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 영업익 30%↓…"신종코로나로 中수요 단기 위축 불가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어려운 여건·원료가격 상승 속 '선방"…주당 배당금 1만원 유지
포스코는 지난해 연결 기준 영업이익이 3조8천689억원으로 전년 대비 30.2% 감소했다고 31일 공시했다.
매출액은 0.9% 줄어든 64조3천668억원, 당기순이익은 4.8% 증가한 1조9천826억원으로 각각 집계됐다.
포스코는 글로벌 경기 둔화와 수요산업 침체, 보호무역주의 강화 등 어려운 판매 여건과 철광석·석탄 등 원료가 상승으로 수익성이 악화하는 환경에서도 전년보다 40만t 늘어난 3천599만t을 판매했다고 밝혔다.
특히 고부가가치 제품인 월드톱프리미엄(WTP) 제품 판매량은 사상 처음으로 1천만t을 돌파했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은 미얀마 가스전 생산·판매 호조로 최대 영업이익을 달성했고 포스코에너지는 천연액화가스(LNG) 직도입, 연료전지 구조개편으로 영업이익을 회복하는 등 그룹사 실적도 개선됐다.
별도 기준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각각 0.9%, 32.1% 감소한 30조3천735억원, 2조5천864억원을 기록했다.
당기순이익은 1조1천757억원으로 9.6% 증가했다.
포스코는 시황 악화에도 재무건전성은 강화됐다고 설명했다.
연결 기준 부채비율은 전년보다 1.9%포인트 감소한 65.4%로 2010년 이래 최저 수준을 기록했다.
순차입금은 7조9천782억원으로 1조5천534억원이 줄었고, 자금시재는 지난해보다 1조7천857억원 증가한 12조4천634억원을 기록하며 유동적 대응을 강화했다.
포스코 관계자는 "국내외 시황의 등락이 있으나 고부가가치 강종 개발과 판매, 효율적인 생산구조를 통한 원가경쟁력 우위, 지속적 설비투자를 통한 생산경쟁력 유지, 다양한 고객 및 제품군 확보에 따른 높은 시장변화 대응성을 바탕으로 글로벌 경쟁사 대비 높은 수익성을 유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포스코는 이날 이사회에서 전년 대비 실적은 하락했지만, 견조한 연결 순이익을 보임에 따라 2018년에 이어 2019년에도 주당 배당금을 1만원으로 의결하며 주주환원 강화 기조를 유지하기로 했다.
향후 3년간 배당성향에 대해 30% 수준을 목표로 제시했다.
포스코는 2004년부터 안정배당 정책 시행으로 주당 8천∼1만원 수준의 배당을 유지하고 있으며 2016년 2분기부터는 장기투자자 주주가치 제고를 위해 분기배당제를 시행 중이다.
포스코는 올해는 국내 유통가격과 중국, 미국 등 글로벌 철강 가격이 모두 회복세를 보이며 최근의 반등 추세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미중 무역협상 1단계 합의안 서명이 완료되며 대외적 불안 요인이 일부 해소된 것도 시황 회복에 긍정적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했다.
이에 따라 안정적인 영업이익을 확보하고 미래시장을 선도할 수 있는 제품을 WTP 제품으로 선정해 판매를 늘리는 동시에 지역·산업별 적정 가격정책을 통해 수익성을 확보하겠다는 계획을 내놓았다.
다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신종코로나)의 확산으로 인해 단기적으로 중국 수요 위축이 불가피하다고 봤다.
포스코 관계자는 컨퍼런스콜에서 "중국이 (춘제) 휴무를 2월 9일로 열흘 정도 연기하면서 단기적으로는 수요 위축이 예상된다"며 "제품 출하에 이상이 없는데 자동차 등 수요산업의 추가 가동 중지로 수요 위축이 불가피하다"고 예상했다. 다만 "경기가 둔화되면 시장 안정화, 수요 회복을 위해서 중국 정부 차원에서 경기부양책 등 대책 발표 있을 거로 보이고 휴무 이후 자동차 등 생산계획이 수립되면 장기적으로는 반등할 수 있어서 크게 걱정은 안 한다"고 덧붙였다.
미래 신(新) 모빌리티 전환 등 변환하는 수요 산업에 대응하기 위해 친환경차를 대상으로 통합 마케팅 체제를 구축하고 친환경·프리미엄 강건재 제품은 기존 시장과 차별화해 판매 기반을 확충한다.
생산 현장에서는 생산성·품질·원가경쟁력 개선을 위해 인공지능(AI) 기반의 스마트공장을 확산하고 본사·해외법인의 품질 보증 체계를 혁신한다.
미래 신사업은 이차전지 소재인 양·음극재 생산능력을 늘리고 마케팅 역량을 제고하면서 차세대 제품 연구개발(R&D)을 강화한다.
또 이미 확보한 호주 리튬 광산과 아르헨티나 염호 자원을 활용해 전기차 배터리의 핵심 소재인 리튬을 상업생산할 수 있도록 데모플랜트의 성공적 목표 달성과 상용설비 투자를 차질없이 진행할 계획이다.
올해 연결기준 매출액 목표는 63조8천억원을 제시했다.
조강생산과 제품판매 목표는 각각 3천670만t, 3천500만t이다.
철강 부문의 경쟁력 강화와 신성장 부문 육성을 위해 투자비는 6조원을 집행할 계획이다.
환경, 안전, 설비에 우선 투자하고 생산 비관련 투자는 철저한 검증을 거쳐 선별적으로 시행한다.
/연합뉴스
포스코는 지난해 연결 기준 영업이익이 3조8천689억원으로 전년 대비 30.2% 감소했다고 31일 공시했다.
매출액은 0.9% 줄어든 64조3천668억원, 당기순이익은 4.8% 증가한 1조9천826억원으로 각각 집계됐다.
포스코는 글로벌 경기 둔화와 수요산업 침체, 보호무역주의 강화 등 어려운 판매 여건과 철광석·석탄 등 원료가 상승으로 수익성이 악화하는 환경에서도 전년보다 40만t 늘어난 3천599만t을 판매했다고 밝혔다.
특히 고부가가치 제품인 월드톱프리미엄(WTP) 제품 판매량은 사상 처음으로 1천만t을 돌파했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은 미얀마 가스전 생산·판매 호조로 최대 영업이익을 달성했고 포스코에너지는 천연액화가스(LNG) 직도입, 연료전지 구조개편으로 영업이익을 회복하는 등 그룹사 실적도 개선됐다.
별도 기준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각각 0.9%, 32.1% 감소한 30조3천735억원, 2조5천864억원을 기록했다.
당기순이익은 1조1천757억원으로 9.6% 증가했다.
포스코는 시황 악화에도 재무건전성은 강화됐다고 설명했다.
연결 기준 부채비율은 전년보다 1.9%포인트 감소한 65.4%로 2010년 이래 최저 수준을 기록했다.
순차입금은 7조9천782억원으로 1조5천534억원이 줄었고, 자금시재는 지난해보다 1조7천857억원 증가한 12조4천634억원을 기록하며 유동적 대응을 강화했다.
포스코 관계자는 "국내외 시황의 등락이 있으나 고부가가치 강종 개발과 판매, 효율적인 생산구조를 통한 원가경쟁력 우위, 지속적 설비투자를 통한 생산경쟁력 유지, 다양한 고객 및 제품군 확보에 따른 높은 시장변화 대응성을 바탕으로 글로벌 경쟁사 대비 높은 수익성을 유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포스코는 이날 이사회에서 전년 대비 실적은 하락했지만, 견조한 연결 순이익을 보임에 따라 2018년에 이어 2019년에도 주당 배당금을 1만원으로 의결하며 주주환원 강화 기조를 유지하기로 했다.
향후 3년간 배당성향에 대해 30% 수준을 목표로 제시했다.
포스코는 2004년부터 안정배당 정책 시행으로 주당 8천∼1만원 수준의 배당을 유지하고 있으며 2016년 2분기부터는 장기투자자 주주가치 제고를 위해 분기배당제를 시행 중이다.
포스코는 올해는 국내 유통가격과 중국, 미국 등 글로벌 철강 가격이 모두 회복세를 보이며 최근의 반등 추세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미중 무역협상 1단계 합의안 서명이 완료되며 대외적 불안 요인이 일부 해소된 것도 시황 회복에 긍정적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했다.
이에 따라 안정적인 영업이익을 확보하고 미래시장을 선도할 수 있는 제품을 WTP 제품으로 선정해 판매를 늘리는 동시에 지역·산업별 적정 가격정책을 통해 수익성을 확보하겠다는 계획을 내놓았다.
다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신종코로나)의 확산으로 인해 단기적으로 중국 수요 위축이 불가피하다고 봤다.
포스코 관계자는 컨퍼런스콜에서 "중국이 (춘제) 휴무를 2월 9일로 열흘 정도 연기하면서 단기적으로는 수요 위축이 예상된다"며 "제품 출하에 이상이 없는데 자동차 등 수요산업의 추가 가동 중지로 수요 위축이 불가피하다"고 예상했다. 다만 "경기가 둔화되면 시장 안정화, 수요 회복을 위해서 중국 정부 차원에서 경기부양책 등 대책 발표 있을 거로 보이고 휴무 이후 자동차 등 생산계획이 수립되면 장기적으로는 반등할 수 있어서 크게 걱정은 안 한다"고 덧붙였다.
미래 신(新) 모빌리티 전환 등 변환하는 수요 산업에 대응하기 위해 친환경차를 대상으로 통합 마케팅 체제를 구축하고 친환경·프리미엄 강건재 제품은 기존 시장과 차별화해 판매 기반을 확충한다.
생산 현장에서는 생산성·품질·원가경쟁력 개선을 위해 인공지능(AI) 기반의 스마트공장을 확산하고 본사·해외법인의 품질 보증 체계를 혁신한다.
미래 신사업은 이차전지 소재인 양·음극재 생산능력을 늘리고 마케팅 역량을 제고하면서 차세대 제품 연구개발(R&D)을 강화한다.
또 이미 확보한 호주 리튬 광산과 아르헨티나 염호 자원을 활용해 전기차 배터리의 핵심 소재인 리튬을 상업생산할 수 있도록 데모플랜트의 성공적 목표 달성과 상용설비 투자를 차질없이 진행할 계획이다.
올해 연결기준 매출액 목표는 63조8천억원을 제시했다.
조강생산과 제품판매 목표는 각각 3천670만t, 3천500만t이다.
철강 부문의 경쟁력 강화와 신성장 부문 육성을 위해 투자비는 6조원을 집행할 계획이다.
환경, 안전, 설비에 우선 투자하고 생산 비관련 투자는 철저한 검증을 거쳐 선별적으로 시행한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