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상승률 13개월만에 1%대 회복…"1%대 초중반 흐름 이어갈듯"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1월 소비자물가 1.5% 상승…농산물·석유류 기저효과 사라지고 가격 상승 영향
"신종코로나 영향 내달 반영…메르스 당시 레포츠·놀이시설 이용료 하락"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13개월 만에 1%대로 올라섰다.
지난해 0%대 물가가 지속한 원인이었던 농산물 기저효과가 사라지고 농산물과 석유류 가격이 상승한 데 따른 것으로 통계청은 분석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영향은 2월 물가에 반영될 것으로 예상됐다. 4일 통계청이 발표한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1월 소비자물가지수는 105.79(2015년=100)로 전년 동월 대비 1.5% 상승했다.
이 같은 상승폭은 2018년 11월(2.0%) 이후 14개월 만에 최대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1%를 넘어선 것은 2018년 12월(1.3%) 이후 13개월 만이다.
작년 8월(0.0%) 보합, 9월(-0.4%) 사상 첫 마이너스(-), 10월(0.0%) 보합을 나타낸 소비자물가가 11월(0.2%) 4개월 만에 공식적으로 상승 전환한 뒤 12월(0.7%)에 이어 1월에도 상승폭을 키웠다.
소비자물가가 1%대 상승률을 회복한 배경으로는 농산물과 석유류 가격 상승이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품목 성질별로 보면 농·축·수산물이 1년 전보다 2.5% 상승했다.
농산물 가운데서도 채소류 가격이 전년보다 15.8% 급등해 2017년 8월(22.9%) 이후 가장 크게 상승했다.
무(126.6%), 배추(76.9%), 상추(46.2%)의 상승폭이 컸고, 감자(-27.8%), 마늘(-23.8%), 고구마(-21.4%), 귤(-20.3%) 등은 가격이 많이 내렸다.
축산물은 설 연휴를 맞아 쇠고기 가격이 오르면서 3.4% 상승했고, 수산물은 6.0% 올랐다.
공업 제품이 2.3% 오른 가운데 이 중 석유류가 12.4% 상승해 전체 물가를 0.49%포인트 끌어올렸다.
석유류는 2018년 7월(12.5%) 이후 가장 많이 올랐다.
전기·수도·가스는 1.5% 상승했다.
서비스 물가는 0.8% 상승했다.
개인서비스는 1.7% 상승한 가운데 특히 외식 외 서비스가 2.3% 상승하며 전체 물가를 0.44%포인트 끌어올렸다.
집세(-0.2%)와 공공서비스(-0.5%)는 하락했다.
집세는 지난해 5월부터 9개월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하고 있다.
이는 2005년 4월부터 2006년 3월까지 11개월 연속 하락한 이래 최장 마이너스 행진이다.
안형준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작년의 경우 농산물 기저효과와 무상교육·건강보험 보장 정책 효과로 0%대 물가가 지속됐는데 올해 들어 농산물 기저효과가 끝나고 작황 악화로 채소류 등 농산물 가격이 상승했고 국제 유가가 올라 석유류 가격도 상승해 전체 물가 상승을 이끌었다"고 설명했다. 근원물가 상승률은 여전히 1%를 밑돌았다.
계절 요인이나 일시적 충격에 따른 물가 변동분을 제외하고 장기적인 추세를 파악하기 위해 작성한 '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지수(근원물가)'는 1년 전보다 0.9% 상승했다.
작년 8월(0.9%) 이후 최대 상승폭이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기준 근원물가인 '식료품 및 에너지제외지수'는 1년 전보다 0.8% 올랐다.
작년 8월(0.8%) 이후 가장 많이 상승했다.
정부는 근원물가가 여전히 1%를 밑돌지만, 무상교육 등 복지제도 확충이 마무리되는 2022∼2023년부터는 이 같은 현상도 완화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체감물가를 파악하기 위해 전체 460개 품목 가운데 자주 구매하고 지출 비중이 큰 141개 품목을 토대로 작성한 '생활물가지수'는 2.1% 상승, 2018년 11월(2.3%) 이후 가장 많이 올랐다.
어류·조개·채소·과실 등 기상 조건에 따라 가격 변동이 큰 50개 품목을 기준으로 산정하는 '신선식품지수'는 1년 전보다 4.1% 상승했다.
2018년 12월(6.6%) 이후 상승폭이 가장 컸다.
소비자물가에 소유주택을 사용하면서 드는 서비스 비용을 추가한 자가주거비포함지수는 1년 전보다 1.2% 상승했다.
통계청은 올해 물가상승률이 1%대 초중반에서 움직이는 흐름을 이어갈 것으로 봤다.
안 심의관은 "기저효과 종료로 올해 물가상승률이 1%대 초중반 수준으로 갈 것이라는 정부와 한국은행의 판단이 유효하다고 본다"며 "다만 (무상)교육과 보건 정책이 유지돼서 물가가 크게 오르기보다 1% 초반 정도가 유효할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해 불거졌던 디플레이션 우려와 관련해서는 "통계 당국 입장에서 우려한 적은 없었다"며 "0%대 저물가가 계속된 것은 2018년 고물가에 따른 기저효과와 정책 효과로 생각하고 있었다"고 선을 그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영향은 지난달 20일 이후 본격화된 만큼 다음달 지표에 본격 반영될 것으로 봤다.
안 심의관은 "신종코로나 전개 상황에 대해 아직 판단하기 어렵다"며 "사스(SARS·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때는 물가에 두드러진 영향이 관측되지 않았고 메르스(MERS·중동호흡기증후군) 때는 전체 물가보다 레포츠·놀이시설 이용료 등 일부 품목에 영향이 있었으며 한 분기 정도 하락했다가 사태 종료 후 반등했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향후 물가 흐름을 면밀히 들여다보겠다고 밝혔다.
정부 관계자는 "소비자물가 흐름 및 물가 상·하방 위험 요인을 모니터링해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종합적으로 점검하고 대응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연합뉴스
"신종코로나 영향 내달 반영…메르스 당시 레포츠·놀이시설 이용료 하락"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13개월 만에 1%대로 올라섰다.
지난해 0%대 물가가 지속한 원인이었던 농산물 기저효과가 사라지고 농산물과 석유류 가격이 상승한 데 따른 것으로 통계청은 분석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영향은 2월 물가에 반영될 것으로 예상됐다. 4일 통계청이 발표한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1월 소비자물가지수는 105.79(2015년=100)로 전년 동월 대비 1.5% 상승했다.
이 같은 상승폭은 2018년 11월(2.0%) 이후 14개월 만에 최대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1%를 넘어선 것은 2018년 12월(1.3%) 이후 13개월 만이다.
작년 8월(0.0%) 보합, 9월(-0.4%) 사상 첫 마이너스(-), 10월(0.0%) 보합을 나타낸 소비자물가가 11월(0.2%) 4개월 만에 공식적으로 상승 전환한 뒤 12월(0.7%)에 이어 1월에도 상승폭을 키웠다.
소비자물가가 1%대 상승률을 회복한 배경으로는 농산물과 석유류 가격 상승이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품목 성질별로 보면 농·축·수산물이 1년 전보다 2.5% 상승했다.
농산물 가운데서도 채소류 가격이 전년보다 15.8% 급등해 2017년 8월(22.9%) 이후 가장 크게 상승했다.
무(126.6%), 배추(76.9%), 상추(46.2%)의 상승폭이 컸고, 감자(-27.8%), 마늘(-23.8%), 고구마(-21.4%), 귤(-20.3%) 등은 가격이 많이 내렸다.
축산물은 설 연휴를 맞아 쇠고기 가격이 오르면서 3.4% 상승했고, 수산물은 6.0% 올랐다.
공업 제품이 2.3% 오른 가운데 이 중 석유류가 12.4% 상승해 전체 물가를 0.49%포인트 끌어올렸다.
석유류는 2018년 7월(12.5%) 이후 가장 많이 올랐다.
전기·수도·가스는 1.5% 상승했다.
서비스 물가는 0.8% 상승했다.
개인서비스는 1.7% 상승한 가운데 특히 외식 외 서비스가 2.3% 상승하며 전체 물가를 0.44%포인트 끌어올렸다.
집세(-0.2%)와 공공서비스(-0.5%)는 하락했다.
집세는 지난해 5월부터 9개월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하고 있다.
이는 2005년 4월부터 2006년 3월까지 11개월 연속 하락한 이래 최장 마이너스 행진이다.
안형준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작년의 경우 농산물 기저효과와 무상교육·건강보험 보장 정책 효과로 0%대 물가가 지속됐는데 올해 들어 농산물 기저효과가 끝나고 작황 악화로 채소류 등 농산물 가격이 상승했고 국제 유가가 올라 석유류 가격도 상승해 전체 물가 상승을 이끌었다"고 설명했다. 근원물가 상승률은 여전히 1%를 밑돌았다.
계절 요인이나 일시적 충격에 따른 물가 변동분을 제외하고 장기적인 추세를 파악하기 위해 작성한 '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지수(근원물가)'는 1년 전보다 0.9% 상승했다.
작년 8월(0.9%) 이후 최대 상승폭이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기준 근원물가인 '식료품 및 에너지제외지수'는 1년 전보다 0.8% 올랐다.
작년 8월(0.8%) 이후 가장 많이 상승했다.
정부는 근원물가가 여전히 1%를 밑돌지만, 무상교육 등 복지제도 확충이 마무리되는 2022∼2023년부터는 이 같은 현상도 완화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체감물가를 파악하기 위해 전체 460개 품목 가운데 자주 구매하고 지출 비중이 큰 141개 품목을 토대로 작성한 '생활물가지수'는 2.1% 상승, 2018년 11월(2.3%) 이후 가장 많이 올랐다.
어류·조개·채소·과실 등 기상 조건에 따라 가격 변동이 큰 50개 품목을 기준으로 산정하는 '신선식품지수'는 1년 전보다 4.1% 상승했다.
2018년 12월(6.6%) 이후 상승폭이 가장 컸다.
소비자물가에 소유주택을 사용하면서 드는 서비스 비용을 추가한 자가주거비포함지수는 1년 전보다 1.2% 상승했다.
통계청은 올해 물가상승률이 1%대 초중반에서 움직이는 흐름을 이어갈 것으로 봤다.
안 심의관은 "기저효과 종료로 올해 물가상승률이 1%대 초중반 수준으로 갈 것이라는 정부와 한국은행의 판단이 유효하다고 본다"며 "다만 (무상)교육과 보건 정책이 유지돼서 물가가 크게 오르기보다 1% 초반 정도가 유효할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해 불거졌던 디플레이션 우려와 관련해서는 "통계 당국 입장에서 우려한 적은 없었다"며 "0%대 저물가가 계속된 것은 2018년 고물가에 따른 기저효과와 정책 효과로 생각하고 있었다"고 선을 그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영향은 지난달 20일 이후 본격화된 만큼 다음달 지표에 본격 반영될 것으로 봤다.
안 심의관은 "신종코로나 전개 상황에 대해 아직 판단하기 어렵다"며 "사스(SARS·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때는 물가에 두드러진 영향이 관측되지 않았고 메르스(MERS·중동호흡기증후군) 때는 전체 물가보다 레포츠·놀이시설 이용료 등 일부 품목에 영향이 있었으며 한 분기 정도 하락했다가 사태 종료 후 반등했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향후 물가 흐름을 면밀히 들여다보겠다고 밝혔다.
정부 관계자는 "소비자물가 흐름 및 물가 상·하방 위험 요인을 모니터링해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종합적으로 점검하고 대응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