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선 72일 남았는데 "여도 야도 3지대도 다 싫다" 갈 곳 잃은 표심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총선 가까워질수록 무당층 증가
기존 정치권에 염증 느끼는 국민
비정치인 윤석열이 대선주자 깜짝 2위
기존 정치권에 염증 느끼는 국민
비정치인 윤석열이 대선주자 깜짝 2위
총선이 72일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무당층이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다. 통상 총선이 가까워질수록 무당층이 줄어들었던 역대 선거와는 전혀 다른 양상이다.
3일 리얼미터 조사(조사 의뢰자 YTN. 조사일시 1월 28일~31일)에 따르면 무당층 비율은 13%로 전주 9.9%보다 3.1%포인트 늘어났다. 지난해 8월 3주~4주 사이 2.4%포인트 오름세를 보인 후 가장 큰 폭의 변화다. 반면 더불어민주당과 자유한국당 지지율은 동반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달 31일 한국 갤럽 조사(조사일시 1월 28일~30일)에서도 무당층은 전주 대비 6%포인트 올라 33%를 기록,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최고치인 것으로 집계됐다.
여당 지지층이 등을 돌리고 있지만 그렇다고 한국당이나 제3지대에도 지지를 보내지 않고 있는 것이다. 국민들이 기존 정치권 모두에 염증을 느끼고 있는 것이다.
이 같은 현상 때문에 지난달 비정치인인 윤석열 검찰총장이 차기 대통령 적합도 조사에서 깜짝 2위를 차지하기도 했다.
세계일보가 리서치앤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1월 26~28일 전국 만18세 이상 성인 남녀 1007명을 대상으로 실시해 1월 30일 발표한 여론조사(표본오차 ±3.1%p,신뢰수준은 95%)에 따르면 윤석열 검찰총장은 차기 대통령 적합도 10.8%, 황교안 한국당 대표는 10.1%로 나타났다.
1위는 이낙연 전 국무총리(32.2%)였다. 이외에 이재명 경기지사(5.6%), 박원순 서울시장(4.6%), 새로운보수당 유승민 의원(4.4%), 안철수 전 국민의당 대표(4.3%) 순이었다.
이에 각 정당은 총선을 앞두고 무당층 표심을 잡을 방법을 찾기 위해 고심 중이다. 한 야권 인사는 "국민들이 정치권에 염증을 느끼는 가장 큰 이유는 '기득권'이라는 이미지 때문 아니겠나. 총선을 겨냥해 각 정당이 정치 개혁 관련 공약을 쏟아낼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했다.
여론조사 관련 그 밖의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김명일 한경닷컴 기자 mi737@hankyung.com
3일 리얼미터 조사(조사 의뢰자 YTN. 조사일시 1월 28일~31일)에 따르면 무당층 비율은 13%로 전주 9.9%보다 3.1%포인트 늘어났다. 지난해 8월 3주~4주 사이 2.4%포인트 오름세를 보인 후 가장 큰 폭의 변화다. 반면 더불어민주당과 자유한국당 지지율은 동반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달 31일 한국 갤럽 조사(조사일시 1월 28일~30일)에서도 무당층은 전주 대비 6%포인트 올라 33%를 기록,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최고치인 것으로 집계됐다.
여당 지지층이 등을 돌리고 있지만 그렇다고 한국당이나 제3지대에도 지지를 보내지 않고 있는 것이다. 국민들이 기존 정치권 모두에 염증을 느끼고 있는 것이다.
이 같은 현상 때문에 지난달 비정치인인 윤석열 검찰총장이 차기 대통령 적합도 조사에서 깜짝 2위를 차지하기도 했다.
세계일보가 리서치앤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1월 26~28일 전국 만18세 이상 성인 남녀 1007명을 대상으로 실시해 1월 30일 발표한 여론조사(표본오차 ±3.1%p,신뢰수준은 95%)에 따르면 윤석열 검찰총장은 차기 대통령 적합도 10.8%, 황교안 한국당 대표는 10.1%로 나타났다.
1위는 이낙연 전 국무총리(32.2%)였다. 이외에 이재명 경기지사(5.6%), 박원순 서울시장(4.6%), 새로운보수당 유승민 의원(4.4%), 안철수 전 국민의당 대표(4.3%) 순이었다.
이에 각 정당은 총선을 앞두고 무당층 표심을 잡을 방법을 찾기 위해 고심 중이다. 한 야권 인사는 "국민들이 정치권에 염증을 느끼는 가장 큰 이유는 '기득권'이라는 이미지 때문 아니겠나. 총선을 겨냥해 각 정당이 정치 개혁 관련 공약을 쏟아낼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했다.
여론조사 관련 그 밖의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김명일 한경닷컴 기자 mi737@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