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직격탄에 2월 수출 11.7%↓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겨우 회복할 기미를 보이던 수출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찬물을 끼얹었다. 지난달 하루평균 수출이 큰 폭으로 하락했다.
1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2월 수출은 412억6000만달러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4.5% 늘었다. 하지만 작년엔 2월이던 설 연휴가 올해는 1월에 있으면서 지난달 조업일수가 사흘 늘어난 데 따른 착시 효과라는 지적이다. 조업일수를 배제한 지난달 하루평균 수출(18억3000만달러)은 전년 동기 대비 11.7% 감소했다.
하루평균 수출은 작년 11월 -12.6%에서 12월 -7.3%로 하락폭이 둔화한 데 이어 올 1월 4.6%로 14개월 만에 반등했으나 한 달 만에 다시 꺾였다.
전체 수출의 4분의 1을 차지하는 대(對)중국 수출이 6.6% 줄어든 영향이 컸다. 하루평균 기준 중국 수출은 21.1% 급감했다.對중국 수출 21% 급감…"3월엔 더 큰 충격파 온다"
“앞이 안 보인다.”
수출 시장에 미치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영향력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당초 예상과 달리 하루 평균 수출이 급감하고 있다. 작년 부진한 실적에 따른 기저효과와 반도체 가격 반등에 힘입어 올해 회복할 것으로 낙관했던 산업통상자원부의 목소리도 확 달라졌다. 성윤모 산업부 장관은 1일 “중국이 글로벌 공급망에서 핵심 역할을 수행하는 점을 감안할 때 코로나19 영향은 2002년 사스(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때보다 클 것”이라며 “현 상황은 매우 엄중하다”고 했다. 반도체 가격은 2개월째 상승
지난달 휴일을 제외한 조업일수(22일)는 작년 동기(19일)보다 3일 많았다. 이 요인을 배제한 2월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4.5% 증가했다. 일단 2018년 12월(-1.7) 이후 14개월째 계속돼온 ‘수출 마이너스’ 고리를 끊는 데는 성공했다.
반도체(9.4%) 일반기계(10.6%) 무선통신(8.0%) 자동차부품(10.0%) 선박(8.0%) 등 주요 20개 품목 중 14개의 수출이 늘었다. 특히 삼성전자·SK하이닉스가 생산하는 반도체 D램(8기가비트 기준) 고정가격은 지난달 개당 2.88달러로, 올 들어 2개월 연속 오름세를 이어갔다. 낸드플래시 가격도 작년 7월 반등한 뒤 8개월째 상승세를 보였다.
반도체는 가격이 아닌 물량 기준으로도 지난달 14.4% 늘었다. 작년 7월 이후 8개월 연속 증가세를 지켰다. 지역별로는 아세안(동남아국가연합·7.5%), 독립국가연합(CIS·12.2%), 인도(14.7%)에서 호조를 보였고, 미국(9.9%)은 9개월 만에 증가세로 전환했다.
하지만 자동차와 디스플레이 수출은 부진을 면치 못했다. 조업일수가 늘었는데도 자동차 수출은 작년 동기 대비 16.6%, 디스플레이는 21.8% 감소했다. 석유제품과 석유화학 수출은 각각 0.9%와 9.7% 쪼그라들었다.
지난달 수입은 소폭 늘어나는 데 그쳤다. 전년 동기 대비 1.4% 증가한 371억5000만달러로 기록됐다. 수출에서 수입을 뺀 무역수지는 41억2000만달러 흑자였다. 97개월 연속 흑자 기조를 유지했다.
‘수출 비중 25%’ 중국 부진
작년 전체 수출액의 4분의 1(25.1%)을 차지한 중국 수출은 조업일수 증가에도 불구하고 6.6% 쪼그라들었다. 하루 평균으로 계산하면 21.1% 급감한 수치다. 산업부 관계자는 “중국 설 연휴인 춘제 기간이 대거 연장되면서 현지 공장의 가동률이 현저하게 떨어진 영향이 컸다”고 설명했다.
중국 춘제는 1월 30일까지였으나 31개 지방정부 중 대다수가 지난달 9일까지로 연장했다. 코로나19 진원지인 후베이성은 조업 재개 시기를 이달 11일로 미뤄놓은 상태다. 춘제 기간에만 중국 내 휴대폰 판매가 1년 전보다 50% 이상 줄었을 것이란 게 업계 추산이다.
중국 내 부품·모듈 공장이 제대로 돌아가지 않으면서 대(對)중국 자동차 및 자동차부품 수출도 심각한 타격을 입었다. 지난달 1~25일 기준으로 자동차 수출은 36.3%, 자동차부품은 35.0% 감소했다. 디스플레이(-42.0%), 석유화학(-36.2%), 석유제품(-15.4%) 등도 부진했다.
앞으로가 더 문제라는 걱정이 나온다. 코로나19가 전 세계로 퍼지고 있어서다. 3월 수출이 고꾸라지는 것은 물론 정부가 작년 말 세웠던 ‘연간 3% 수출 성장’ 목표도 달성하기 어려워졌다는 관측이다.
무역업계 관계자는 “코로나19의 강력한 전염성을 고려할 때 세계 교역이 큰 폭으로 줄어들 수 있다”며 “수출로 먹고사는 한국 경제가 충격을 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
조재길 기자 road@hankyung.com
1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2월 수출은 412억6000만달러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4.5% 늘었다. 하지만 작년엔 2월이던 설 연휴가 올해는 1월에 있으면서 지난달 조업일수가 사흘 늘어난 데 따른 착시 효과라는 지적이다. 조업일수를 배제한 지난달 하루평균 수출(18억3000만달러)은 전년 동기 대비 11.7% 감소했다.
하루평균 수출은 작년 11월 -12.6%에서 12월 -7.3%로 하락폭이 둔화한 데 이어 올 1월 4.6%로 14개월 만에 반등했으나 한 달 만에 다시 꺾였다.
전체 수출의 4분의 1을 차지하는 대(對)중국 수출이 6.6% 줄어든 영향이 컸다. 하루평균 기준 중국 수출은 21.1% 급감했다.對중국 수출 21% 급감…"3월엔 더 큰 충격파 온다"
“앞이 안 보인다.”
수출 시장에 미치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영향력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당초 예상과 달리 하루 평균 수출이 급감하고 있다. 작년 부진한 실적에 따른 기저효과와 반도체 가격 반등에 힘입어 올해 회복할 것으로 낙관했던 산업통상자원부의 목소리도 확 달라졌다. 성윤모 산업부 장관은 1일 “중국이 글로벌 공급망에서 핵심 역할을 수행하는 점을 감안할 때 코로나19 영향은 2002년 사스(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때보다 클 것”이라며 “현 상황은 매우 엄중하다”고 했다. 반도체 가격은 2개월째 상승
지난달 휴일을 제외한 조업일수(22일)는 작년 동기(19일)보다 3일 많았다. 이 요인을 배제한 2월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4.5% 증가했다. 일단 2018년 12월(-1.7) 이후 14개월째 계속돼온 ‘수출 마이너스’ 고리를 끊는 데는 성공했다.
반도체(9.4%) 일반기계(10.6%) 무선통신(8.0%) 자동차부품(10.0%) 선박(8.0%) 등 주요 20개 품목 중 14개의 수출이 늘었다. 특히 삼성전자·SK하이닉스가 생산하는 반도체 D램(8기가비트 기준) 고정가격은 지난달 개당 2.88달러로, 올 들어 2개월 연속 오름세를 이어갔다. 낸드플래시 가격도 작년 7월 반등한 뒤 8개월째 상승세를 보였다.
반도체는 가격이 아닌 물량 기준으로도 지난달 14.4% 늘었다. 작년 7월 이후 8개월 연속 증가세를 지켰다. 지역별로는 아세안(동남아국가연합·7.5%), 독립국가연합(CIS·12.2%), 인도(14.7%)에서 호조를 보였고, 미국(9.9%)은 9개월 만에 증가세로 전환했다.
하지만 자동차와 디스플레이 수출은 부진을 면치 못했다. 조업일수가 늘었는데도 자동차 수출은 작년 동기 대비 16.6%, 디스플레이는 21.8% 감소했다. 석유제품과 석유화학 수출은 각각 0.9%와 9.7% 쪼그라들었다.
지난달 수입은 소폭 늘어나는 데 그쳤다. 전년 동기 대비 1.4% 증가한 371억5000만달러로 기록됐다. 수출에서 수입을 뺀 무역수지는 41억2000만달러 흑자였다. 97개월 연속 흑자 기조를 유지했다.
‘수출 비중 25%’ 중국 부진
작년 전체 수출액의 4분의 1(25.1%)을 차지한 중국 수출은 조업일수 증가에도 불구하고 6.6% 쪼그라들었다. 하루 평균으로 계산하면 21.1% 급감한 수치다. 산업부 관계자는 “중국 설 연휴인 춘제 기간이 대거 연장되면서 현지 공장의 가동률이 현저하게 떨어진 영향이 컸다”고 설명했다.
중국 춘제는 1월 30일까지였으나 31개 지방정부 중 대다수가 지난달 9일까지로 연장했다. 코로나19 진원지인 후베이성은 조업 재개 시기를 이달 11일로 미뤄놓은 상태다. 춘제 기간에만 중국 내 휴대폰 판매가 1년 전보다 50% 이상 줄었을 것이란 게 업계 추산이다.
중국 내 부품·모듈 공장이 제대로 돌아가지 않으면서 대(對)중국 자동차 및 자동차부품 수출도 심각한 타격을 입었다. 지난달 1~25일 기준으로 자동차 수출은 36.3%, 자동차부품은 35.0% 감소했다. 디스플레이(-42.0%), 석유화학(-36.2%), 석유제품(-15.4%) 등도 부진했다.
앞으로가 더 문제라는 걱정이 나온다. 코로나19가 전 세계로 퍼지고 있어서다. 3월 수출이 고꾸라지는 것은 물론 정부가 작년 말 세웠던 ‘연간 3% 수출 성장’ 목표도 달성하기 어려워졌다는 관측이다.
무역업계 관계자는 “코로나19의 강력한 전염성을 고려할 때 세계 교역이 큰 폭으로 줄어들 수 있다”며 “수출로 먹고사는 한국 경제가 충격을 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
조재길 기자 road@hankyung.com