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대통령 "검찰, 과거 잘못 스스로 못고쳐…공수처 매우 의미"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문 대통령 "검찰개혁 무엇보다 중요"
검경·법원·학계 의견 듣고 완성 당부
검경·법원·학계 의견 듣고 완성 당부

추미애 법무부 장관과 한정우 청와대 부대변인은 브리핑을 통해 이날 오전 권력기관 개혁 후속 조치를 보고받은 문 대통령이 "수사·기소에서 성역을 없애야 하고 국가 사정기관을 바로 세워야 한다. 그 중 검찰개혁은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이같이 말했다고 전했다.
이어 문 대통령은 "권력기관 개혁 목표는 권력기관의 권한을 민주적으로 분산하고 기관 상호 간, 기관 내부에서 견제·균형을 이루는 것"이라며 "그것은 어디까지나 국민을 위한 것이라는 것이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국가수사 총역량이 약화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하는데 그것을 불식해 내는 것도 중요 과제"라며 "국가수사 총역량을 유지하는 원칙 아래 계획을 진행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이날 보고는 지난 21일 국무회의에서 문 대통령이 공수처법과 검경수사권 조정법 시행에 따른 후속 조치를 정 총리가 직접 챙기라고 지시해 이뤄졌다. 당시 문 대통령은 이들 법의 시행과정에서 객관성과 정치적 중립성 확보와 동시에 자치경찰제 도입과 국가수사본부 설치 등 통합경찰법과 국가정보원 개혁 입법 작업 등을 통한 권력기관 개혁 마무리를 주문한 바 있다.
정 총리는 담화문을 내고 ▲총리소속 공수처 설립준비단 설치 ▲검경수사권 조정 후속추진단 설치 ▲자치 경찰제 도입 및 국가수사본부 설치 ▲국가정보원법 국회 통과 등을 골자로 하는 '권력기관 개혁 후속조치 추진계획'을 발표했다.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