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국 탈당한 안철수…신당 창당 '마이웨이'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安 "재창당 불가능하다 결론"
창당·총선 '가시밭길'
창당·총선 '가시밭길'
바른미래당 ‘창업주’인 안철수 전 국민의당 대표(사진)가 29일 탈당을 선언했다. 창당 1년11개월 만이다. 중도 실용 정당을 표방하는 독자적인 신당을 만들 것으로 전망된다. 안철수계 바른미래당 의원 대부분이 비례대표인 데다 총선까지 남은 기간이 별로 없어 창당 후 안 전 대표가 맞닥뜨릴 상황이 녹록지 않을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安 “당 재건 꿈 접어”
안 전 대표는 이날 기자회견을 열고 “오늘 비통한 마음으로 바른미래당을 떠난다”며 “어제 손학규 바른미래당 대표의 발언을 보며 당 재건의 꿈을 접었다”고 탈당을 선언했다. 전날 손 대표가 안 전 대표가 요구한 비상대책위원회 체제 전환을 거부하자 당 재건 대신 결국 탈당을 택한 것이다. 안 전 대표는 “바른미래당을 ‘재창당’하고자 했지만 불가능하다는 결론을 내렸다”고 덧붙였다.
안 전 대표는 중도 실용 성격의 신당을 창당해 총선에서 ‘제3세력’ 규합을 꾀할 것으로 전망된다. 그는 “기성 정당의 틀과 관성으로는 내일은 없다”며 “실용적 중도 정당이 만들어지고 합리적 개혁을 추구한다면 불공정과 기득권을 혁파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전에도 안 전 대표는 정치적 승부수를 띄울 때마다 신당 창당을 선언했다. 2014년 새정치연합 창당을 준비하면서 민주당과 합당해 새정치민주연합을 만들었다. 2016년엔 국민의당을 창당했고, 2018년엔 바른정당과 합당해 바른미래당 공동대표가 됐다.
이에 따라 국민의당과 바른정당 합당으로 창당된 지 1년11개월 만에 바른미래당 창업주들은 모두 당을 떠나게 됐다. 앞서 유승민 의원도 새로운보수당을 만들며 분당의 길을 택했다. 유 의원은 “바른미래당 사정을 생각하면 안타깝지만 안 전 대표가 결심했으니 정치 발전을 위해 잘해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창당 후 ‘첩첩산중’
‘안철수 신당’에 참여할 의원들의 규모는 아직 미지수다. 안철수계로 분류되는 의원 일곱 명 중 권은희 의원을 제외한 여섯 명이 모두 비례대표이기 때문이다. 비례대표 의원은 본인 의사로 탈당하면 의원직을 잃는다. 다만 당에서 제명 조치를 당하면 의원직을 유지할 수 있다. 한 안철수계 비례대표 의원은 “우선 출당 방식으로 나갈 수 있는 방법을 고심해볼 것”이라고 말했다.
손 대표 측이 이들의 출당을 막을 가능성이 높다. 손 대표는 이날 입장문을 내고 안 전 대표를 겨냥해 “자신의 요구사항만 얘기하고 받아들여지지 않으면 당을 나가겠다는 태도는 바람직하지 않다”고 일갈했다. 만약 신당의 현역 의원이 권 의원 한 명뿐이라면 총선에서 기호 10번을 받아 선거를 치르기 불리하다. 이날 권 의원은 자신의 거취에 대해 “제3지대를 어떻게 다시 일으켜 세울 수 있을지 고민하고 결정하겠다”고 밝혔다.
안철수계 의원들은 바른미래당 당권파 의원(9명)을 상대로 신당 합류를 설득하겠다는 계획이다. 하지만 당권파 의원들도 손 대표의 2선 퇴진 뒤 비대위를 꾸리는 방식의 당 재건을 계획하고 있어 녹록지 않을 전망이다.
총선까지 신당 체계와 재정을 갖추고 세력을 모으는 데 시간이 빠듯하다는 문제도 지적된다. 연동형 비례대표제 도입으로 인한 신당 난립과 야권 정계개편 움직임도 변수로 언급된다. 안철수계인 이태규 의원은 “안 전 대표가 (합류할 의원이) ‘한 분이라도 좋고, 열 분이라도 좋으니 어쨌든 내가 갈 길을 가겠다’고 했다”고 전했다.
통합 논의 참여 관측도
일각에서는 안 전 대표가 창당 후 보수통합 신당에 참여하거나 선거연대에 나설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안 전 대표 지지도가 높지 않은 상황에서 결국 제3 세력으로 총선에 나서기보다는 ‘반문(반문재인)연대’라는 기치 아래 설 수밖에 없을 것이란 관측이다. 황교안 자유한국당 대표는 이날 “문재인 정권과 싸우기 위해선 자유우파의 대통합이 필요하다”며 “헌법질서와 시장경제를 존중하는 가치가 같다면 뜻을 모으는 게 필요한 때”라고 말했다. 옛 안철수계로 분류돼 온 김영환·문병호 전 의원은 이날 “다른 길이 없다”며 보수 통합을 추진하는 혁신통합추진위원회(혁통위)에 참여하기로 했다. 김 전 의원은 “안 전 대표까지 참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조건을 만들겠다”고 언급했다.
안 전 대표 측은 통합 논의 참여에 선을 긋고 있다. 안 전 대표 측근인 김도식 전 비서실장은 이에 입장문을 내고 “개개인의 정치적 소신에 따른 것”이라며 “안 전 의원의 정치적 입장과는 무관하다”고 강조했다.
고은이 기자 koko@hankyung.com
安 “당 재건 꿈 접어”
안 전 대표는 이날 기자회견을 열고 “오늘 비통한 마음으로 바른미래당을 떠난다”며 “어제 손학규 바른미래당 대표의 발언을 보며 당 재건의 꿈을 접었다”고 탈당을 선언했다. 전날 손 대표가 안 전 대표가 요구한 비상대책위원회 체제 전환을 거부하자 당 재건 대신 결국 탈당을 택한 것이다. 안 전 대표는 “바른미래당을 ‘재창당’하고자 했지만 불가능하다는 결론을 내렸다”고 덧붙였다.
안 전 대표는 중도 실용 성격의 신당을 창당해 총선에서 ‘제3세력’ 규합을 꾀할 것으로 전망된다. 그는 “기성 정당의 틀과 관성으로는 내일은 없다”며 “실용적 중도 정당이 만들어지고 합리적 개혁을 추구한다면 불공정과 기득권을 혁파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전에도 안 전 대표는 정치적 승부수를 띄울 때마다 신당 창당을 선언했다. 2014년 새정치연합 창당을 준비하면서 민주당과 합당해 새정치민주연합을 만들었다. 2016년엔 국민의당을 창당했고, 2018년엔 바른정당과 합당해 바른미래당 공동대표가 됐다.
이에 따라 국민의당과 바른정당 합당으로 창당된 지 1년11개월 만에 바른미래당 창업주들은 모두 당을 떠나게 됐다. 앞서 유승민 의원도 새로운보수당을 만들며 분당의 길을 택했다. 유 의원은 “바른미래당 사정을 생각하면 안타깝지만 안 전 대표가 결심했으니 정치 발전을 위해 잘해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창당 후 ‘첩첩산중’
‘안철수 신당’에 참여할 의원들의 규모는 아직 미지수다. 안철수계로 분류되는 의원 일곱 명 중 권은희 의원을 제외한 여섯 명이 모두 비례대표이기 때문이다. 비례대표 의원은 본인 의사로 탈당하면 의원직을 잃는다. 다만 당에서 제명 조치를 당하면 의원직을 유지할 수 있다. 한 안철수계 비례대표 의원은 “우선 출당 방식으로 나갈 수 있는 방법을 고심해볼 것”이라고 말했다.
손 대표 측이 이들의 출당을 막을 가능성이 높다. 손 대표는 이날 입장문을 내고 안 전 대표를 겨냥해 “자신의 요구사항만 얘기하고 받아들여지지 않으면 당을 나가겠다는 태도는 바람직하지 않다”고 일갈했다. 만약 신당의 현역 의원이 권 의원 한 명뿐이라면 총선에서 기호 10번을 받아 선거를 치르기 불리하다. 이날 권 의원은 자신의 거취에 대해 “제3지대를 어떻게 다시 일으켜 세울 수 있을지 고민하고 결정하겠다”고 밝혔다.
안철수계 의원들은 바른미래당 당권파 의원(9명)을 상대로 신당 합류를 설득하겠다는 계획이다. 하지만 당권파 의원들도 손 대표의 2선 퇴진 뒤 비대위를 꾸리는 방식의 당 재건을 계획하고 있어 녹록지 않을 전망이다.
총선까지 신당 체계와 재정을 갖추고 세력을 모으는 데 시간이 빠듯하다는 문제도 지적된다. 연동형 비례대표제 도입으로 인한 신당 난립과 야권 정계개편 움직임도 변수로 언급된다. 안철수계인 이태규 의원은 “안 전 대표가 (합류할 의원이) ‘한 분이라도 좋고, 열 분이라도 좋으니 어쨌든 내가 갈 길을 가겠다’고 했다”고 전했다.
통합 논의 참여 관측도
일각에서는 안 전 대표가 창당 후 보수통합 신당에 참여하거나 선거연대에 나설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안 전 대표 지지도가 높지 않은 상황에서 결국 제3 세력으로 총선에 나서기보다는 ‘반문(반문재인)연대’라는 기치 아래 설 수밖에 없을 것이란 관측이다. 황교안 자유한국당 대표는 이날 “문재인 정권과 싸우기 위해선 자유우파의 대통합이 필요하다”며 “헌법질서와 시장경제를 존중하는 가치가 같다면 뜻을 모으는 게 필요한 때”라고 말했다. 옛 안철수계로 분류돼 온 김영환·문병호 전 의원은 이날 “다른 길이 없다”며 보수 통합을 추진하는 혁신통합추진위원회(혁통위)에 참여하기로 했다. 김 전 의원은 “안 전 대표까지 참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조건을 만들겠다”고 언급했다.
안 전 대표 측은 통합 논의 참여에 선을 긋고 있다. 안 전 대표 측근인 김도식 전 비서실장은 이에 입장문을 내고 “개개인의 정치적 소신에 따른 것”이라며 “안 전 의원의 정치적 입장과는 무관하다”고 강조했다.
고은이 기자 kok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