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 시중은행, 작년 퇴직금으로 1인당 '4억'씩 줬다 [이슈+]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신한·국민·하나·우리은행 기준
희망퇴직 1406명, 퇴직금 5737억원 지출
희망퇴직 1406명, 퇴직금 5737억원 지출
국내 4대 시중은행이 지난해 퇴직금으로 5700억원을 지불한 것으로 나타났다. 퇴직자 1인당 평균 퇴직금은 4억원에 달했다. 4대 은행의 2018년 기준 임직원 평균 연봉 9300만원의 4배가 넘는 금액이다.
11일 금융업계에 따르면 신한·국민·하나·우리은행 등 4대 은행은 지난해 1406명에 대한 희망퇴직을 실시했다. 퇴직금은 노사 합의에 따라 20~39개월치 평균임금으로 계산됐다. 직급, 근속연수, 직군별로 평균임금이 정해졌다. 여기에 자녀 학자금, 의료비, 재취업·전직 지원금 등이 추가됐다. 우리은행이 자녀 1인당 학자금 2800만원, 신한은행이 전직·창업 지원금 1000만원 등을 더하는 식이다.
국민은행의 퇴직자가 462명으로 가장 많았다. 하나은행과 우리은행은 각각 369명, 325명으로 뒤를 이었다. 신한은행은 250명이었다. 국민은행은 지난해 퇴직금으로 21~39개월치 평균임금을 지급했다.
퇴직금 규모도 국민은행이 1730억원으로 제일 컸다. 우리은행과 하나은행이 각각 1560억원과 1510억원, 신한은행은 937억원을 퇴직금으로 지불했다. 4대 은행이 지난해에 쓴 퇴직금은 5737억원이었다.
올해도 4대 은행의 희망퇴직 규모는 지난해와 비슷할 것으로 보인다. 국민은행은 400여명, 우리은행은 300여명으로 알려졌다. 신한은행과 하나은행의 희망퇴직 규모도 지난해와 비슷한 250여명, 360여명이 예상된다. 희망퇴직금은 실적 악화에 대한 우려로 전반적으로 소폭 하향 조정됐다. 국민은행의 경우 지난해 최대 39개월에서 올해 35개월로 낮췄다.
김수현 신한금융투자 연구원은 "은행들은 대규모 희망퇴직을 통해 문제로 지적된 인력의 역피라미드(상위직이 하위직보다 많은 상황) 구조를 바꿔나가고 있다"며 "인건비 등 비용 효율화가 개선될 때까지 희망퇴직은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시중은행들은 지난해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신한은행과 국민은행은 지난해에만 각각 2조3292억원, 2조4391억원을 벌어들였다. 하지만 올해는 사정이 다를 것으로 보인다. 은행들은 해외금리 연계 파생결합펀드(DLF) 여파 등으로 올해 실적 목표치를 낮추고 임금 인상률을 동결하는 등 실적 한파에 대비하고 있다.
이에 따라 노동조합도 사측의 비상경영체제에 맞춰 임금·단체 협상(임단협)을 일찌감치 마무리했다. 각 은행들은 임금 인상률을 2%로 통일하고 성과급(보로금)을 전년 대비 최대 100%포인트 낮춰 200% 안팎으로 맞춘 상태다.
윤진우/채선희 한경닷컴 기자 jiinwoo@hankyung.com
11일 금융업계에 따르면 신한·국민·하나·우리은행 등 4대 은행은 지난해 1406명에 대한 희망퇴직을 실시했다. 퇴직금은 노사 합의에 따라 20~39개월치 평균임금으로 계산됐다. 직급, 근속연수, 직군별로 평균임금이 정해졌다. 여기에 자녀 학자금, 의료비, 재취업·전직 지원금 등이 추가됐다. 우리은행이 자녀 1인당 학자금 2800만원, 신한은행이 전직·창업 지원금 1000만원 등을 더하는 식이다.
국민은행의 퇴직자가 462명으로 가장 많았다. 하나은행과 우리은행은 각각 369명, 325명으로 뒤를 이었다. 신한은행은 250명이었다. 국민은행은 지난해 퇴직금으로 21~39개월치 평균임금을 지급했다.
퇴직금 규모도 국민은행이 1730억원으로 제일 컸다. 우리은행과 하나은행이 각각 1560억원과 1510억원, 신한은행은 937억원을 퇴직금으로 지불했다. 4대 은행이 지난해에 쓴 퇴직금은 5737억원이었다.
올해도 4대 은행의 희망퇴직 규모는 지난해와 비슷할 것으로 보인다. 국민은행은 400여명, 우리은행은 300여명으로 알려졌다. 신한은행과 하나은행의 희망퇴직 규모도 지난해와 비슷한 250여명, 360여명이 예상된다. 희망퇴직금은 실적 악화에 대한 우려로 전반적으로 소폭 하향 조정됐다. 국민은행의 경우 지난해 최대 39개월에서 올해 35개월로 낮췄다.
김수현 신한금융투자 연구원은 "은행들은 대규모 희망퇴직을 통해 문제로 지적된 인력의 역피라미드(상위직이 하위직보다 많은 상황) 구조를 바꿔나가고 있다"며 "인건비 등 비용 효율화가 개선될 때까지 희망퇴직은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시중은행들은 지난해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신한은행과 국민은행은 지난해에만 각각 2조3292억원, 2조4391억원을 벌어들였다. 하지만 올해는 사정이 다를 것으로 보인다. 은행들은 해외금리 연계 파생결합펀드(DLF) 여파 등으로 올해 실적 목표치를 낮추고 임금 인상률을 동결하는 등 실적 한파에 대비하고 있다.
이에 따라 노동조합도 사측의 비상경영체제에 맞춰 임금·단체 협상(임단협)을 일찌감치 마무리했다. 각 은행들은 임금 인상률을 2%로 통일하고 성과급(보로금)을 전년 대비 최대 100%포인트 낮춰 200% 안팎으로 맞춘 상태다.
윤진우/채선희 한경닷컴 기자 jiinwo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