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상조의 '금융그룹감독 법제화' 힘싣기?
29일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열린 ‘금융그룹감독 세미나’. 시범 도입 2년을 넘긴 금융그룹감독 제도의 운영 현황과 개선점을 논의하는 행사였다. 이 제도는 금융지주는 아니지만 금융 계열사를 두 개 이상 운영하는 대기업을 따로 관리·감독하는 것이다.

이날 눈길을 끈 참석자는 김상조 청와대 정책실장(오른쪽)이었다. 민병두 국회 정무위원장과 은성수 금융위원장은 축사를 마치고 다음 일정을 이유로 자리를 떴다. 반면 김 실장은 축사 없이 70분 동안 자료를 꼼꼼히 읽으며 발표를 끝까지 듣고 떠났다. 금융권에서는 “국회에 막혀 있는 금융그룹감독 법제화에 대한 정부의 강력한 의지를 보여준 것”이란 해석이 나왔다.

ADVERTISEMENT

금융그룹감독은 문재인 정부의 국정과제 중 하나다. 비금융 계열사의 위험이 금융 계열사로 옮는 것을 막겠다는 ‘재벌개혁’ 성격이 강하다. 국회에서 법 통과가 지연되자 2018년 7월 모범규준 형태로 도입됐다. 감독 대상은 삼성, 한화, 미래에셋, 교보, 현대차, DB 여섯 곳. 삼성은 생명·화재가 보유한 전자 지분이 영향을 받을 것이란 전망도 있다.

은 위원장은 “이 제도가 개별 업권 규제와 중복되지 않도록 평가 방안을 정교화하겠다”면서도 “재무적 위험뿐 아니라 지배구조와 같은 비재무적 위험도 세밀하게 살펴보겠다”고 했다. 금융위와 금융감독원은 이날 세미나 내용을 토대로 1분기 중 금융그룹감독 개선 방안을 마련한다. 법제화 전까진 모범규준을 계속 연장할 계획이다.

박창균 자본시장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금산결합 그룹 비중이 해외에 비해 매우 높은 한국의 특수성을 반영해 감독기준을 구축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임현우 기자 tardi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