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위 20% 근로소득 8분기 만에 증가…"재정일자리 효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1분위 소득 월평균 132만원, 6.9% 증가…3분기 연속 늘어
처분가능소득은 104만원으로 5.3% 늘어
저소득층 가구의 근로소득이 8분기 만에 증가로 돌아섰다.
정부의 재정 일자리 사업 등의 영향으로 분석된다. 20일 통계청이 발표한 가계동향조사(소득부문·가구원 2인 이상) 결과를 보면 작년 4분기 기준 1분위(소득 하위 20%) 가구의 소득은 월평균 132만4천원으로 전년 같은 기간보다 6.9% 증가했다.
전년 동분기 대비 1분위 소득은 2018년 1분기(-8.0%)부터 2019년 1분기(-2.5%)까지 5분기 연속 감소하다가 2분기(0.04%)에 반등하고 3분기(4.3%)에 이어 증가폭을 더 늘렸다.
눈에 띄는 점은 1분위 근로소득이 45만8천원으로 6.5% 증가하며 7분기(2018년 1분기∼2019년 3분기) 연속 이어진 감소세가 끝난 대목이다.
가장 비중이 큰 이전소득(62만3천원)이 6.5% 증가했다.
이전소득은 2018년 1분기부터 8분기 연속 증가를 기록했다.
이는 지난해 기초연금·장애인연금 인상, 근로장려금(EITC) 확대, 실업급여 강화 등 저소득층 지원 정책이 잇따라 시행된 영향으로 풀이된다.
이전소득 가운데 공적이전소득은 47만3천원으로 1년 전보다 6.9% 증가했다.
세부적으로 보면 공적연금(18만1천원)이 11.4%, 기초연금(17만5천원)이 5.7%, 사회수혜금(10만2천원)이 5.1% 각각 증가한 영향이다.
공적연금에는 국민·공무원연금이, 기초연금에는 노령연금이, 사회수혜금에는 산재보험금이나 근로장려금·아동수당 등이 포함된다.
여기에 사업소득(23만1천원)도 11.6% 늘면서 전체 소득을 높였다.
은순현 통계청 사회통계국장은 "정부 일자리 사업이 1분위 근로소득 증가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며 "1분위에서 무직자 가구가 약간 감소하며 취업 인원수도 늘어났다"고 분석했다.
그는 "고용소득(근로소득과 사업소득 합)이 7분기 연속 감소하다가 작년 4분기 플러스로 전환하기도 했다"고 덧붙였다.
작년 분기별 취업자 증가(전년 동 분기 대비)를 보면 1분기 17만7천명, 2분기 23만7천명, 3분기 36만6천명에서 4분기 42만2천명으로 4분기에 증가폭이 도드라졌다.
작년 4분기 1분위 내 근로자가구의 비율도 29.7%로 1년 전보다 1.2%포인트 늘었다.
한편 1분위 비소비지출은 28만3천원으로 1년 전보다 13.2% 늘었다.
소득에서 비소비지출을 뺀 처분가능소득은 작년 4분기 1분위가 104만1천원을 나타내며 1년 전보다 5.3% 늘어났다.
처분가능소득은 2018년 1분기부터 작년 2분기까지 6분기 연속 감소세가 이어졌지만, 작년 3분기 1.5% 증가한 데 이어 4분기에 증가 폭을 키웠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저소득층 소득과 분배지표 개선 흐름이 공고화할 수 있도록 총력 대응을 하겠다"며 "기초생보 사각지대 축소, 장애인연금 인상 대상 확대, 국민취업지원제도, 기초연금 급여 인상 범위 확대, EITC 최소지급액 상향 조정 등 사회·고용 안전망 강화 방안을 속도감 있게 이행하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처분가능소득은 104만원으로 5.3% 늘어
저소득층 가구의 근로소득이 8분기 만에 증가로 돌아섰다.
정부의 재정 일자리 사업 등의 영향으로 분석된다. 20일 통계청이 발표한 가계동향조사(소득부문·가구원 2인 이상) 결과를 보면 작년 4분기 기준 1분위(소득 하위 20%) 가구의 소득은 월평균 132만4천원으로 전년 같은 기간보다 6.9% 증가했다.
전년 동분기 대비 1분위 소득은 2018년 1분기(-8.0%)부터 2019년 1분기(-2.5%)까지 5분기 연속 감소하다가 2분기(0.04%)에 반등하고 3분기(4.3%)에 이어 증가폭을 더 늘렸다.
눈에 띄는 점은 1분위 근로소득이 45만8천원으로 6.5% 증가하며 7분기(2018년 1분기∼2019년 3분기) 연속 이어진 감소세가 끝난 대목이다.
가장 비중이 큰 이전소득(62만3천원)이 6.5% 증가했다.
이전소득은 2018년 1분기부터 8분기 연속 증가를 기록했다.
이는 지난해 기초연금·장애인연금 인상, 근로장려금(EITC) 확대, 실업급여 강화 등 저소득층 지원 정책이 잇따라 시행된 영향으로 풀이된다.
이전소득 가운데 공적이전소득은 47만3천원으로 1년 전보다 6.9% 증가했다.
세부적으로 보면 공적연금(18만1천원)이 11.4%, 기초연금(17만5천원)이 5.7%, 사회수혜금(10만2천원)이 5.1% 각각 증가한 영향이다.
공적연금에는 국민·공무원연금이, 기초연금에는 노령연금이, 사회수혜금에는 산재보험금이나 근로장려금·아동수당 등이 포함된다.
여기에 사업소득(23만1천원)도 11.6% 늘면서 전체 소득을 높였다.
은순현 통계청 사회통계국장은 "정부 일자리 사업이 1분위 근로소득 증가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며 "1분위에서 무직자 가구가 약간 감소하며 취업 인원수도 늘어났다"고 분석했다.
그는 "고용소득(근로소득과 사업소득 합)이 7분기 연속 감소하다가 작년 4분기 플러스로 전환하기도 했다"고 덧붙였다.
작년 분기별 취업자 증가(전년 동 분기 대비)를 보면 1분기 17만7천명, 2분기 23만7천명, 3분기 36만6천명에서 4분기 42만2천명으로 4분기에 증가폭이 도드라졌다.
작년 4분기 1분위 내 근로자가구의 비율도 29.7%로 1년 전보다 1.2%포인트 늘었다.
한편 1분위 비소비지출은 28만3천원으로 1년 전보다 13.2% 늘었다.
소득에서 비소비지출을 뺀 처분가능소득은 작년 4분기 1분위가 104만1천원을 나타내며 1년 전보다 5.3% 늘어났다.
처분가능소득은 2018년 1분기부터 작년 2분기까지 6분기 연속 감소세가 이어졌지만, 작년 3분기 1.5% 증가한 데 이어 4분기에 증가 폭을 키웠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저소득층 소득과 분배지표 개선 흐름이 공고화할 수 있도록 총력 대응을 하겠다"며 "기초생보 사각지대 축소, 장애인연금 인상 대상 확대, 국민취업지원제도, 기초연금 급여 인상 범위 확대, EITC 최소지급액 상향 조정 등 사회·고용 안전망 강화 방안을 속도감 있게 이행하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