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0 부동산 대책, 건설주에 영향은 제한적…"총선 이후 추가 규제 가능성"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금융투자업계 "부진했던 건설주, 흐름 계속 이어갈 것" 전망 다수
"코로나19 비롯한 경기침체가 더 문제" 주장도
"코로나19 비롯한 경기침체가 더 문제" 주장도
정부가 조정대상지역을 확대하고 규제를 강화하는 '2·20 부동산 대책'을 발표했다. 투기 수요 차단을 통해 주택시장을 안정적으로 관리하겠다는 의도다.
21일 금융투자업계에서는 이번 대책을 두고 건설사들 주가에 미치는 영향이 제한적이라고 보고 있다. 주가 자체가 워낙 떨어져 있는 형편이어서 큰 반등은 없으리라는 전망은 공통적이다.
조윤호 DB투자증권 연구원은 영향이 크지 않다고 봤다. 조 연구원은 "이러한 핀셋 규제대책 발표는 일상이 될 것으로 보인다"며 "3월 이후에도 조정대상지역에 선정되지 않은 지역 위주로 수요가 옮아가는 과정이 반복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부동산 시장에나 주식시장에나 이번 대책이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라고 강조했다.
김선미KTB투자증권 연구원은 '대책' 보다 '코로나19'가 더 문제라고 지적했다. 그는 "규제 대상이 특정 지역으로 국한됐고 해당 지역 내 건설사 수주 및 신규분양 물량 미미해 영향은 제한적이다"라면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지역확대를 앞두고 발표될 가능성이 높아지는 경기부양책이 중요해졌다"고 판단했다. 현재 건설사들의 분양이 지연되고 있는 이유는 주택도시보증공사(HUG)와의 분양가 협의 지연과 코로나19에 따른 모델하우스 오픈 지연 때문이라는 지적이다. 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되고 공급 확대책이 제시될 경우에는 반등이 가능하다는 전망이다. 추경이나 SOC 확대, 또는 3기 신도시 조기화 및 역세권 임대주택 공급 등을 기대할만 하다는 분석이다.
채상욱 하나금융투자 연구원 또한 건설주 투자전략이 달라질 이유는 없다고 전했다. 그는 "비 강남권역과 경기권역의 경우 12·16 이후에도 집값이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다"며 "실물시장과 무관하게 금융시장 내 건설업종에 대해서는 여전히 ‘규제섹터’로 보수적인 입장이며 이를 유지한다"고 말했다.
김기룡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부동산 정책의 불확실성과 펀더멘털(기초체력) 훼손 우려가 지속되고 있다"며 주요 대형 건설사 주가의 부진한 흐름이 이어질 것으로 봤다. 그는 "4월 이후 본격화될 실질적인 분양가 상한제 적용을 비롯한 분양가 규제에 따른 수익성 하락, 분양 속도 제한 가능성은 건설사 실적을 견인했던 주택·건축 부문 실적의 둔화 우려로 작용할 것이다"라고 내다봤다.
여기에 향후 추가적인 대책을 예상하는 입장도 있다. 김열매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이번 정책은 기존 규제 의 틀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은 수준이라고 판단한다"며 "총선 이후 추가 규제 가능성이 높다"고 예측했다. 김하나 한경닷컴 기자 hana@hankyung.com
21일 금융투자업계에서는 이번 대책을 두고 건설사들 주가에 미치는 영향이 제한적이라고 보고 있다. 주가 자체가 워낙 떨어져 있는 형편이어서 큰 반등은 없으리라는 전망은 공통적이다.
조윤호 DB투자증권 연구원은 영향이 크지 않다고 봤다. 조 연구원은 "이러한 핀셋 규제대책 발표는 일상이 될 것으로 보인다"며 "3월 이후에도 조정대상지역에 선정되지 않은 지역 위주로 수요가 옮아가는 과정이 반복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부동산 시장에나 주식시장에나 이번 대책이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라고 강조했다.
김선미KTB투자증권 연구원은 '대책' 보다 '코로나19'가 더 문제라고 지적했다. 그는 "규제 대상이 특정 지역으로 국한됐고 해당 지역 내 건설사 수주 및 신규분양 물량 미미해 영향은 제한적이다"라면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지역확대를 앞두고 발표될 가능성이 높아지는 경기부양책이 중요해졌다"고 판단했다. 현재 건설사들의 분양이 지연되고 있는 이유는 주택도시보증공사(HUG)와의 분양가 협의 지연과 코로나19에 따른 모델하우스 오픈 지연 때문이라는 지적이다. 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되고 공급 확대책이 제시될 경우에는 반등이 가능하다는 전망이다. 추경이나 SOC 확대, 또는 3기 신도시 조기화 및 역세권 임대주택 공급 등을 기대할만 하다는 분석이다.
채상욱 하나금융투자 연구원 또한 건설주 투자전략이 달라질 이유는 없다고 전했다. 그는 "비 강남권역과 경기권역의 경우 12·16 이후에도 집값이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다"며 "실물시장과 무관하게 금융시장 내 건설업종에 대해서는 여전히 ‘규제섹터’로 보수적인 입장이며 이를 유지한다"고 말했다.
김기룡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부동산 정책의 불확실성과 펀더멘털(기초체력) 훼손 우려가 지속되고 있다"며 주요 대형 건설사 주가의 부진한 흐름이 이어질 것으로 봤다. 그는 "4월 이후 본격화될 실질적인 분양가 상한제 적용을 비롯한 분양가 규제에 따른 수익성 하락, 분양 속도 제한 가능성은 건설사 실적을 견인했던 주택·건축 부문 실적의 둔화 우려로 작용할 것이다"라고 내다봤다.
여기에 향후 추가적인 대책을 예상하는 입장도 있다. 김열매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이번 정책은 기존 규제 의 틀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은 수준이라고 판단한다"며 "총선 이후 추가 규제 가능성이 높다"고 예측했다. 김하나 한경닷컴 기자 han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