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이스라엘 정착촌 인정·팔레스타인엔 제한된 국가' 평화안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서안 정착촌 주권 인정하되 4년간 건설 동결…팔레스타인은 동예루살렘에 국가
트럼프 "현실적 2국가 해법, 양측에 윈윈"…외신 "이스라엘에 치우친 평화구상"
팔레스타인 "예루살렘 흥정의 대상 아냐…쓰레기통에 보낼 것" 거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28일(현지시간) 요르단강 서안의 이스라엘 정착촌에 대한 이스라엘 주권을 인정하는 대신 새로운 정착촌 건설을 일정 기간 동결하고 팔레스타인은 동예루살렘에 국가를 건설하는 내용의 중동평화구상을 발표했다.
이 구상은 팔레스타인 자치지역 내의 '정착촌 인정'을 추구해온 이스라엘과 '완전한 국가 건설'을 목표로 해온 팔레스타인의 주장을 일정 부분 수용한 모양새를 취했다.
그러나 외신들은 이 방안이 실질적으로 이스라엘 요구를 대부분 들어줬다며 이스라엘 쪽에 치우쳤다는 평가를 내놓았다.
AP와 로이터통신 등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에서 이러한 내용의 중동평화구상을 발표했다.
이 자리에는 방미 중인 베냐민 네타냐후 총리가 참석했다.
이 구상은 팔레스타인 자치령인 요르단강 서안 지구(웨스트 뱅크)에서 이스라엘 정착촌에 대한 이스라엘의 주권을 인정하는 내용을 담았다.
팔레스타인 측에는 정착촌을 받아들이는 대신 동예루살렘 일부 지역에서 수도를 포함한 국가를 건설하는 내용이 포함됐다.
또 이스라엘이 팔레스타인 자치정부와의 협상이 이뤄지는 동안 향후 4년간 요르단강 서안에 새로운 정착촌을 건설하지 않도록 했다.
팔레스타인은 요르단강 서안을 미래 독립국가의 중심지로, 동예루살렘을 국가의 수도로 보고 있다고 AP는 설명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한 팔레스타인 독립국가를 설립하고 대사관을 개설하는 데 500억 달러의 국제 금융을 제공하기로 약속했다고 뉴욕타임스(NYT)는 전했다.
다만 그러면서도 그는 "예루살렘은 이스라엘의 완전한(undivided), 매우 중요한 수도로 남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미 고위 관리는 팔레스타인 영토가 지금의 두 배로 늘어나며 팔레스타인 국가는 요르단강 서안과 가자 지구로 이뤄지고 이 지역은 도로와 교량, 터널로 연결될 것이라고 말했다고 로이터는 전했다.
백악관은 양측에 대해 제안한 국경이 그려진 지도도 공개했다.
NYT는 이 구상은 트럼프의 사위인 재러드 쿠슈너 백악관 선임보좌관이 거의 3년간 만들고 감독한 것이라고 전했다.
이는 미국이 작년 발표한 요르단강 서안과 가자지구 경제지원 방안도 토대로 한다고 AP는 설명했다.
그러나 팔레스타인은 이를 거부했었다.
트럼프 대통령은 평화구상에 대해 "현실적인 2국가 해법을 제안하고 있다"며 이전의 미 정부가 제시한 것과는 근본적으로 다르다면서 양측 모두에 유익한 "윈-윈"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구상이 담긴 서한을 마무드 아바스 팔레스타인자치정부 수반에게 보냈다고 말했다.
그러나 발표 현장에 팔레스타인 측은 참석하지 않았다. AP는 이 발표가 이스라엘을 기쁘게 해줬지만 팔레스타인은 격분시켰다며 "세부사항이 드러나면서 평화구상은 네타냐후의 강경 민족주의 비전에 편중돼 있고 팔레스타인의 핵심 요구를 무시한다는 것이 명백해졌다"고 전했다.
이스라엘은 전략적 요충지인 요르단 계곡과 정착촌에 대한 주권을 유지하지만, 팔레스타인 국가는 이스라엘의 감시를 받는 국경과 십여 곳의 이스라엘인 거주지를 포함하며 팔레스타인에 제공될 동예루살렘 지역은 콘크리트 장벽으로 분리된 가난한 곳이라고 AP는 설명했다.
NYT도 "이스라엘을 강력히 지지하는 중동평화구상"이라며 이스라엘에는 수십년간 갈등 속에 추구한 대부분을 주는 반면 팔레스타인은 제한된 주권을 지닌 국가로 부르는 방안을 제시했다고 전했다.
요르단강 서안은 이스라엘이 1967년 제3차 중동전쟁에서 승리한 뒤 강제로 점령한 지역이지만 유엔 등 국제사회는 이를 인정하지 않고 있다.
유엔은 성명을 내고 양측이 1967년 이전 경계선에 기초해 인정된 국경선 내에서 평화롭고 안전하게 사는 '2국가 비전'의 실현을 위해 계속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는 미국의 이스라엘 정착촌 주권 인정을우회 비판한 것으로 풀이된다.
예루살렘은 유대교뿐 아니라 기독교, 이슬람교의 성지이기도 하다.
동예루살렘은 이스라엘이 제3차 중동전쟁 이후 점령했으며 구시가지에는 사우디아라비아의 메카, 메디나와 더불어 이슬람 3대 성지인 알아크사 모스크(이슬람사원)가 있다.
외신에 따르면 예루살렘은 이스라엘 수도로서 계속 유지하는 대신 팔레스타인은 알아크사 모스크를 포함한 동예루살렘 지역을 수도로 하게 된다.
이스라엘은 예루살렘 성지에 유대인과 기독교, 이슬람 신도 등 모든 종교인의 참배의 자유를 보장하기로 했다.
이스라엘은 이슬람 신도가 알아크사 사원에 접근할 수 있도록 조치할 것이며 성지에 관한 요르단의 역할을 존중할 것이라고 미 행정부 관리들이 말했다고 로이터는 전했다.
그러나 팔레스타인 측은 당장 강력히 반발했다.
미국 발표 이후 팔레스타인 가자지구의 무장정파 하마스 측은 중동평화구상을 거부했다고 로이터, AP통신 등 외신이 보도했다.
마무드 아바스 팔레스타인자치정부 수반은 이날 "예루살렘은 흥정의 대상이 아니다"라며 "팔레스타인 민족은 미국의 구상을 역사의 쓰레기통으로 보낼 것"이라고 밝혔다. /연합뉴스
트럼프 "현실적 2국가 해법, 양측에 윈윈"…외신 "이스라엘에 치우친 평화구상"
팔레스타인 "예루살렘 흥정의 대상 아냐…쓰레기통에 보낼 것" 거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28일(현지시간) 요르단강 서안의 이스라엘 정착촌에 대한 이스라엘 주권을 인정하는 대신 새로운 정착촌 건설을 일정 기간 동결하고 팔레스타인은 동예루살렘에 국가를 건설하는 내용의 중동평화구상을 발표했다.
이 구상은 팔레스타인 자치지역 내의 '정착촌 인정'을 추구해온 이스라엘과 '완전한 국가 건설'을 목표로 해온 팔레스타인의 주장을 일정 부분 수용한 모양새를 취했다.
그러나 외신들은 이 방안이 실질적으로 이스라엘 요구를 대부분 들어줬다며 이스라엘 쪽에 치우쳤다는 평가를 내놓았다.
AP와 로이터통신 등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에서 이러한 내용의 중동평화구상을 발표했다.
이 자리에는 방미 중인 베냐민 네타냐후 총리가 참석했다.
이 구상은 팔레스타인 자치령인 요르단강 서안 지구(웨스트 뱅크)에서 이스라엘 정착촌에 대한 이스라엘의 주권을 인정하는 내용을 담았다.
팔레스타인 측에는 정착촌을 받아들이는 대신 동예루살렘 일부 지역에서 수도를 포함한 국가를 건설하는 내용이 포함됐다.
또 이스라엘이 팔레스타인 자치정부와의 협상이 이뤄지는 동안 향후 4년간 요르단강 서안에 새로운 정착촌을 건설하지 않도록 했다.
팔레스타인은 요르단강 서안을 미래 독립국가의 중심지로, 동예루살렘을 국가의 수도로 보고 있다고 AP는 설명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한 팔레스타인 독립국가를 설립하고 대사관을 개설하는 데 500억 달러의 국제 금융을 제공하기로 약속했다고 뉴욕타임스(NYT)는 전했다.
다만 그러면서도 그는 "예루살렘은 이스라엘의 완전한(undivided), 매우 중요한 수도로 남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미 고위 관리는 팔레스타인 영토가 지금의 두 배로 늘어나며 팔레스타인 국가는 요르단강 서안과 가자 지구로 이뤄지고 이 지역은 도로와 교량, 터널로 연결될 것이라고 말했다고 로이터는 전했다.
백악관은 양측에 대해 제안한 국경이 그려진 지도도 공개했다.
NYT는 이 구상은 트럼프의 사위인 재러드 쿠슈너 백악관 선임보좌관이 거의 3년간 만들고 감독한 것이라고 전했다.
이는 미국이 작년 발표한 요르단강 서안과 가자지구 경제지원 방안도 토대로 한다고 AP는 설명했다.
그러나 팔레스타인은 이를 거부했었다.
트럼프 대통령은 평화구상에 대해 "현실적인 2국가 해법을 제안하고 있다"며 이전의 미 정부가 제시한 것과는 근본적으로 다르다면서 양측 모두에 유익한 "윈-윈"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구상이 담긴 서한을 마무드 아바스 팔레스타인자치정부 수반에게 보냈다고 말했다.
그러나 발표 현장에 팔레스타인 측은 참석하지 않았다. AP는 이 발표가 이스라엘을 기쁘게 해줬지만 팔레스타인은 격분시켰다며 "세부사항이 드러나면서 평화구상은 네타냐후의 강경 민족주의 비전에 편중돼 있고 팔레스타인의 핵심 요구를 무시한다는 것이 명백해졌다"고 전했다.
이스라엘은 전략적 요충지인 요르단 계곡과 정착촌에 대한 주권을 유지하지만, 팔레스타인 국가는 이스라엘의 감시를 받는 국경과 십여 곳의 이스라엘인 거주지를 포함하며 팔레스타인에 제공될 동예루살렘 지역은 콘크리트 장벽으로 분리된 가난한 곳이라고 AP는 설명했다.
NYT도 "이스라엘을 강력히 지지하는 중동평화구상"이라며 이스라엘에는 수십년간 갈등 속에 추구한 대부분을 주는 반면 팔레스타인은 제한된 주권을 지닌 국가로 부르는 방안을 제시했다고 전했다.
요르단강 서안은 이스라엘이 1967년 제3차 중동전쟁에서 승리한 뒤 강제로 점령한 지역이지만 유엔 등 국제사회는 이를 인정하지 않고 있다.
유엔은 성명을 내고 양측이 1967년 이전 경계선에 기초해 인정된 국경선 내에서 평화롭고 안전하게 사는 '2국가 비전'의 실현을 위해 계속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는 미국의 이스라엘 정착촌 주권 인정을우회 비판한 것으로 풀이된다.
예루살렘은 유대교뿐 아니라 기독교, 이슬람교의 성지이기도 하다.
동예루살렘은 이스라엘이 제3차 중동전쟁 이후 점령했으며 구시가지에는 사우디아라비아의 메카, 메디나와 더불어 이슬람 3대 성지인 알아크사 모스크(이슬람사원)가 있다.
외신에 따르면 예루살렘은 이스라엘 수도로서 계속 유지하는 대신 팔레스타인은 알아크사 모스크를 포함한 동예루살렘 지역을 수도로 하게 된다.
이스라엘은 예루살렘 성지에 유대인과 기독교, 이슬람 신도 등 모든 종교인의 참배의 자유를 보장하기로 했다.
이스라엘은 이슬람 신도가 알아크사 사원에 접근할 수 있도록 조치할 것이며 성지에 관한 요르단의 역할을 존중할 것이라고 미 행정부 관리들이 말했다고 로이터는 전했다.
그러나 팔레스타인 측은 당장 강력히 반발했다.
미국 발표 이후 팔레스타인 가자지구의 무장정파 하마스 측은 중동평화구상을 거부했다고 로이터, AP통신 등 외신이 보도했다.
마무드 아바스 팔레스타인자치정부 수반은 이날 "예루살렘은 흥정의 대상이 아니다"라며 "팔레스타인 민족은 미국의 구상을 역사의 쓰레기통으로 보낼 것"이라고 밝혔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