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결 정족수 미달로 주주총회 안건이 무더기 부결되는 사태가 갈수록 심해지고 있지만 주총 전자투표제 도입률은 높아지지 않고 있다. 전자투표가 주총 대란을 해결하는 데 별다른 도움이 안 돼 현장에서 외면받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주총 대란 우려에도…전자투표 수년째 제자리걸음
17일 김선동 자유한국당 의원이 한국예탁결제원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최근까지 예탁원을 통해 주총 전자투표를 도입한 상장사(유가증권시장·코스닥시장·코넥스 합계)는 1190곳(지난달 기준)이었다. 전체 상장사 2355곳의 50.5%다. 2018년 1208곳(53.4%), 2019년 1202곳(51.0%) 등으로 최근 수년간 되려 줄어드는 추세다.

발행주식 수 대비 전자투표권 행사율도 미미한 수준이다. 지난해 행사율은 5.1%에 그쳤고 올해도 큰 변동은 없을 것이라는 전망이 많다. 지난해부터는 미래에셋대우가, 올해부터는 삼성증권이 전자투표 서비스를 새로 시작했지만 이들을 통해 전자투표를 도입한 상장사는 각각 100곳 정도에 불과하다.

특히 올해는 주식시장의 손바뀜이 더 잦아져 주총 대란이 심해질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올 들어 최근까지 코스닥시장의 연환산 회전율은 561%로 지난해(451%)에 비해 높아졌다. ‘연환산 회전율 561%’는 1년간 주주가 약 5.6번 바뀐다는 뜻이다. 단기 투자자일수록 매매 차액에 집중하고 주총 안건에는 무관심한 경향이 있다.

한국상장회사협의회 관계자는 “상장사 사이에서는 전자투표가 주총 대란을 해결하는 데 별다른 도움이 되지 못한다는 분위기가 강하다”며 “최근 삼성전자 등 대기업이 잇따라 전자투표제를 도입했고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도 있지만 현장에서는 무관심한 기업이 더 많다”고 말했다.

예탁원은 전자투표제 도입률을 높이기 위해 각종 대책을 시행 중이다. 그러나 이들 대책은 큰 도움이 되지 못한다는 지적이 많다. 김 의원은 “전자투표 성공 사례에 대한 홍보를 강화하고 회사에서도 소액주주를 적극적으로 독려해 전자투표 이용률을 높여야 한다”고 말했다.

양병훈 기자 hu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