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리포트] 트럼프 지원 속 5G 정복 꿈꾸는 노키아 벨연구소(Bell Labs)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싸다고 좋은 게 아니다. 우리는 미국에서 가장 먼저 선택되고 있는 5세대(5G) 이동통신 장비 회사다."
미국 뉴욕 맨해튼에서 28마일(45㎞) 가량 떨어진 뉴저지주(州) 머레이힐의 노키아 벨연구소(Nokia Bell Labs)에서 만난 에릭 맨건 홍보 담당 임원의 말이다. “중국 화웨이가 세계 5G 장비 시장에서 앞서고 있는 게 아닌가”라는 기자의 질문에 대한 답변이다. 벨연구소는 ‘세계 통신기술의 메카’로 불리는 곳이다. AT&T가 1925년 전화기를 발명한 알렉산더 그레이엄 벨의 이름을 따 설립한 이 곳에선 1947년 첫 셀룰라(무선통신) 콘셉트가 구현됐고, 1970년대 첫 셀룰라폰이 태어났다. 1962년 미항공우주국(NASA)과 함께 세계 첫 통신위성 텔스타를 쏘아올렸으며 페이징 시스템(일명 ‘삐삐’)도 발명했다. 트랜지스터와 유닉스, 이미지센서(CCD), 솔라셀 등도 이 곳에서 태어났으며, 노벨상 수상자만 10여명을 배출했다.
국내에서도 김종훈 삼성전자 사외이사와 홍원표 삼성SDS 사장, 이용경 KT 전 사장, 경상현 전 정보통신부 장관, 양승택 전 정보통신부 장관 등이 벨연구소 출신이다.
지난 2016년 노키아가 인수한 벨연구소 곳곳에선 5G 연구가 진행되고 있었다. 드론과 로봇, 자율주행차 등을 활용한 실험 장면이 목격됐다.
벨연구소의 마이크 머피 최고기술책임자(CTO)는 “5G는 4G와 달리 수많은 산업 영역에서 ‘처음부터 끝까지 쓰일 것’(End to End Network)”이라며 끝부분이 될 수 있는 드론과 로봇, 자율주행차 등을 함께 연구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벨연구소는 2007년 5G 연구에 착수했다. 4G LTE가 상용화되기도 전이다. 마커스 웰던 소장은 “이미 6G 연구도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5G 기술에서 단말기 쪽에선 삼성, 화웨이 등이 앞서고 있지만 네트워크에서는 우리가 더 많은 기술을 갖고 있다"고 강조했다.
벨연구소에선 5G 시장에서 급부상하는 화웨이에 대한 위기감이 강하게 느껴졌다. 그러면서도 화웨이에 대한 질문에는 "경쟁사에 대해 언급할 수 없다"고만 했다.
미 행정부의 윌리엄 바 법무장관은 지난 6일 미 싱크탱크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 주최 콘퍼런스에서 “화웨이 견제를 위해 미국이 핀란드 노키아나 스웨덴 에릭슨과 연대해야 한다는 의견이 있다"면서 미국이 이들 기업에 직접 지배 지분을 확보하거나 미국 기업과 이들 기업의 컨소시엄을 구성하는 방안을 거론했다.
웰던 소장은 이에 대해 "중국 유럽 등에선 정부가 통신기술 개발을 지원해준다. 미국 정부가 도와줄 수 있는 게 많다. 펀딩을 해준다면 반길 것"이라고 설명했다. 미국 정부의 지원을 기대한다는 뜻으로 들렸다. 그는 "새로운 것을 개발하는 데는 엄청난 돈이 들어가기 마련"이라며 "언제나 도움은 환영한다"고 덧붙였다. 도널드 트럼프 미 행정부가 5G 시장에 직접 개입하려는 이유는 무엇일까. 머피 CTO는 “4G는 개인간 통신이 가장 큰 응용분야지만, 5G는 스마트시티, 발전소, 병원, 자율주행차 등 수많은 곳에서 쓰일 수 있는 거대한 가능성을 갖고 있다”며 “그런 점에서 4G에 비해 훨씬 중요하다”고 말했다.
미국이동통신산업협회(CTIA)에 따르면 5G 관련 투자액은 미국에서만 2750억달러가 필요하다. 이를 통해 300만개의 일자리, 6000억달러 규모의 경제 성장이 가능할 것으로 추정됐다. 4G 때 경제 성장 규모인 1000억달러의 여섯 배에 달한다.
머피 CTO는 “이런 5G의 거대한 혜택을 차지하기 위해 통신사뿐 아니라 국가간 경쟁이 불붙고 있다"고 설명했다. 4G 때 미국 4대 통신사간에 서비스 론칭 시기에 20개월 차이가 벌어졌었는데, 이번엔 2개월에 불과했다. 또 통신 4대 강국(미국, 중국, 한국, 유럽)에서 4G 서비스 론칭에는 약 2년의 격차가 있었는데, 5G의 경우 6개월로 그 차이가 좁혀졌다.
미국과 한국은 지난 2018년 동시에 5G 서비스를 가정 먼저 시작했다.
미 행정부는 5G 산업 주도권을 쥐기 위해 지난해 5G 네트워크 기지국의 승인을 신청후 90일 이내에 해주고 기주국 임대료도 한 곳당 1년 270달러로 한정했다. 기존 뉴욕시에선 임대료가 5000달러까지 폭등했었다. 5G는 고주파를 쓰는 만큼 기지국 수가 4G 때의 두 배 이상이 필요하기 때문에 이같은 정부 지원이 필수적이다.
또 미 통신위원회(FCC)는 5G 주파수 대역에서 가장 속도가 빠른 mm웨이브 주파수 경매를 작년부터 본격화해 올해까지 다 끝낼 예정이다. 머피 CTO는 “미국의 주파수 경매는 다른 나라들에 비해 속도가 훨씬 빠르다”면서 "이는 트럼프 행정부가 5G에서 앞서가겠다는 의지를 보이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머피 CTO는 미국 시장에서 5G 가입자가 4G보다 많아지는 시기를 2024년으로 예측했다. 그러면서 노키아가 미국의 5G 장비 시장을 가장 많이 차지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머피 CTO는 “지금까지 미국 5G 장비 시장에선 노키아, 에릭슨이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으며 삼성은 마이너”라며 “뉴욕시의 경우 4대 통신사 중 3 곳이 노키아 장비를 채택했다”고 말했다.
그는 노키아가 앞서는 이유로 벨연구소의 기술력을 들었다. “벨연구소는 주파수 기술뿐 아니라 광통신 등 모든 관련 기술에서 앞서있으며, 이런 연구가 업계 기준을 만든다. 5G 기준도 벨연구소에서 주도했다”는 것이다.
머피 CTO는 “4G 때 노키아는 선두주자였고, 5G에서도 똑같이 구현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뉴저지 머레이힐=김현석 특파원 realist@hankyung.com
미국 뉴욕 맨해튼에서 28마일(45㎞) 가량 떨어진 뉴저지주(州) 머레이힐의 노키아 벨연구소(Nokia Bell Labs)에서 만난 에릭 맨건 홍보 담당 임원의 말이다. “중국 화웨이가 세계 5G 장비 시장에서 앞서고 있는 게 아닌가”라는 기자의 질문에 대한 답변이다. 벨연구소는 ‘세계 통신기술의 메카’로 불리는 곳이다. AT&T가 1925년 전화기를 발명한 알렉산더 그레이엄 벨의 이름을 따 설립한 이 곳에선 1947년 첫 셀룰라(무선통신) 콘셉트가 구현됐고, 1970년대 첫 셀룰라폰이 태어났다. 1962년 미항공우주국(NASA)과 함께 세계 첫 통신위성 텔스타를 쏘아올렸으며 페이징 시스템(일명 ‘삐삐’)도 발명했다. 트랜지스터와 유닉스, 이미지센서(CCD), 솔라셀 등도 이 곳에서 태어났으며, 노벨상 수상자만 10여명을 배출했다.
국내에서도 김종훈 삼성전자 사외이사와 홍원표 삼성SDS 사장, 이용경 KT 전 사장, 경상현 전 정보통신부 장관, 양승택 전 정보통신부 장관 등이 벨연구소 출신이다.
지난 2016년 노키아가 인수한 벨연구소 곳곳에선 5G 연구가 진행되고 있었다. 드론과 로봇, 자율주행차 등을 활용한 실험 장면이 목격됐다.
벨연구소의 마이크 머피 최고기술책임자(CTO)는 “5G는 4G와 달리 수많은 산업 영역에서 ‘처음부터 끝까지 쓰일 것’(End to End Network)”이라며 끝부분이 될 수 있는 드론과 로봇, 자율주행차 등을 함께 연구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벨연구소는 2007년 5G 연구에 착수했다. 4G LTE가 상용화되기도 전이다. 마커스 웰던 소장은 “이미 6G 연구도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5G 기술에서 단말기 쪽에선 삼성, 화웨이 등이 앞서고 있지만 네트워크에서는 우리가 더 많은 기술을 갖고 있다"고 강조했다.
벨연구소에선 5G 시장에서 급부상하는 화웨이에 대한 위기감이 강하게 느껴졌다. 그러면서도 화웨이에 대한 질문에는 "경쟁사에 대해 언급할 수 없다"고만 했다.
미 행정부의 윌리엄 바 법무장관은 지난 6일 미 싱크탱크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 주최 콘퍼런스에서 “화웨이 견제를 위해 미국이 핀란드 노키아나 스웨덴 에릭슨과 연대해야 한다는 의견이 있다"면서 미국이 이들 기업에 직접 지배 지분을 확보하거나 미국 기업과 이들 기업의 컨소시엄을 구성하는 방안을 거론했다.
웰던 소장은 이에 대해 "중국 유럽 등에선 정부가 통신기술 개발을 지원해준다. 미국 정부가 도와줄 수 있는 게 많다. 펀딩을 해준다면 반길 것"이라고 설명했다. 미국 정부의 지원을 기대한다는 뜻으로 들렸다. 그는 "새로운 것을 개발하는 데는 엄청난 돈이 들어가기 마련"이라며 "언제나 도움은 환영한다"고 덧붙였다. 도널드 트럼프 미 행정부가 5G 시장에 직접 개입하려는 이유는 무엇일까. 머피 CTO는 “4G는 개인간 통신이 가장 큰 응용분야지만, 5G는 스마트시티, 발전소, 병원, 자율주행차 등 수많은 곳에서 쓰일 수 있는 거대한 가능성을 갖고 있다”며 “그런 점에서 4G에 비해 훨씬 중요하다”고 말했다.
미국이동통신산업협회(CTIA)에 따르면 5G 관련 투자액은 미국에서만 2750억달러가 필요하다. 이를 통해 300만개의 일자리, 6000억달러 규모의 경제 성장이 가능할 것으로 추정됐다. 4G 때 경제 성장 규모인 1000억달러의 여섯 배에 달한다.
머피 CTO는 “이런 5G의 거대한 혜택을 차지하기 위해 통신사뿐 아니라 국가간 경쟁이 불붙고 있다"고 설명했다. 4G 때 미국 4대 통신사간에 서비스 론칭 시기에 20개월 차이가 벌어졌었는데, 이번엔 2개월에 불과했다. 또 통신 4대 강국(미국, 중국, 한국, 유럽)에서 4G 서비스 론칭에는 약 2년의 격차가 있었는데, 5G의 경우 6개월로 그 차이가 좁혀졌다.
미국과 한국은 지난 2018년 동시에 5G 서비스를 가정 먼저 시작했다.
미 행정부는 5G 산업 주도권을 쥐기 위해 지난해 5G 네트워크 기지국의 승인을 신청후 90일 이내에 해주고 기주국 임대료도 한 곳당 1년 270달러로 한정했다. 기존 뉴욕시에선 임대료가 5000달러까지 폭등했었다. 5G는 고주파를 쓰는 만큼 기지국 수가 4G 때의 두 배 이상이 필요하기 때문에 이같은 정부 지원이 필수적이다.
또 미 통신위원회(FCC)는 5G 주파수 대역에서 가장 속도가 빠른 mm웨이브 주파수 경매를 작년부터 본격화해 올해까지 다 끝낼 예정이다. 머피 CTO는 “미국의 주파수 경매는 다른 나라들에 비해 속도가 훨씬 빠르다”면서 "이는 트럼프 행정부가 5G에서 앞서가겠다는 의지를 보이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머피 CTO는 미국 시장에서 5G 가입자가 4G보다 많아지는 시기를 2024년으로 예측했다. 그러면서 노키아가 미국의 5G 장비 시장을 가장 많이 차지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머피 CTO는 “지금까지 미국 5G 장비 시장에선 노키아, 에릭슨이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으며 삼성은 마이너”라며 “뉴욕시의 경우 4대 통신사 중 3 곳이 노키아 장비를 채택했다”고 말했다.
그는 노키아가 앞서는 이유로 벨연구소의 기술력을 들었다. “벨연구소는 주파수 기술뿐 아니라 광통신 등 모든 관련 기술에서 앞서있으며, 이런 연구가 업계 기준을 만든다. 5G 기준도 벨연구소에서 주도했다”는 것이다.
머피 CTO는 “4G 때 노키아는 선두주자였고, 5G에서도 똑같이 구현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뉴저지 머레이힐=김현석 특파원 realis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