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번 환자, 감염경로 '아리송'…감시망 밖 첫 확진자 가능성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해외여행력 없고 접촉자로 분류 안 돼…감염경로 '파악중'
선별진료소 안 가고 응급실 방문…'병원 내 감염' 우려↑ 국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29번 환자의 감염 경로가 해외방문력이나 확진자 접촉력으로 확인되지 않으면서 보건당국도 당혹스러움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16일 중앙방역대책본부(중대본)와 의료계에 따르면 29번 환자(82세 남성, 한국인)는 정부의 현 방역감시망 밖에서 발생한 첫 환자로 추정된다.
지난해 12월 이후 해외여행을 한 적이 없고, 앞서 발생한 확진자의 접촉자로 분류되지도 않았다.
그동안 국내서 발생한 환자의 감염경로는 크게 '해외 여행력', '확진자 접촉력' 등 2가지로 분류된다.
하지만 29번 환자는 두 가지 모두 해당하지 않는다.
29번 환자는 확진 전 자신에게 바이러스를 전파한 '원 감염자'와 접촉했을 가능성이 크다.
이 원 감염자가 증상을 느끼지 못한 '무증상 감염' 상태였다면, 확진 판정을 받지 않은 채 지역사회에 머물렀을 수 있다.
정은경 중대본 본부장은 "경증으로 병원 진료를 받지 않으면 저희 감시망에서 환자가 인지돼 관리되기가 어렵다"며 "그 부분에 대한 대응책을 계속 논의해왔고, 오후 중앙사고수습본부 브리핑에서 조금 더 (대응책을) 말할 수 있을 것 같다"고 말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의료기관에서 29번 환자를 발견한 배경도 미스터리다.
환자는 전날 심장질환으로 고대안암병원 응급실을 방문했는데, 당시에는 코로나19 감염을 의심할 만한 정황이 없었다.
고대안암병원에 따르면 환자는 당시 해외 여행력뿐만 아니라 발열이나 호흡기 증상이 없어 선별진료소를 거치지 않았다.
흉통을 호소해 엑스레이와 컴퓨터단층촬영(CT)을 했고, 우연히 폐렴이 확인됐다.
병원 측은 당시 환자를 진료한 의사가 과거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MERS)를 경험한 적이 있어 폐렴 증상을 이상하게 여겨 코로나19 진단검사를 시행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29번 환자가 병원 응급실을 방문했던 만큼 '병원 내 감염'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이 환자는 선별진료소를 거치지 않고 15시간가량 고대안암병원 응급실에 머물렀다.
다만 폐렴이 확인된 이후에는 음압병실에 격리된 상태였다.
또 응급실 방문 전에는 동네병원도 2곳 방문했다.
보건당국은 이 환자가 일주일 전 마른기침이 있었던 것으로 파악했다.
응급실 방문 당시 기침이 없었다고 하지만, '비말(침방울) 전파'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특히 병원은 감염병 전파 위험이 큰 곳이란 점에서 우려가 크다.
2015년 메르스 때도 병원에서 '슈퍼전파'가 이뤄졌다.
병원에서 환자가 인공호흡이나 기도삽관을 받게 되면 분비물이 에어로졸(공기 중에 떠 있는 고체 입자 또는 액체 방울) 형태로 퍼져 전파력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현재 고대안암병원 응급실은 폐쇄된 상태다.
응급실에서 29번 환자를 접촉한 의료진과 병원 직원, 환자 등 40여명이 격리됐으며, 접촉자는 더 늘어날 수 있다.
보건당국은 29번 환자의 감염원과 감염경로를 파악하는데 주력한다는 입장이다.
정 본부장은 "이 환자에 대해 (감염경로에) 어떤 역학적인 연관성이 있는지, 감염원이 무엇인지 조사하고 있다"며 "(조사 결과가 나오면) 판단해 공개하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선별진료소 안 가고 응급실 방문…'병원 내 감염' 우려↑ 국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29번 환자의 감염 경로가 해외방문력이나 확진자 접촉력으로 확인되지 않으면서 보건당국도 당혹스러움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16일 중앙방역대책본부(중대본)와 의료계에 따르면 29번 환자(82세 남성, 한국인)는 정부의 현 방역감시망 밖에서 발생한 첫 환자로 추정된다.
지난해 12월 이후 해외여행을 한 적이 없고, 앞서 발생한 확진자의 접촉자로 분류되지도 않았다.
그동안 국내서 발생한 환자의 감염경로는 크게 '해외 여행력', '확진자 접촉력' 등 2가지로 분류된다.
하지만 29번 환자는 두 가지 모두 해당하지 않는다.
29번 환자는 확진 전 자신에게 바이러스를 전파한 '원 감염자'와 접촉했을 가능성이 크다.
이 원 감염자가 증상을 느끼지 못한 '무증상 감염' 상태였다면, 확진 판정을 받지 않은 채 지역사회에 머물렀을 수 있다.
정은경 중대본 본부장은 "경증으로 병원 진료를 받지 않으면 저희 감시망에서 환자가 인지돼 관리되기가 어렵다"며 "그 부분에 대한 대응책을 계속 논의해왔고, 오후 중앙사고수습본부 브리핑에서 조금 더 (대응책을) 말할 수 있을 것 같다"고 말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의료기관에서 29번 환자를 발견한 배경도 미스터리다.
환자는 전날 심장질환으로 고대안암병원 응급실을 방문했는데, 당시에는 코로나19 감염을 의심할 만한 정황이 없었다.
고대안암병원에 따르면 환자는 당시 해외 여행력뿐만 아니라 발열이나 호흡기 증상이 없어 선별진료소를 거치지 않았다.
흉통을 호소해 엑스레이와 컴퓨터단층촬영(CT)을 했고, 우연히 폐렴이 확인됐다.
병원 측은 당시 환자를 진료한 의사가 과거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MERS)를 경험한 적이 있어 폐렴 증상을 이상하게 여겨 코로나19 진단검사를 시행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29번 환자가 병원 응급실을 방문했던 만큼 '병원 내 감염'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이 환자는 선별진료소를 거치지 않고 15시간가량 고대안암병원 응급실에 머물렀다.
다만 폐렴이 확인된 이후에는 음압병실에 격리된 상태였다.
또 응급실 방문 전에는 동네병원도 2곳 방문했다.
보건당국은 이 환자가 일주일 전 마른기침이 있었던 것으로 파악했다.
응급실 방문 당시 기침이 없었다고 하지만, '비말(침방울) 전파'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특히 병원은 감염병 전파 위험이 큰 곳이란 점에서 우려가 크다.
2015년 메르스 때도 병원에서 '슈퍼전파'가 이뤄졌다.
병원에서 환자가 인공호흡이나 기도삽관을 받게 되면 분비물이 에어로졸(공기 중에 떠 있는 고체 입자 또는 액체 방울) 형태로 퍼져 전파력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현재 고대안암병원 응급실은 폐쇄된 상태다.
응급실에서 29번 환자를 접촉한 의료진과 병원 직원, 환자 등 40여명이 격리됐으며, 접촉자는 더 늘어날 수 있다.
보건당국은 29번 환자의 감염원과 감염경로를 파악하는데 주력한다는 입장이다.
정 본부장은 "이 환자에 대해 (감염경로에) 어떤 역학적인 연관성이 있는지, 감염원이 무엇인지 조사하고 있다"며 "(조사 결과가 나오면) 판단해 공개하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