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조·코로나19 악재 속 '르노삼성 생명줄' XM3 등판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 XM3 흥행에 사활 달린 르노삼성
▽ 사전계약 하루 전까지 임단협 갈등 지속
▽ 코로나19 여파 판촉·소비심리 위축 악재
▽ 사전계약 하루 전까지 임단협 갈등 지속
▽ 코로나19 여파 판촉·소비심리 위축 악재
![르노삼성의 신차 XM3 사전계약이 21일 시작된다. 사진=르노삼성 홈페이지 갈무리](https://img.hankyung.com/photo/202002/01.21815491.1.jpg)
20일 업계에 따르면 르노삼성은 21일부터 XM3 사전계약을 접수한다. '국내 최초 프리미엄 디자인 SUV'라는 문구를 내세웠는데, CUV에 익숙하지 않은 국내 소비자를 감안해 SUV 포지션으로 마케팅에 나서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디자인은 부분적인 차이가 있지만, 대체적으로 지난해 서울모터쇼에서 선보였던 콘셉트카 XM3 인스파이어와 비슷하게 유지됐다.
◇ XM3 흥행에 생명줄 달린 르노삼성
르노삼성의 생명줄이 달렸다고 할만큼 XM3는 중요한 모델이다. 우선 내수 시장 판매 부진과 더불어 높아진 중형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QM6 의존도를 낮출 유일한 돌파구다. 한국자동차산업협회에 따르면 르노삼성은 지난 1월 내수 시장에서 전년 동기 대비 16.8% 감소한 4303대를 팔았다.
![르노삼성이 2019 서울모터쇼에서 공개한 XM3 인스파이어 쇼카. 사진=르노삼성](https://img.hankyung.com/photo/202002/01.20879127.1.jpg)
◇ 사전계약 코앞…코로나19 확산에 임단협 난항
상황은 녹록치 않다. 난해 임단협 타결이 난항인 가운데 코로나19로 인한 부담도 생겼다. 르노삼성은 중국 내 코로나19 확산 영향에 지난 11~14일 나흘간 공장을 세웠다. 공장은 15일부터 재개됐지만, 코로나19가 재확산 조짐을 보이는 탓에 근심은 늘어가고 있다. 중국 현지의 부품 공급망에 더해 국내 방역까지 비상이 걸린 탓이다. 신차 출시를 앞둔 상황에서 코로나19로 인한 소비심리 위축도 골칫거리다.
![르노삼성이 2019 서울모터쇼에서 공개한 XM3 인스파이어 쇼카. 사진=르노삼성](https://img.hankyung.com/photo/202002/01.21815542.1.jpg)
르노그룹은 XM3 유럽 물량을 부산 공장에 배정할 경우 충분한 가격 경쟁력 확보가 어려울 것으로 보고 있다. 또한 그룹 내에서 가장 인건비가 높은 상황에서도 임금 인상을 요구하며 파업을 반복한 만큼, 노조가 유럽 XM3 물량을 인질로 삼을 수 있다는 점을 가장 크게 우려한다. 스페인 바야돌리드 공장이 대안으로 계속 제시되는 이유다.
르노그룹의 최후통첩에 르노삼성 노사는 지난 4일부터 7일까지 부랴부랴 집중교섭에 나섰지만 쟁점인 고정급 인상 문제를 두고 입장 차이만 재확인했다. 사측은 이미 그룹에서 가장 인건비가 비싼 만큼 고정급을 추가 인상하면 유럽 수출용 XM3 수주는 불가능하다며 변동급 인상을 제안했다. 노조는 2년 이상 기본급을 동결한 만큼 반드시 고정급 인상을 해야 한다는 입장을 유지했다.
오세성 한경닷컴 기자 sesu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