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中 무역협상 타결 등으로 불확실성 해소…美 주식·펀드 가장 유망"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국내銀 PB전문가 50명 설문
달러·외화 관련 상품
선진국 배당형 펀드도 추천
달러·외화 관련 상품
선진국 배당형 펀드도 추천
올해 글로벌 금융시장은 지난해보다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미국과 중국의 무역갈등이 극적 타결되며 지난해보다 세계 경제가 나아질 것이라는 기대에서다. 국내 7개 은행의 프라이빗뱅커(PB) 전문가들은 유망한 금융상품으로 미국 주식이나 달러 및 외화 관련 상품을 많이 꼽았다.
○미·중 무역협상 타결 등 호재
전문가들은 미·중 무역갈등 협상이 타결되는 등 대외 불확실성이 상당 부분 해소됐다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지난 15일 미·중 무역협상 1단계 합의로 미국은 중국에 대한 추가 관세 부과 방침을 취소하고, 1200억달러 규모의 중국산 제품에 적용하던 15% 관세를 7.5%로 인하하기로 했다. 데이비드 만 스탠다드차타드(SC)은행 글로벌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대선을 앞둔 상황에서 공화·민주 양당 모두 중국에 강경한 발언을 쏟아내겠지만 미·중 무역분쟁을 악화시킬 만한 행동에 나서지는 않을 것”이라며 “중국의 성장률이 둔화되기는 했지만 올해 연 5.5% 수준으로 예측되는 성장률은 경제 규모를 감안하면 여전히 높다”고 분석했다.
상당수의 PB전문가들도 글로벌 금융상품 투자를 추천했다. 신한·국민·KEB하나·우리·농협·SC제일·한국씨티 등 국내 7개 은행의 PB 전문가 총 50명에게 설문조사한 결과 미국 주식 및 주식형 펀드를 추천한 사람의 비중이 36%로 가장 높았다. 달러 및 외화 관련 상품을 추천한 의견도 28%였다. 미국과 유럽 등 선진국의 인컴형(배당형) 펀드를 주목해볼 만하다는 조언도 나왔다. 큰 글로벌 시장 변동성이 없을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에서 주가 등락과 관계없이 정해진 배당을 꾸준히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글로벌 저금리 기조 유지
글로벌 금융시장에서 저금리 기조는 유지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미국 중앙은행(Fed)은 지난 30일(현지시간) 연 1.50~1.75%인 기준금리를 동결했다. 제롬 파월 의장이 작년 말 예고한대로 금리를 당분간 현 수준에서 유지하기로 한 것이다. Fed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확산으로 글로벌 경기 둔화 가능성 등이 제기되고 있는 가운데 글로벌 경기 변화를 주의깊게 지켜보겠다고 밝혔다.
마이클 와일드스타인 맥쿼리인베스트먼트매니지먼트 투자등급회사채 헤드는 “글로벌 경기반등이 예상되지만 금리정책 기조가 인상 쪽으로 확 바뀌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미국 달러화의 강세 여부에 대해서는 전문가들 사이에서 의견이 엇갈렸다. LG경제연구원은 지난해 발표한 경제전망보고서에서 올해 달러 강세 흐름이 이어질 것으로 분석했다. 한국의 대외의존도가 높아서 ‘1달러=1200원’이 고착화할 가능성도 크다고 봤다. 반면 대니 듀파스키에 스탠다드차타드(SC)은행 투자상품 총괄대표는 “올해는 미국 달러 약세가 지속될 것으로 본다”며 “달러화가 약세를 보이면 신흥 시장이 반사 효과를 볼 수 있는 만큼 신흥국 채권이 혜택을 볼 것”이라고 말했다.
송영찬 기자 0full@hankyung.com
전문가들은 미·중 무역갈등 협상이 타결되는 등 대외 불확실성이 상당 부분 해소됐다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지난 15일 미·중 무역협상 1단계 합의로 미국은 중국에 대한 추가 관세 부과 방침을 취소하고, 1200억달러 규모의 중국산 제품에 적용하던 15% 관세를 7.5%로 인하하기로 했다. 데이비드 만 스탠다드차타드(SC)은행 글로벌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대선을 앞둔 상황에서 공화·민주 양당 모두 중국에 강경한 발언을 쏟아내겠지만 미·중 무역분쟁을 악화시킬 만한 행동에 나서지는 않을 것”이라며 “중국의 성장률이 둔화되기는 했지만 올해 연 5.5% 수준으로 예측되는 성장률은 경제 규모를 감안하면 여전히 높다”고 분석했다.
상당수의 PB전문가들도 글로벌 금융상품 투자를 추천했다. 신한·국민·KEB하나·우리·농협·SC제일·한국씨티 등 국내 7개 은행의 PB 전문가 총 50명에게 설문조사한 결과 미국 주식 및 주식형 펀드를 추천한 사람의 비중이 36%로 가장 높았다. 달러 및 외화 관련 상품을 추천한 의견도 28%였다. 미국과 유럽 등 선진국의 인컴형(배당형) 펀드를 주목해볼 만하다는 조언도 나왔다. 큰 글로벌 시장 변동성이 없을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에서 주가 등락과 관계없이 정해진 배당을 꾸준히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글로벌 저금리 기조 유지
글로벌 금융시장에서 저금리 기조는 유지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미국 중앙은행(Fed)은 지난 30일(현지시간) 연 1.50~1.75%인 기준금리를 동결했다. 제롬 파월 의장이 작년 말 예고한대로 금리를 당분간 현 수준에서 유지하기로 한 것이다. Fed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확산으로 글로벌 경기 둔화 가능성 등이 제기되고 있는 가운데 글로벌 경기 변화를 주의깊게 지켜보겠다고 밝혔다.
마이클 와일드스타인 맥쿼리인베스트먼트매니지먼트 투자등급회사채 헤드는 “글로벌 경기반등이 예상되지만 금리정책 기조가 인상 쪽으로 확 바뀌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미국 달러화의 강세 여부에 대해서는 전문가들 사이에서 의견이 엇갈렸다. LG경제연구원은 지난해 발표한 경제전망보고서에서 올해 달러 강세 흐름이 이어질 것으로 분석했다. 한국의 대외의존도가 높아서 ‘1달러=1200원’이 고착화할 가능성도 크다고 봤다. 반면 대니 듀파스키에 스탠다드차타드(SC)은행 투자상품 총괄대표는 “올해는 미국 달러 약세가 지속될 것으로 본다”며 “달러화가 약세를 보이면 신흥 시장이 반사 효과를 볼 수 있는 만큼 신흥국 채권이 혜택을 볼 것”이라고 말했다.
송영찬 기자 0ful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