서울의 1.5배였다.
질산암모늄은 2017년 기준으로 고농도 초미세먼지가 발생했을 때 베이징에서는 10% 이상 증가했고 서울에서는 22%가량 증가했는데 자동차 등 교통 부분의 발생량 증가 때문으로 분석됐다.
환경과학원은 중국 정부가 화석 연료 사용을 줄이는 에너지 구조조정 정책을 시행하면서 질소·황산암모늄 비율이 낮아지고 있지만 석탄 등 화석 연료 사용이 많은 겨울철에는 유기물질 조성비가 높게 나타나고 있다고 설명했다.
환경과학원은 향후 배출량 현지 조사, 배출항목(인벤토리) 구축 등 추가 연구를 통해 구체적인 연구 결과를 도출하기로 했다. 전권호 환경과학원 연구관은 "초미세먼지 성분은 전 세계 어느 곳이나 비슷하지만, 조성비는 생활 방식과 환경 등에 따라 다르다"며 "이번 연구는 초미세먼지의 월경 문제와 관련이 없고, 두 도시의 초미세먼지 발생 원인을 따져보고 정책을 수립하는 데 목적이 있다"고 말했다.
환경과학원은 공동연구단이 중국 주요 지역의 고농도 미세먼지 예·경보 자료를 실시간 분석해 환경부 등 관계기관에 전파함으로써 미세먼지 대응에 활용하고 있다며 한중 대기질 공동연구가 양국 간 최초의 연구 분야 협력사업이라고 설명했다.
베이징 외에 바오딩, 창다오, 다롄 등 북동부 도시 3곳의 초미세먼지 조성비를 분석한 결과도 내년에 나온다.
2015년 6월 현지 개소식을 한 공동연구단은 2018년 한·중 환경협력센터, 2019년 한중 환경부 장관의 '청천(靑天) 계획(미세먼지 저감 계획)' 서명 등으로 이어지며 양국 정책 협력을 위한 마중물 역할도 했다.
공동연구단은 올해 청천 계획에 따라 지상관측 분석 항목을 확대하고 입체관측을 추진하는 등 공동 연구를 확대하는 방안을 협의한다.
/연합뉴스
서울과 베이징의 초미세먼지 성분을 분석한 결과 자동차 배출가스 등 교통 부분과 석탄 발전이 초미세먼지 발생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부 소속 국립환경과학원은 한중 대기질 공동연구단이 2017년 이후 중국 베이징에서 진행한 초미세먼지 특성 연구 결과를 22일 공개했다.
두 도시의 초미세먼지 성분은 질산암모늄, 황산암모늄, 유기물질 등으로 비슷했는데 조성비를 보면 베이징은 질산암모늄이 22%, 황산암모늄 11%, 유기물질 44%, 지각물질 등 23%였다.
반면 서울은 질산암모늄이 25%, 황산암모늄 25%, 유기물질 28%, 지각물질 등 22%였다.
자동차 배출가스와 관련 있는 질산암모늄 비율은 두 도시가 비슷했고 석유·석탄 연소와 연관된 황산암모늄 비율은 베이징이 서울의 절반 절도였으나 유기물질 비율은 베이징이 서울의 1.5배였다.
질산암모늄은 2017년 기준으로 고농도 초미세먼지가 발생했을 때 베이징에서는 10% 이상 증가했고 서울에서는 22%가량 증가했는데 자동차 등 교통 부분의 발생량 증가 때문으로 분석됐다.
환경과학원은 중국 정부가 화석 연료 사용을 줄이는 에너지 구조조정 정책을 시행하면서 질소·황산암모늄 비율이 낮아지고 있지만 석탄 등 화석 연료 사용이 많은 겨울철에는 유기물질 조성비가 높게 나타나고 있다고 설명했다.
환경과학원은 향후 배출량 현지 조사, 배출항목(인벤토리) 구축 등 추가 연구를 통해 구체적인 연구 결과를 도출하기로 했다. 전권호 환경과학원 연구관은 "초미세먼지 성분은 전 세계 어느 곳이나 비슷하지만, 조성비는 생활 방식과 환경 등에 따라 다르다"며 "이번 연구는 초미세먼지의 월경 문제와 관련이 없고, 두 도시의 초미세먼지 발생 원인을 따져보고 정책을 수립하는 데 목적이 있다"고 말했다.
환경과학원은 공동연구단이 중국 주요 지역의 고농도 미세먼지 예·경보 자료를 실시간 분석해 환경부 등 관계기관에 전파함으로써 미세먼지 대응에 활용하고 있다며 한중 대기질 공동연구가 양국 간 최초의 연구 분야 협력사업이라고 설명했다.
베이징 외에 바오딩, 창다오, 다롄 등 북동부 도시 3곳의 초미세먼지 조성비를 분석한 결과도 내년에 나온다.
2015년 6월 현지 개소식을 한 공동연구단은 2018년 한·중 환경협력센터, 2019년 한중 환경부 장관의 '청천(靑天) 계획(미세먼지 저감 계획)' 서명 등으로 이어지며 양국 정책 협력을 위한 마중물 역할도 했다.
공동연구단은 올해 청천 계획에 따라 지상관측 분석 항목을 확대하고 입체관측을 추진하는 등 공동 연구를 확대하는 방안을 협의한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