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중동평화구상에 유대인 정착촌 문제 들어갈 듯

팔레스타인자치정부(PA)는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조만간 발표할 중동평화구상에 대해 부정적 입장을 밝혔다.

마무드 아바스 팔레스타인자치정부 수반의 대변인 나빌 아부 루데이네는 23일(현지시간) 저녁 국제법을 위반하는 미국의 어떤 조치도 거부한다고 밝혔다고 팔레스타인 뉴스통신 와파(WAFA)가 전했다.

그는 미국의 중동평화구상과 관련 "이 거래가 거부됐던 공식에 따라 발표된다면 (팔레스타인) 지도부는 우리의 합법적 권리를 보호할 일련의 조치를 발표할 것"이라며 "우리는 이스라엘에 점령국으로서 모든 책임을 지라고 요구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스라엘이 1967년 제3차 중동전쟁 이후 지속한 팔레스타인에 대한 점령정책을 끝내고 팔레스타인은 동예루살렘을 수도로 하는 독립국을 세워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우리는 이스라엘과 미국 행정부가 한계선을 넘지 말 것을 경고한다"고 덧붙였다.

팔레스타인 "국제법 위반하는 미국의 어떤 조치도 거부"
미국 백악관은 이날 성명을 통해 이스라엘의 베냐민 네타냐후 총리와 중도 야당 청백당의 베니 간츠 대표가 28일 중동평화구상을 논의하려고 백악관을 방문한다고 발표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이들의 백악관 방문에 앞서 오랫동안 미뤄진 중동평화 구상을 발표한다는 방침이다.

미국의 중동평화구상에 담길 내용은 드러나지 않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의 행보로 볼 때 이스라엘에 일방적으로 유리한 정책이 들어갈 공산이 크다.

이스라엘 언론 하레츠는 23일 이스라엘 관리들을 인용해 미국의 중동평화구상이 요르단강 서안의 모든 유대인 정착촌에 대한 이스라엘 주권을 약속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이스라엘이 제3차 중동을 계기로 점령한 요르단강 서안은 팔레스타인이 제한적으로 자치권을 행사하는 지역이다.

이스라엘은 유엔 등 국제사회의 반대에도 이곳에 유대인 정착촌을 확대했다.

현재 요르단강 서안에는 팔레스타인인이 약 290만명이 살고 있으며 유대인 정착촌에는 이스라엘인 약 60만명이 거주한다.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은 작년 11월 요르단강 서안의 정착촌이 국제법에 어긋나는 것으로 더는 간주하지 않는다고 밝히면서 아랍권의 반발을 샀다.

당시 팔레스타인 측은 미국의 입장이 국제법에 어긋나고 미국에는 이스라엘 정착촌에 합법성을 부여할 권리가 없다고 비판했다.

팔레스타인 "국제법 위반하는 미국의 어떤 조치도 거부"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