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일 서울 세종문화회관 앞에서 DxE (직접행동 어디서나) 코리아 회원들이 '동물 고통에 연대한다' 퍼포먼스를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14일 서울 세종문화회관 앞에서 DxE (직접행동 어디서나) 코리아 회원들이 '동물 고통에 연대한다' 퍼포먼스를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동물을 향한 폭력을 반대한다."

지난 14일 오후 2시, 서울 광화문 한쪽에서 여성 10여 명이 가슴을 드러내는 퍼포먼스를 진행했다. 이들은 ‘디렉트 액션 에브리웨어(DxE)’로 2013년 미국 캘리포니아를 중심으로 생겨난 급진적 동물 보호 단체 한국지부 회원들이다.

발렌타인 데이를 맞아 초콜릿을 포함한 각종 유제품 포장지에 감춰진 동물 강제 착유 현실을 가시화하기 위해 이런 퍼포먼스를 진행한 DxE는 “동물을 향한 폭력을 반대한다”고 외치며, 강제 임신과 출산, 착유, 송아지 입을 틀어막는 이유 등을 쟁점으로 부각시켰다. 하지만 우유자조금 측에서는 그들이 ‘동물학대, 폭력’이라고 주장하는 것은 사실과 다르며, 오히려 동물복지차원의 선택이라 할 수 있다고 반박했다.

▶ 조기 이유, 송아지의 건강 및 어미소의 건강 회복을 위한 것

DxE는 낙농업 농가에서 흔히 모유 방지기를 사용하고 있고, 어린 소가 엄마 젖을 먹지 못하게 하기 위한 장치라고 주장한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모유방지기가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송아지의 건강과 이유에 따른 스트레스 최소화 등의 장점을 지닌 조기 이유를 택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분만을 마친 어미 소의 건강 회복 등의 이유로 송아지를 별도 우사에 관리하고 있어, 환경에서 오는 스트레스 또한 최소화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건국대학교 동물자원학과의 이홍구 교수는 “조기 이유를 통하여 별도 송아지 우사에서 관리하는 것은 송아지 사육환경 측면에서 좋아 질병예방 및 환경스트레스를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며, “조기 이유를 통한 송아지의 건강, 영양적 측면에서 주는 이점이 많기 때문에, 조기 이유를 마치 송아지의 학대로 표현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설명했다.
동물과 고통 연대하자 퍼포먼스 (사진=연합뉴스)
동물과 고통 연대하자 퍼포먼스 (사진=연합뉴스)
▶ 인공수정, 생식기 질병으로부터 젖소를 보호하기 위한 것

DeX가 주장하는 임신을 위한 강간이란 젖소에게 행해지는 인공수정이다. 인공수정이란, 난자와 정자의 결합을 자연교미에 의존하지 않고 인위적으로 수가축의 정액을 암가축의 생식기 내에 주입하여 수태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젖소에게 행하는 인공수정은 동물복지측면에서 긍정적인 역할을 한다. 인공수정의 가장 큰 목적은 생식기 질병으로부터 젖소를 보호하기 위해서이기 때문이다. 수컷의 직접적인 생식기 접촉으로 전염되는 트리코나므스병, 비브리오병, 브루셀라병 및 질염 등은 암컷에게 큰 스트레스가 되며, 나아가 목숨을 잃을 수도 있는 무서운 질병이다.

또한, 자연교미 상태에서는 암컷을 차지하기 위한 수컷들 간의 치열한 투쟁으로 인해 심한 상처를 입거나 죽음에 이를 수 있는 반면, 인공수정은 이를 예방할 수 있다. 자연교미로 임신이 불가능한 경우, 번식의 기회를 제공하는 것 역시 인공수정의 긍정적인 역할이다. 사람도 정상적인 임신이 불가능한 경우, 인공수정을 진행하고 있다는 것을 미루어 보면 충분히 이해할 수 있는 부분이라 할 수 있다.

이처럼 인공수정을 축산에 도입한 최초의 동기는 생산의 목적이 아닌 생식기 질병을 예방한다는 목표에서 시작되었으며, 단순히 부정적인 기능만을 부각하여 마치 ‘인공수정은 동물학대’라는 식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이와 관련 이 교수는 “최근 일부 동물 복지 단체에서 인공수정의 부정적인 기능만 부각하여 동물 학대로 단정 짓고 있다.”라며 “인공수정은 동물복지는 물론 축산·낙농 산업적 가치와 학술적 연구 측면에서 꼭 필요하며, 앞으로도 윤리적이고 스트레스를 최소화하는 축산 환경 노력이 중요하다”고 전했다.

한편, 다소 충격적이거나 자극적인 내용 또는 사실과 다르거나 불명확한 내용을 단정적으로 담은 해외 자료들이 온라인상에 무분별하게 유출되는 경우가 늘고 있다. 이번 DxE의 퍼포먼스를 통해 언급된 내용들도 마찬가지이다. 국내의 상황과 전혀 다르고, 근거 없는 주장들로 소비자들의 혼란을 가중시켰다는 비판도 제기됐다.

이미나 한경닷컴 기자 helper@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