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부부 감염경로 '미궁'…코로나19 대응 '지역감염 차단'으로 전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감염 연결고리 찾기 힘들어
지역사회 방역 '비상'
29번 환자 114명 접촉…더 늘듯
국내유입 차단서 대응 지침 변경
지역사회 방역 '비상'
29번 환자 114명 접촉…더 늘듯
국내유입 차단서 대응 지침 변경
정부가 국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지역사회 감염 위험이 커졌다고 판단해 환자 조사 기능을 강화하기로 했다. 서울 숭인동에 사는 29번 환자(82·남)와 30번 환자(68·여) 부부의 감염원을 찾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어서다. 이들은 물론 가족 중 해외여행을 다녀온 사람이 없는 데다 증상이 발생하고도 10일간 병원 여러 곳을 오간 것으로 알려져 기존 접촉자 중심 추적 방식으로는 추가 확산을 막는 데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환자 나왔지만 감염원 ‘미궁’
정은경 질병관리본부장(중앙방역대책본부장)은 17일 오송청사에서 브리핑을 열고 “29번 환자가 종로종합복지관을 방문했고 일부 다른 활동을 한 것이 파악돼 이 범위에 환자가 있었는지 행적을 조사 중”이라고 했다.
지금까지 발생한 국내 코로나19 환자는 해외를 다녀오거나 국내 환자와 접촉한 뒤 감염돼 역학적 연결고리가 있었다. 하지만 29번, 30번 환자는 연결고리를 찾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김우주 고려대 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역학적 연결고리 없이 감염되는 것이 지역사회 감염”이라며 “국내 지역사회 감염 첫 사례일 가능성이 높다”고 했다.
29번 환자는 지난 5일, 30번 환자는 6일 또는 8일부터 기침 몸살 등의 증상을 호소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감염원을 찾으려면 증상이 시작되기 14일 전 모든 동선에 있는 접촉자를 찾아야 한다. 시간이 걸리는 이유다. 국내에서 감염됐지만 전파자가 누군지 모르는 환자로 남을 가능성도 있다. 종로구를 오갔던 6번 또는 21번 환자와 접촉했을 가능성을 열어 두고 종로 명륜교회에 다니는지도 조사했지만 관련이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서울대병원 소화기내과 등 비상
이들의 접촉자 파악에도 비상이 걸렸다. 증상이 나타나고도 10일 정도 지역사회 병·의원을 오갔기 때문이다. 중국이나 해외를 다녀온 적이 없어 의료기관들은 코로나19 환자라고 의심하지 못했다.
29번 환자는 지난 5~15일 신중호내과의원, 강북서울외과의원, 보람약국, 봄약국, 고려대안암병원 응급실 등을 다녔다. 병원 3곳, 약국 2곳을 찾은 횟수만 총 13차례다. 확인된 접촉자는 114명이지만 늘어날 가능성이 높다. 30번 환자는 8일 서울대병원 소화기내과 외래 진료를 받았고 강북서울외과의원도 여러 차례 방문했다. 이들은 16일부터 서울대병원에서 격리치료를 받고 있다.
진료한 의료진은 자가격리됐다. 추가 접촉자도 격리 통보를 하고 있다. 하지만 환자가 다녀간 지 8일이 지난 데다 코로나19는 초기 전파 위험이 높기 때문에 접촉 후 감염된 환자가 다른 병원을 찾아 추가 전파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보건소 기능 전환 서둘러야”
정부는 해외 유입 차단에 집중했던 감염대응 체계를 지역사회 전파 차단으로 전환키로 했다. 김강립 보건복지부 차관(중앙사고대책본부 부본부장)은 이날 “원인불명 폐렴으로 입원 중인 환자는 병원에서 해외여행력과 무관하게 진단검사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했다. 방역당국은 19일 새 사례정의를 발표할 계획이다. 독감처럼 신종 코로나도 상시 감시하고 요양병원·시설 종사자 감염 관리를 강화키로 했다.
의료계에서는 적극적인 대책 마련을 주문했다. 해외 유입과 접촉자를 막는 것이 플랜A라면 이제는 지역사회 감염을 차단하는 플랜B를 꺼낼 때라는 것이다.
김 교수는 “선별진료소를 운영하는 상급종합병원은 암 등 중증환자를 함께 치료한다”며 “이들이 코로나19 환자와 섞이면 의료기관 기능이 무너질 위험이 있다”고 했다. 코로나19 환자 선별과 진료를 보건소, 시·도의료원 등에 맡기고 상급종합병원은 위독한 환자를 살리는 기능으로 전환해야 한다는 것이다. 지금은 환자 상태에 상관없이 민간 의료기관과 공공의료기관이 함께 환자를 선별하고 치료한다.
한 중소병원 의사는 “보건소 업무전환 등을 수차례 요구했지만 정부가 이는 손대지 않고 조사대책만 내놨다”며 “조사 강화는 지역사회 감염 위험도를 평가하기 위한 것이지 근본대책은 아니다”고 했다.
▶ 한국경제 '코로나19 현황' 페이지 바로가기
https://www.hankyung.com/coronavirus
이지현 기자 bluesky@hankyung.com
환자 나왔지만 감염원 ‘미궁’
정은경 질병관리본부장(중앙방역대책본부장)은 17일 오송청사에서 브리핑을 열고 “29번 환자가 종로종합복지관을 방문했고 일부 다른 활동을 한 것이 파악돼 이 범위에 환자가 있었는지 행적을 조사 중”이라고 했다.
지금까지 발생한 국내 코로나19 환자는 해외를 다녀오거나 국내 환자와 접촉한 뒤 감염돼 역학적 연결고리가 있었다. 하지만 29번, 30번 환자는 연결고리를 찾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김우주 고려대 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역학적 연결고리 없이 감염되는 것이 지역사회 감염”이라며 “국내 지역사회 감염 첫 사례일 가능성이 높다”고 했다.
29번 환자는 지난 5일, 30번 환자는 6일 또는 8일부터 기침 몸살 등의 증상을 호소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감염원을 찾으려면 증상이 시작되기 14일 전 모든 동선에 있는 접촉자를 찾아야 한다. 시간이 걸리는 이유다. 국내에서 감염됐지만 전파자가 누군지 모르는 환자로 남을 가능성도 있다. 종로구를 오갔던 6번 또는 21번 환자와 접촉했을 가능성을 열어 두고 종로 명륜교회에 다니는지도 조사했지만 관련이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서울대병원 소화기내과 등 비상
이들의 접촉자 파악에도 비상이 걸렸다. 증상이 나타나고도 10일 정도 지역사회 병·의원을 오갔기 때문이다. 중국이나 해외를 다녀온 적이 없어 의료기관들은 코로나19 환자라고 의심하지 못했다.
29번 환자는 지난 5~15일 신중호내과의원, 강북서울외과의원, 보람약국, 봄약국, 고려대안암병원 응급실 등을 다녔다. 병원 3곳, 약국 2곳을 찾은 횟수만 총 13차례다. 확인된 접촉자는 114명이지만 늘어날 가능성이 높다. 30번 환자는 8일 서울대병원 소화기내과 외래 진료를 받았고 강북서울외과의원도 여러 차례 방문했다. 이들은 16일부터 서울대병원에서 격리치료를 받고 있다.
진료한 의료진은 자가격리됐다. 추가 접촉자도 격리 통보를 하고 있다. 하지만 환자가 다녀간 지 8일이 지난 데다 코로나19는 초기 전파 위험이 높기 때문에 접촉 후 감염된 환자가 다른 병원을 찾아 추가 전파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보건소 기능 전환 서둘러야”
정부는 해외 유입 차단에 집중했던 감염대응 체계를 지역사회 전파 차단으로 전환키로 했다. 김강립 보건복지부 차관(중앙사고대책본부 부본부장)은 이날 “원인불명 폐렴으로 입원 중인 환자는 병원에서 해외여행력과 무관하게 진단검사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했다. 방역당국은 19일 새 사례정의를 발표할 계획이다. 독감처럼 신종 코로나도 상시 감시하고 요양병원·시설 종사자 감염 관리를 강화키로 했다.
의료계에서는 적극적인 대책 마련을 주문했다. 해외 유입과 접촉자를 막는 것이 플랜A라면 이제는 지역사회 감염을 차단하는 플랜B를 꺼낼 때라는 것이다.
김 교수는 “선별진료소를 운영하는 상급종합병원은 암 등 중증환자를 함께 치료한다”며 “이들이 코로나19 환자와 섞이면 의료기관 기능이 무너질 위험이 있다”고 했다. 코로나19 환자 선별과 진료를 보건소, 시·도의료원 등에 맡기고 상급종합병원은 위독한 환자를 살리는 기능으로 전환해야 한다는 것이다. 지금은 환자 상태에 상관없이 민간 의료기관과 공공의료기관이 함께 환자를 선별하고 치료한다.
한 중소병원 의사는 “보건소 업무전환 등을 수차례 요구했지만 정부가 이는 손대지 않고 조사대책만 내놨다”며 “조사 강화는 지역사회 감염 위험도를 평가하기 위한 것이지 근본대책은 아니다”고 했다.
▶ 한국경제 '코로나19 현황' 페이지 바로가기
https://www.hankyung.com/coronavirus
이지현 기자 bluesk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