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의 국립박물관에서도 다양한 문화행사가 펼쳐진다. 서울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에서는 한국의 전통장단과 외국 음악이 어우러지는 '설 놀이판 각자의 리듬: 유희스카'를 선보인다. 국립한글박물관에서는 음악공연 ‘음·소·음’(音·小·音, Sound little Sound)이 열린다. 국악기와 다양한 악기의 소리들을 활용한 창작음악을 공연하는 자리다.
국립전주박물관은 새해를 맞아 '제24회 설·대보름맞이 작은 문화축전'을 24일부터 2월 8일까지 연다. 설 연휴인 24~27일(설날 당일 휴관)에는 방문객 중 쥐띠 관람객과 한복을 입은 관람객 선착순 각 50명에게 선물을 준다. 기간 중 연하장 만들기, 놀이풍속 달력 만들기, 전통 미니스탠드 만들기 등의 다양한 만들기 체험도 진행한다. 수원문화재단은 26일 세시풍속-북새통 '설' 행사를 연다. 26일 낮 12시부터 오후 4시까지 진행되는 이번 행사는 세화 그리기, 복조리 만들기, 펭이·제기 만들기, 전통차 시음 등 다양한 체험행사를 선보인다. 설 연휴 기간인 1월 24일부터 27일까지 수원전통문화관 잔디마당에서는 대형 윷놀이, 연날리기 등 전통놀이가 열린다. 모든 체험은 당일 현장 접수할 수 있다.
대전 엑스포과학공원 한빛광장 일원에서는 ‘2020 엑스포과학공원 설날 큰잔치’ 행사가 25일부터 26일까지 이틀간 진행된다. 상설행사인 전통놀이 체험, 전통공예 체험을 비롯해 마술쇼, 버블쇼 등을 볼 수 있다. 전통놀이 체험으로 활쏘기, 투호, 대형 굴렁이, 굴렁쇠, 널뛰기 등 14가지 체험놀이 마당이 열리며, 유료로 활, 연, 전통 팽이, 장승, 탈 만들기 등을 체험할 수 있다. 또한 한복 착용 방문객은 한빛탑 무료입장(동반 1인 포함)이 가능하다.
충남 서산시는 25일 오후 1시부터 해미읍성에서 '설맞이 민속 한마당'을 운영한다. 전통문화 공연장에서는 뜬쇠예술단의 신명 나는 사물놀이 공연과 줄타기 공연 등을 볼 수 있다. 전통 복식과 사진을 찍을 수 있고 다듬이, 삼베 짜기, 장작패기 등 전통공예 시연도 펼쳐진다. 전통 먹거리 체험장에서는 떡메치기, 순두부 만들기, 가마솥 고구마 체험을 통해 직접 만든 음식을 시식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국민속촌은 24일부터 27일까지 세시풍속 행사를 선보인다. 집터에 머물러 있는 지신을 달래고 집으로 들어오는 액운과 잡귀를 물리치는 전통 의식인 지신밟기는 매일 오전 11시 40분에 시작된다. 또한 세화를 직접 만들어보는 ‘세화찍기’, 볏짚을 직접 꼬아 만든 복조리로 오복을 담아보는 ‘복담기’ 등을 체험할 수 있다. 재미로 한 해의 운세를 점쳐보는 ‘토정비결’, 윷을 던져 농사의 풍흉과 개인의 운수를 점쳐보던 ‘윷점보기’ 체험도 열린다. 연휴 기간 동안 한복을 입고 오는 고객을 대상으로 자유이용권을 최대 40% 할인해준다.
김해가야테마파크는 연휴기간 흰 쥐띠해 설맞이 특별 이벤트를 진행한다. 26~27일은 사물놀이, 사자탈춤, 버나놀음(막대기로 사발을 돌리는 묘기) 등을 볼 수 있다. 25~27일은 매직 벌룬쇼를 공연하며 투호, 제기차기, 딱지치기, 콩주머니 던지기 같은 민속놀이도 즐길 수 있다. 연휴 내내 방문객에게 복조리를 선물한다.
부산의 송도해상케이블카는 24~26일 3일간 ‘송카야, 설날도 부탁해’ 이벤트를 연다. 송도베이스테이션에서 케이블카를 타고 닿는 송도스카이파크에서는 ‘투호놀이’ 이벤트가 펼쳐진다. 통에 넣는 투호의 개수에 따라 선물을 받을 수 있다. 전통혼례복 착용을 체험하는 방문객 중 매일 선착순 100명에게는 폴라로이드 카메라 사진 촬영을 무료로 해준다. 민속놀이 한마당에서는 윷놀이와 링 던지기, 투호놀이, 제기차기 등을 즐길 수 있다.
김명상 기자 terr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